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심리탐험가 김홍채 Feb 06. 2022

3-2. 형태주의적(Gestalt) 접근

Gestalt Therapy

 Perls를 중심으로 개발된 모형으로 인간생활을 형태(형태는 도형과 배경으로 구성됨)의 점진적 형성과 소멸의 과정으로 보고, 이것을 적응에 대한 기준으로 삼는다. 그래서 정신적으로 건강한 사람이란 이 형태의 생성과 소멸의 과정이 방해받지 않고  잘 진행되는 사람을 일컫는다. 방해 원인으로는 외적 세계 및 자기 자체에 대한 각성(지각적 접촉)이 명확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와 스스로 욕구와 행동을 억압하므로 좋은 형태의 형성을 방해받을 경 우가 있다.


 여기서는 ‘왜’보다 무엇을 ‘어떻게’를 중요시하고, 항상 1인칭을 사용하며, 계속적인 현재의 자기 각성을 하도록 강조한다. 지금, 경험, 각성, 현실에 초점을 두는데, 각성 중에서도 특히 신체적인 면의 각성 즉, 순간순간의 경험에 중점을 두고 이 현재의 경험들에 대한 연속적인 각성을 강조한다.


1) 주요 개념


 인간생활을 형태(도형과 배경으로 구성)의 점진적 형성과 소멸의 과정. 건강한 사람은 이 과정이 방해 받음이 없이 잘 진행됨. 방해 원인은 첫째로, 외적 세계 및 자기 자체에 대한 각성(지각적 접촉) 이 명확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와, 둘째로, 스스로 욕구와 행동을 억압함으로 좋은 형태의 형성을 방해하는 경우이다. [어떻게], [무엇을]을 [왜]보다 중시. 지금-경험-각성-현실에 초점. 특히 [지금]과 [각성]을 강조, 즉 순간순간의 경험에 중점을 두고 이 현재의 경험들에 대한 연속적인 각성을 강조한다.


(1) 상담 목표들


 우선 집단원들로 하여금 [환경-의존]으로부터 [자기-의존]으로 움직이도록 도전한다. 집단원은 그가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많은 것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도록 돕는다. 즉, 자신의 내부에 있는 중심을 발견하도록 돕고자 한다. 둘째로, 이를 위해 집단원 각자는 자기 각성에 도달하여야 한다. 각성으로 우리는 자신들의 내부에 만들어 놓은 장애물과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자원들과 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조건들을 발견할 수 있다.


(2) 여기-지금


 과거는 가버렸고 미래는 아직 오지 않았으며 의미 있는 것은 오직 현재뿐이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은 과거에 대해 반추하거나 끊임없이 미래 계획을 세우는데 대부분의

시간을 보낸다. 그래서 형태주의 집단에서는 현재와의 직접적인 접촉, 즉 경험을 강조한다. 현재에 대한 강조는 과거에 대한 무관심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과거는 현재 기능화와 관련이 있을 때만 중요하다. 그래서 과거 이야기를 하면, 그것이 현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직접으로 그 대상에게 말하게 요청한다.


(3) 각성과 책임


 각성은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것과 우리가 느끼고 감각하고 행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집단원의 과제는 그의 경험의 구조에 주의를 기울여 [무엇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 각성하는 것이다. 형태적 접근에서는 [왜] 질문은 거의 하지 않는다. 각성의 계속적인 흐름에 주의를 집중함으로써 집단원은 그가 있는 세계에서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지 발견한다.


 형태주의 집단에서는 [지금]에서 각성하고 [어떻게]에서 책임을 지도록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한다:  "당신은 지금 무엇을 경험하고 있습니까?", "당신이 말하고 있을 때 내부에서는 무엇이 일어나고 있습니까?", "당신의 신체는 불안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습니까?", "당신은 이 순간에 물러나기 위해 어떻게 시도하고 있습니까? 그리고 불쾌한 느낌들과의 접촉을 어떻게 피하고 있습니까?", "거기에 앉아서 말하려고 하는데-이 순간 당신의 두려움은 무엇입니까?", "지금 당신 아버지에 대해 말하고 있는데 당신 목소리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습니까?"  


