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코스모스 May 30. 2024

당신은 어떻게 피고 있습니까?

수국은 또다시 피는데!


쓰고 싶어 죽겠는 심정은 말이 하고 싶어 죽겠는 마음과 같다. 


잠시 앉아 시간을 좀 내면 어떤 마음이라도 적어보는데 어쩌다가 또 하루를 홀딱 보내면 아쉽다. 이 마음 저 마음 담아서 책도 담고 펜도 담아서 퇴근하는 길에는 그 하고 싶은 말들이 부풀어 올라 더 무겁다. 그 길에 나서서 지우를 만나고 싶은데 헤어 보면 갈 곳도 없다. 그래서 웃으면서 집으로 간다.


직장과 집을 오가던 더 젊었던 날에는 나름 막중한 일이 있었다. 어린이집에서 아이들을 거두어 올 때도 있었고 제 각각 등하교를 하던 무렵에는 얼른 가서 애들을 챙기고 싶었다. 뭐라도 만들어 먹이려고 종종걸음 했다. 이제는 다 자라 떠나고 남은 녀석은 바깥 밥을 더 좋아하는 눈치다. 


여유로워졌는데 내 시간을 제대로 못쓰고 있다. 흐르는 시간은 시속 5~60킬로미터 이상인 게 분명하다. 계절마다 피는 꽃들에 환호하며 들여다보곤 했는데 이제 전체 계절이 눈에 들어오는 시절이 되었다. 그래서인가 그 꽃이 다시 피면 반가움만큼 아쉬움도 같이 든다.




어른이 되는 기준으로 사람들은 저만의 독선과 고집을 가지게 되는 것 같다. 고정관념일 수 있다. 저도 모르게 가지게 되는 그것들로부터 놓여나는 방법을 어떻게 터득하느냐에 따라 어른의 색깔이 다양해지겠다. 그 모두 자기만의 주장이나 생각이겠지만 어떠한 상황에도 깨지지 않는 게 문제다.


모순일 수 있고 착오일 수 있음을 자각하는 게 참 어려운가 보다. 돌려서 생각하는 사고의 유연성이라는 말도 들어 보았고 또 알 텐데 자기한테는 적용을 안 한다. 돌아볼 줄 몰라서 그러는 걸까. 그 인정이 어려워서일까. 의외로 많은 어른들이 제가 들고 있는 것만 쳐다보고 산다. 편견과 선입견이 많다.


세상이 변하는 만큼, 계절이 지나가는 만큼이라도 바뀌어야 한다는 그런 마음 없을까. 그 속도에 맞추진 못할지라도 최소한 더불어 사는 세상을 위해서 자기 생각을 좀 바꾸어야 하지 않나. 남의 말을 식상하게 받아들이고 눈앞의 즐거움과 제 편의만 쫓는 이들이 많이 보여서 봄날에 마음이 더 무겁다. 


알고 가는 길과 모르고 가는 길이 있다. 알려고 하는 관심조차 없는 이들에게 괜스레 마음 줘서 아까운 이 봄날을 허비할 필요는 없겠지. 내 모르는 부분에 그들이 헌신하는 일이 있을 수도 있겠지. 수국은 또다시 피고 계절은 또다시 흐르는데 제각각의 일에서 한 발씩만이라도 공익을 앞세우면 좋겠다. 



   



  

매거진의 이전글 오늘도 만나러 갑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