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성웅 Dec 26. 2022

'비엔나 왈츠'와 함께하는 오스트리아 무도회(Ball)

어느 군사 외교관 이야기 (오스트리아, 제10화) 

와인과 음악, 그리고 춤

우아하고 화려한 무도회



음악과 춤의 나라

오스트리아는 독일 문화권을 기반으로 보헤미안, 슬라브 문화가 가세한 곳이다. 우리에게 음악과 춤의 나라로 알려질 정도로 유럽 정통 문화에 대한 수준이 높고 아름다운 경치에 사회보장이 잘된 선진국이다. 그리고, 세게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중의 하나라는 수도 비엔나는 매우 보수적이지만 자유로움이 가득한 도시이다. 유전학의 '멘델', 정신분석학의 '포로이트', 건축가 '훈데르트 바싸', 화가 '클림트' 등의 독창성도 이런 환경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오스트리아는 만주 대륙의 중북부에 해당하는 북위 47도 정도에 위치하여, 겨울은 눈이 많고, 춥고 음산한 바람이 부는 계절이다. 하지만, 이들은 오히려 이 겨울철 내내 스키, 음악, 오페라 춤 등을 즐기며 즐겁고 활기차게 보내려고 한다. 동계 월드컵에서 ‘엘 마이어’ 등 세계적인 스키 선수가 많이 탄생한 이유이기도 하고, 음악에도 ‘모차르트’, ‘요한 슈트라우스’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음악가가 많이 배출되었다. 이처럼, 음악에 좋은 와인까지 있으니… 춤이 없을 수 없다. 오스트리아 사람들은 춤을 잘 춘다. 몇 사람이 모이기라도 하면 금방 음악이 나오고 춤을 춘다. 


어릴 적부터 웬만한 가정 행사에서 부모, 형제, 조부모와 함께 춤을 추고, 고교 정규 과목에도 춤이 포함되어 있어, 이성과 정식으로 교제하는 기회도 된다. 우리 중매제도 대신 춤추는 시간에 배우자를 고를 기회를 갖는 셈이다. 미국 (사립) 고등학교 학생들도 Prom 등으로 년간 두어 차례 유사한 행사를 개최하지만 춤을 제대로 못 추니 무도회의 원조격인 오스트리아와는 격이 많이 다르다. 오스트리아의 무도회에서 추는 춤은, 3/4박자의 경쾌한 스텝으로 '합스부르크' 왕가의 귀족문화를 통해 전수된 ‘Winner Waltz (비엔나 왈츠)’이다. 


실용적인 미국과 달리, 오스트리아에서는, 합스부르크 왕가의 귀족문화를 통해 전수된, 이른바 ‘Ball’이라고 불리는 ‘전통 무도회 문화’가 굉장히 활성화되어 12월부터 3월까지 겨울 내내 펼쳐진다. 외교, 국방부 등 정부 각 부처별은 물론, 민간인들도 회사나 직업별로도 이발사 Ball, 빵집 주인들 Ball, 회계사 Ball 등 약 300여 개의 Ball(무도회)을 12월 중순-3월 초까지 쉴 새 없이 개최하여 전통 사교춤인 비엔나 왈츠를 추거나, 가면무도회 등으로 길고도 엄습한 겨울을 밝고 즐겁게 보낸다. (일부 관광사는 Ball List를 발행한다) 


선남선녀의 로망, 우아하고 화려한 무도회 

Opera Ball에 입장하는 선남선녀들 

이런 행사에는 미국 등지의 저명인사들이 각종 무도회에 참석하기 위해 비싼 돈을 지불하고 오래전부터 예약한다고 한다. 참가 비용은 무도회 수준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1인당 100달러부터 시작한다. 하지만, 비엔나의 '오페라하우스 무도회' (줄여서 Opera Ball)에는 미국의 '할리우드' 스타 등 세계적 저명 명사들이 참석하며, 동양인으로는 유별나게도 많은 일본인이 거의 1,000달러 이상하는 비싼 입장료를 내고 예약하여 1년 이상 기다린다고 하였다. (좌 측 사진 참조)