(4) 미해결 문제와 도피


 미해결 문제는 표현 안된 느낌들, 이를테면, 분노, 미움, 격분, 고통, 상처, 불안, 죄책감, 슬픔과 배경에서 방황하면서 완성을 위해 소요하는 사건들 및 기억들과 관련된다. 이들 미해결 상황과 표현 안된 정서들이 확인되어 지금에서 다루어지지 못한다면, 그들은 현재-중심의 각성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기능화를 방해할 것이다. 즉, 미완성의 상태는 완성을 추구할 것이며, 그들이 힘을 얻게 되면 개인은 선입견에 포위되어 강박적 행동, 초조함, 억압적 에너지와 자기-패배적 행동을 한다는 것이다(Polster/Polster, 1973).


 미해결 문제와 관련된 개념이 도피(avoidance)로, 미해결 과제와의 대면하기와 미해결 상황과 연계된 불편한 정서의 경험하기를 피하는 것을 의미한다. 불안, 슬픔, 죄책감, 그리고 다른 불편한 정서들을 대면하여 충분히 경험하기를 도피하는 경향성은 그 정서들이 이면에 깔려 있으면서 생동적으로 충분히 경험하는 것을 방해한다. "내가 만약 내 고통을 다 표현한다면, 사람들은 당황하여 나와는 어떤 일도 하지 않으려고 할 것이다", "내가 만약 유의미 타인에게 분노를 표현했다면, 그들은 나를 버렸을 것이다" 등이 도피의 변이다.


2) 지도자의 역할


 잘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이란 형태의 생성과 소멸의 과정이 방해받는 사람임으로 지도자는 이들 방해요인을 제거시켜, 그때그때 일어나는 도형을 보다 분명하게 부각시킬 수 있도록 돕는다. 형태주의 집단상담의 목표는 집단원이 혼자 힘으로 서는 것을 방해하는 [장애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도자는 집단원들이 그들의 막다른 벽을 부수어 환경 의존으로부터 자기-의존으로 변환하도록 돕는다.  


 지도자의 기능들 중의 하나는 집단원이 그의 막다른 벽을 부수도록 도전하여 성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래서 지도자는 집단원들이 행하고 있는 것과 대면하여 그들의 잠재력을 발달시키도록 직면시켜야 한다. 이 직면에 집단원들 내부에 있는 장애물이 무엇이든 충분히 경험하도록 도전하는 것이 포함된다. "지도자로서 나의 기능은 당신이 여기-지금의 각성에 이르도록 돕는 것이며, 여기에서 도피하고자 하는 어떠한 시도도 좌절시키는 것이다. 이것이 지도자로서 나의 역할이다."(Perls, 1969a, p.74).


3) 집단지도 기술


(1) 책임을 가정하기


형태주의 집단은 집단원들이 그들의 느낌들 및 행동에 대해 책임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지도자는 집단원이 사용하는 언어에 주의를 기울인다. 예를 들면, 어떤 집단원이 "나는 친구를 사귈 수 없습니다"라고 하면 [할 수 없습니다]를 [하지 않겠습니다]로 바꾸어 "나는 친구를 사귀지 않겠습니다"로 재 진술하도록 요청한 다음, 어떻게 느끼는지 묻는다. 그 밖에도 [그것]은 [나]로, [당신] 문장은 [나] 문장으로, [질문형]은 [서술문]으로, [하여야 한다] 문장은 [하기를 원치 않는다] 문장으로 [마땅히... 을 하여야 한다]는 [... 하기를 선택한다]로 바꾸어 재 진술하도록 요청한다.  


(2) 뜨거운 자리


이 기법은 개인의 부분에 대한 깊은 자기 각성을 가져오게 한다. 이 기법은 통상 지도자의 [뜨거운 자리]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시작하여, 집단원들 중에 문제를 해결하기를 원하는 사람은 누구나 지도자 맞은편 자리에 앉도록 안내받는다. 그 자리에 앉기로 결정한 사람은 거기에 앉아서 그를 괴롭히고 있는 구체적 문제를 하나 진술하도록 요청받는다. 지도자의 도전에 의해 그 문제와 관련된 모든 것은 그의 현재의 느낌들 여기-지금의 관점에서 재 진술되어 간다. 이 자리에 앉은 사람은 통상 10-30분 정도 지도자의 도전을 받아넘겨야 한다. 이 기법에서 얻는 점은 첫째로, 이 자리에 앉은 사람은 지도자 및 집단원들이 보고 있는 가운데서 자기를 드러내는 경험을 한다. 둘째로, 집단원들은 이 자리의 사람이 자기를 드러내는 것을 보면서 그들 자신에 대한 각성을 얻을 수 있다.  


