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에서 나만 이런 것이 아니고 많은 사람들이 비슷하게 어려움을 느낀다는 느낌을 깨닫게 되면 상당한 위안을 얻으면서 소외감을 극복하고, 자신과 타인에 대한 수용
0. 정보전달(imparting information)
상담자나 집단원이 제공하는 충고, 제안, 또는 직접적 지도뿐만 아니라 상담자가 제시해주는 정신건강, 정신질환, 그리고 일반 정신역동에 관한 교수적 강의가 포함
0. 이타주의(altruism)
집단에서는 서로에게 조언이나 위로, 지지, 통찰 등을 제공하고 서로 비슷한 문제를 공유한다. 자기가 남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고 중요한 사람일 수도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는 경험
0. 초기 가족의 교정적 재현(corrective recapitulation of the primary family group)
내담자들은 집단을 통해 초기 가족의 경험들을 재현하게 된다. 부모와 같은 형태의 리더, 형제 같은 동료를 접하면서 사적인 얘기와 강한 정서 속에서 적대감, 경쟁심, 친밀감 등을 느끼면서 가족과 같은 형태를 재현하는데, 이 과정에서 초년기의 가족 내 갈등들이 다시 재현되어 나타나게 되고 현실 검증을 통해 교정적으로 살아남
0. 사회화 기술의 발달(development of socializing techniques)
집단상담은 사회의 축소판을 보여주기 때문에 기본적인 사회화 기술이 이루어진다.
0. 모방 행동(imitative behavior) 또는 관찰학습
치료자의 행동이나 다른 집단원들의 여러 측면들을 보고 모방하면서 사회학습
0. 정화
억압된 감정을 해소하는 것, 즉 강한 정서적 감정을 느끼고 마음속에 있는 것을 털어놓음으로써 억눌린 감정을 배출.
0. 자기 이해
자신이 다른 사람에게 어떻게 지각되는지에 대해 알게 되는 것뿐만 아니라 과거와 현재 사이의 관계에 대한 지적인 이해 또는 이전에는 알지 못했거나 받아들일 수 없었던 자신의 부분을 발견하고 수용하게 된다.
0. 실존적 요인들(existential factors)
인간에게는 죽음이나 고독, 자유, 무의미와 같은 궁극적으로 갖고 있는 불안이 있는데 결국 자신의 삶을 영위하는 데 있어서 궁극적인 책임을 자신에게 있다고 여긴다. 그래서 사람은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들을 인정하고 직면하여 수용할 때 자신의 인생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된다.
0. 대인관계 학습(interpersonal learning)
태도변화를 일으키는 여러 치료적 요인들 중에서도 대인관계 학습은 가장 강력한 것으로 집단상담의 특성을 잘 드러내 주는 독특한 치료적 요인이다.
여기서는 대인관계 학습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것이 치료적 변화를 일으키는 심리적 과정을 알아보도록 한다.
(1) 대인관계의 중요성
Bowlby는 애착 행동이 생존에 필수적, 핵심적, 유전적으로 내재되어있다고 봄.
William James는 인간이 군집성 동물로서 주목받기 바라는 본유적인 성향을 지녔다고 봄 인간은 필연적으로 대인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사회적 존재로서 접촉, 사랑, 수용, 인정, 또는 존경을 받고 싶어 하는 속성을 지녔는데, 생존이나 만족을 위해 사람을 필요로 한다.
Sullivan의 설명에 의한 대인관계 학습의 기제:
① 성격이란 중요한 인물과 상호작용의 산물
② 자아는 반영된 평가(reflected appraisals)에 의해 구성
③ 관계 왜곡(parataxic distortion): 대인관계의 상황에서 대상을 그 사람의 현실적 속성에 근거하기보다 자신의 환상 속에 존재하는 인격화된 인물에 근거해 관계를 맺을 때 일어나는 것으로서 모든 대인관계와 연관되어 있고 자신의 대인관계적 욕구에 반응하여 대인관계 현실을 왜곡하는 것이다.
④ 대인관계의 왜곡은 자기 영속적인 경향이 있다, 보통 자기 충족적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은 순환적 인과관계로서 중요하다.
⑤ 관계 왜곡은 자신의 대인관계적 평가를 다른 사람의 대인관계적 평가와 비교하는 합의적 검증(consensual validation)을 통해 수정될 수 있다.
(2) 대인관계 학습-교정적 정서 체험
각 개인의 대인관계 패턴을 평가받고, 자각하고, 합의적 검증을 이끌고, 변화를 하게 하는 과정
[교정적 정서 체험의 필요조건]
① 집단이 충분히 안전하고 지지적인 장으로 경험되어야 한다.
② 효과적인 현실 검증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참여와 솔직한 피드백이 있어야 한다.
[교정적 정서 체험의 과정]
① 내담자가 위험을 감수하고 대인관계적인 부정적 감정을 표현
② 이러한 문제를 허용해주는 집단 분위기
③ 자기의 분노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표현했지만 특별한 일이 생기지 않았고 생각보다 다른 사람들의 반응이 괜찮음을 경험
④ 현실 검증: 솔직한 피드백에 의해 자신의 표현된 정서나 강도가 부적절했거나 정서 표현을 피해온 것이 비합리적 이였음을 깨닫게 된다. 원인에 대한 통찰을 이룩
⑤ 보다 자유롭게 상호작용 할 수 있고 대인관계를 보다 깊이 탐색
(3) 대인관계 학습-축소된 사회로서의 집단
* 구조적이 제약이 거의 없이 자유롭게 상호작용 하는 집단은 참가한 집단원들에 의해 축소 치료적 요인
된 사회로 발달
*집단원들이 자유롭게 상호작용하기 시작하면 평소의 대인관계패턴이 재현되고 각자가 보이는 그러한 행동에 대한 객관적 모습을 살피는 것이 집단상담에 접근하는 핵심
(4) 대인관계 학습-통찰(자기 이해: 인지적 기능)
문제의 명료화, 탈억압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자신의 모습을 안으로 들여다보는 것. 즉 자신의 행동, 동기 체계 또는 무의식에 대하여 무언가를 발견할 때 생기는 것으로 아하! 내 모습이 이런 거였구나 하는 느낌이 드는 것.
[집단상담에서 통찰의 수준]
① 대인관계에서의 자신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 ② 복잡한 대인관계 행동 패턴을 이해 ③ 동기에 대한 통찰 ④ 발생적 통찰: 어떤 과정을 거쳐 지금의 내 모습이 되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