무도회마다 전통 사교춤인 3/4박자의 경쾌한 ‘비엔나 왈츠’가 주가 되지만, 이브닝드레스나 연미복을 잘 차려입은 수 백명의 선남선녀들이 짝을 지워 엄청나게 큰 궁전의 드넓은 플로워(마루) 위에서 음악에 맞추어 함께 춤추는 장면을 보면, 영화에서나 보던 장면들 그대로이다. 주로 큰 예술건물이나 고성(古城) 등에서 개최되는 무도회장에는 대연회장 외에 여러 방이 있어 왈츠가 지겨우면 다른 방으로 가서 지르박, 차차차 등 다양한 춤도 추고 고고 등 막춤을 추기도 하고, 일부는 '가면무도회'를 하기도 한다. 그러다가 새벽 3시쯤 되면 행사는 서서히 막을 내리고, 행사 막판에는 ‘똠볼레’라는 일종의 경품행사도 하면서, 긴 겨울밤을 즐겁게 보낸다. 재미있는 것은 '쥬커베커'라는 '빵집주인들 Ball'에 가면 입장료보다 훨씬 많은 빵을 경품으로 한아름씩 주기도 한다. 


장교 Ball에 입장하는 필자(오른편 세 번째 흰옷) 내외

이처럼 많은 무도회 중에서도, 오스트리아 국방부는 관례에 따라 국방장관 내외가 주관하는 ‘장교 Ball’을 옛 궁전인 호프부르크 궁에서 전통식으로 개최한다. '장교 Ball'에서 귀빈으로 초청된 국방부 인사와 주재 무관들이 입장하는 동안, 사관생도와 여자 친구들 100쌍이 도열(사진 좌측에 흰 드레스를 입고) 하며 귀빈을 맞이한다. 그러고 나서, 장관 내외와 귀빈, 그리고 사관생도들이 나란히 춤을 추는데 옛 모습 그대로 진행하는 거라 매우 품격이 높은 무도회로 알려져 있다. 무관들은 '장교 Ball'외에, 사관학교 Ball, 부사관 Ball과 각 부대나 병과별의 다양한 Ball에 귀빈으로 피 초청되어 겨우내 매우 바쁜 시간을 보내는 데, 이런 행사를 통해 많은 군부 인사들과 친교를 나누게 된다. 


출국 전 무관교육을 받을 때, 미리 "여러 춤을 배워 오라"는 전임자의 권유도 받았고, 경비 지원도 가능하였으며, 우리 육군이 지급한 만찬복도 이런 행사용이지만, 춤을 춘다는 사실이 영 쑥스러워서 그런 기회를 외면해 버렸다. 그리고, 그 대가로 Ball에서 '비엔나 왈츠'를 못 추어 진땀을 흘리며 엄청나게 고생(?)했다. 


'왈츠'에서는 누군가가 나의 부인에게 춤을 청하면, 나도 가만히 있지 않고 그의 부인에게 답례하는 것이 예의였다. 하지만, 춤을 못 추니 꾸어다 놓은 보릿자루 신세였다. 낯선 행사에서 필자가 안절부절못하고 있을 때, 일본 무관과 그 부인이 우리 내외를 참 많이 배려해 주었었다. 그 내외는 필자처럼 나무토막처럼 딱딱하게 굳어서 그저 피하고 싶은 마음으로 뻘쭘하게 앉아있는 사람에게 Open Mind로 접근하여 춤을 리더해 주었다. 그가 아내의 춤을 리더해 주는 동안, 일본 무관 부인 '요리꼬'는 필자에게 처음 '비엔나 왈츠'를 가르쳐 주고 함께 춤을 춰주었다. 여성이 리더해 준 것이다. 필자로서는 못 추는 춤을 추어야 하니 혹시 상대방 발이라도 밟을까 봐 온몸이 땀으로 흥건히 젖을 정도였고...

 

Ball에서주로 추는 비너왈츠(비엔나 왈츠)

그런데, 이렇게 고통을 당한 것은 필자만의 문제가 아니었다. 우리 외교부 공무원 중에도 제대로 춤을 추는 사람은 당시로서는 거의 없었다. 하지만, 서구 문화를 일찍부터 접해서 인지 일본 외교관이나 군인들은 우리와 달랐다. 자료를 보면 군국주의 일본군은 이미 1890년경부터 당시 군사대국이던 프로이센(독일)이나 오스트리아 등으로부터 군사 문물은 물론, 귀족출신 장교들의 군사문화였던 무도회(춤) 문화가지 모방하였다. 군 장교들 간에 '비엔나 왈츠'가 광범위하게 애호되었던 이유이다. 