(3) 차례로 돌아가기


지도자가 생각하기에 어떤 집단원이 집단내의 다른 집단원들에 대해 다소 애매한 진술을 하였다면, 그 진술을 자기-책임의 문장으로 변환시켜, 그로 하여금 집단원 각자에게 돌아가면서 마주 보고 직접적으로 표현하게 하는 기법이다. 예를 들면, 어떤 집단원이 "나는 이 방에 있는 모두가 미워요"라고 말했다면, 이 문장을 "나는 당신이 미워요"로 변환시킨 다음 집단을 돌면서 집단원 각자를 마주 보고 큰소리로 말하게 한다.  


(4) 빈자리


빈자리 기법은 어떤 집단원이 자기 마음의 다른 부분들과 대화하도록 돕는다. 자원한 집단원은 그가 의식하고 있는 자신의 측면들을 빈자리에 투사하도록 지시받는다. 예를 들면, 어떤 집단원이 그의 공격적 행동 때문에 그 자신에게 화를 느끼고 있으면, 지도자는 그 빈자리를 향해 그 공격성의 느낌을 표현하고, 그다음에 빈자리에 가서 그의 공격성의 역할에서 반응하도록 지시한다. 그 사람으로 하여금 그의 공격성과 접촉하도록 돕는다.  


(5) 신체 언어


신체 언어 혹은 단서를 사용해서 어떤 문제를 다루도록 조력하는 기법이다. 만약 어떤 집단원이 의자 측면을 두드리고 있다면, 지도자는 "당신의 손이 의자에게 말하고 있는 것이 무엇입니까?"라고 질문한다. 형태주의 집단에서는 신체 운동은 그 사람의 전체성과 관련되어 있다는 신념에 입각한다. 신체에서 일어나는 것은 마음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6) 질문형을 서술형으로 고치기


형태주의 집단의 지도자는 질문들은 혼합된 메시지들을 보내고 정직한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당신은 정말로 그것이 문제라고 생각합니까?"라는 질문은 "나는 그것이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그래서 집단원의 모든 질문형을 서술형으로 바꾸어 재 진술하도록 요청한다.  


(7) 승자와 패자 간의 대화(Top-Dog and Underdog Introjections)


내사는 정신분석에서 빌린 개념으로 개인은 그 자신의 내부에 다른 사람, 특히 부모의 측면들을 취하는 과정을 말한다. 개인은 자신의 내부에 부모로부터 혹은 유의미 타인들로부터 옳고 그름의 기준으로 취한 것에서 승자적 지위를 점하고 있는 부분과 항상 이에 대해 방어적 자세 취하는 패자적 지위를 점하는 부분을 지닌다. 승자적 부분은 정신분석의 초자아가 지니는 기능에서 행하고, 패자적 부분은 승자적 부분에 대해 방어하고 사과하고 게임으로 일관하여 두 부분은 언제나 갈등한다.  집단에서 이 기법은 이들 둘 간의 구별을 학습하는 데 사용한다. 승자적 부분은 주로 [너-문장]으로 진술되고, 패자적 부분은 주로 [나-문장]으로 진술되는데,  지도자로부터 이들 둘 간의 대화를 요청받게 된다.  


(8) 섭섭함과 고마움 표현하기


형태주의 집단 지도자는 집단원들이 섭섭함과 고마움을 서로 표현하도록 요청한다. 특히 집단의 매 모임이 마치기 직전에 표현한다. 이 기법을 사용하면 이전 모임이나 현 모임의 미해결 문제를 다룰 수 있으며, 집단원들 간 접촉의 기회가 되며, 부정적 느낌들 못지않게 긍정적 느낌들을 각성하게 돕는다.



이전 06화 3-1. 정신역동적 접근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