그런 영향 탓일까? 서투르고 쩔쩔매는 우리 부부와 달리 일본 무관 부부는 춤에 아주 능숙하였다. 그는 아직 30대 후반인데도 대령이었다. 그 부부에게는 아장아장 걷는 꼬마 아이가 있어서, 무관단 가족 행사 때마다 마스코트처럼 모두의 귀여움을 받았다. 나이를 물으니, 소령급 군사학교인 독일 육군 지휘참모대학에서 졸업 직전 중령으로 진급하여 실제 계급은 중령이었지만, 바로 무관으로 부임하면서 직책에 맞게 임시로 직위 진급을 하였단다. 그는 항상 웃는 얼굴로 대인관계 등 매사에 적극적이었고 젊은 부인도 그에 못지않게 활달한 성격이라 나이 든 무관과 부인들에게 활력을 주었다. 세상살이가 나이가 아니라 인품이 중요한 이유였다. 


춤을 못 추는 것이 우리 대사관만의 문제가 아니었든지 오스트리아 외교부도 외교단의 이런 무도회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문예진흥 프로그램의 하나로 매년 외교관들을 위한 사교춤 강습을 약 12주간 과정으로 주말에 개설하였다. 대사관에서도 대사, 공사, 참사관 및 필자 내외 등이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비엔나 왈츠'를 중심으로 각종 춤을 열심히 배웠다. 동병상린이랄까? 이 과정에서 우리는 우리와 같은 문제를 안고있는 많은 국제기구 및 다른 나라 외교단과도 친밀하게 지내게 되어서 부수적인 효과도 톡톡히 보았다. 


육군 만찬복을 입은 필자와 오스트리아 장성, 일본 무관내외

필자 내외가 춤을 배운 후, 2, 3년 차에는 일본 무관과 우리 2쌍이 어울려 다니면서 IAEA Ball 등 많은 국제기구 Ball에 가서도 아시안도 뭐든 다 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 준 것 같아 뿌듯하였다. 그 내외와 행사기간을 같이 보내면서 일본 사람답게 여러 가지로 배려하는 모습을 참 많이 배웠고, 그걸 계기로 그들과 더욱 친하게 되었다. 여기서, 한 가지 기억하고 싶은 것은, 우리 육군이 지급한 장교용 만찬복(흰색은 하복)이, 춤을 추다보면 열기가 훅훅나는... 이런 Ball 에서 굉장히 유용하고 효율적으로 쓰이도록 디자인되었다는 것이다. 일본과 오스트리아는 상의가 길다란 예복인데, 우리 군은 동계, 하계별로 만찬복외에 상의가 길다란 예복도 있다. 부인들의 팔소매와 댄스용 신발은 무도회 철이면 쉽게 구할 수 있다. 


춤을 뒤늦게 배웠지만, 필자 생각에, 춤은 굉장히 건전하고 사교적인 스포츠이다. 예로부터 가무를 즐겼다는 한민족의 DNA 탓인지 'K-POP'이라는 우리 젊은 아이돌들은 춤으로 세계인들을 열광시키고 있다. 하지만, 한국 중장년들은 춤 이야기만 나오면, 다소 긴장하는 편이다. 이른바, '춤바람 댄스’에 대한 편견 때문이다. 


한국전쟁이 막 끝난 1950년대 중반, 소설 ‘자유부인’이 ‘서울신문’에 연재되었다. ‘남녀칠세부동석 (男女七歲不同席)’의 유교적 전통이 강하게 남아있던 한국 사회에서 대학교수 부인과 남편 제자의 춤바람으로 가정이 파탄 나는 내용인데..., 부부가 아닌 성인남녀가 몰래 만나 손을 잡고 몸을 비비며 춤을 춘다? 당시로서는 그야말로 별천지이고 충격이었다. 그런데, 얼마 뒤, 박모라는 춤꾼이 70여 명의 가정 부부를 농락한 사건이 실제로 터졌다. 때 마침, 집권한 5.16 군부정권은 정치, 사회, 도덕 혁명에도 손을 댔다. 조직폭력배 소탕과 더불어, 불법 사교댄스도 부도덕의 상징으로 엄격히 단속하였다. 


덕분에, 누군가가 그런 장소 주위를 얼쩡거리면 당연히(?) 구설수에 올랐다. 하지만, 남녀가 몸을 접촉하며 움직이는 즐거움 탓일까? 당국이 춤을 아무리 단속해도, 젊은이들은 '고고'나 막춤을 추었고, 중년 여인은 장바구니를 들고 시장대신 지하로 숨어들어 더욱 음습하고 껌껌한 가운데 '블루스' 등의 느끼한 춤으로 몰려들었다. 정부가 어떻게 인간의 원초적 욕망을 막을 수 있을까? 그런 상황이 수 십 년 오래도록 지속되었다. 


필자의 세대는 그런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춤추는 걸 손사래 치거나, 춤을 비난하는 사람들은 거의 필자처럼 소질과 능력을 개발할 기회가 없었던 탓이었을 거다. 그래서, 그 고생을 당한(?) 것이다. 다행히, 우리 다음 세대는 어릴 적부터 춤과 음악을 자연스럽게 접하는 문화에 살고 있다. 그리고, 평생교육의 일환으로 춤을 배우는 나이 든 이들도 많다. 그런데, 어떤 춤 전문가 말로는, 겉으로는 우아하게 보이지만 가장 '야한(남녀 신체접촉이 많은)' 춤이 오히려 '비엔나 왈츠'라고 하니, 부부끼리라면 가벼운 운동 하듯 흥겨운 음악에 맞추어 기분전환 삼아 이런 건전한(?) 춤을 시도해 보길 권한다. 이렇게라도 하면 춤에 대한 편견이 바뀌어질까? 


여담으로, 당시 우리가 다녔던 ‘엘 마이어 춤 강습학교(El mayer tanzen Schule-세계최고의 댄스학교)’에는 북한의 기쁨조까지 교육을 받으러 왔다고 해서 화제가 되었다. 이처럼, 오스트리아 무도회가 우아하고 고급스러운 무도회의 품격으로 유명하자, 미국, 영국 등 일부 선진국들도 무도회를 하나의 사교행사로 여겨, 유사한 직장 Ball 행사들을 많이 개최한다. 미군들도 예복을 차려입고 대부분 자비부담으로 각종 Ball 행사를, 각 부대별로 개최한다. 그런데, 이들 행사는 춤보다는 흥미위주 게임 등에 많이 치중하는 듯하다. 예컨대, 사령부급에서 장교단 Ball을 하면, 주관하는 사령관이 President(회장)이라면 장교중 가장 막내인 중위를 Vice President(부회장)으로 임명하여, 일 년 내내 근무하는 동안 불편했던 영관급 상급자를 골려주면서 좌중의 폭소를 유도하는 식이었다. 물론, 행사 말미에 춤을 추기도 하지만...    


흥미로운 것은, 아르헨티나, 멕시코 등 중남미에서도 오스트리아 무도회처럼 여성의 '15세 생일 축하 파티 (피에스타 데 낀세)'를 한다. 이 파티는 일종의 딸의 성인식으로, 마야문명이나 아즈텍 문화의 유산이라는데, 딸 아버지는 파티를 위해 유명 관광지나 명소의 좋은 장소를 예약하여 가족이나 딸의 친구들을 초청하여 밤 9시부터 다음 날 새벽녘까지 춤을 추고 음식을 즐기며 딸의 생일을 축하한다. 아버지는 행사 시작과 함께 딸과 춤을 추는 기쁨도 있지만, 비용 문제로 그야말로 등골이 휘어지기도 한다는데, 이러한 가족 무도회가, 유럽에서 오랜 역사를 지닌 오스트리아의 무도회와 시간, 형식, 행사내용, 진행 방법까지 유사하다니 매우 이채롭다.


춤에 관해 북한은 우리보다 개방적이다. 매년 8월 28일에 국가 행사로 개최하는 '청년절' TV소개 자료를 보니, 춤과 음악이 발달한 러시아의 영향을 받은 탓인지, 아니면, 김정은의 지시인지, 어쨌든 수천 명의 청춘 남녀가 잘 훈련받은 '포크 댄스'를 추는 장면이 나왔다. 그리고, 2022년 12월에는 무슨 '광명성 미사일 발사 기념' 행사라며, 역시 수 천여 명의 청춘 남녀들이 손에 손을 맞잡고 이 춤을 추는 모습이 공개되었다. 극한의 추위로 바람 부는 드넓은 야외 광장에서 춤이라니... 물론, 공산당 지도층인 평양 시민의 자제에 국한된 현상이라 생각되지만, 같은 나이 또래의 우리 대한민국 고등학생들은 밤낮 주야 대학입시 준비에 여념이 없는데...  


오스트리아는 군사적으로 비록 유럽의 일개 약소국에 불과하지만, 한 때는 유럽의 중심국가였던 만큼, 수도 비엔나는 외교활동의 중심 도시답게 Ball 외에도 다양한 모습의 외교적 전통이 남아있어 28개국에서 파견된 무관단은  매우 활발하고 수준 높은 군사외교활동을 전개하였다. 혼자서 고군분투했던 교환교관/연락장교로써 경험한 미국의 군사외교관 생활과는 그 격이나 수준이 달랐다. Ball이라는 독특한 행사를 음미해 보면, 참 많은 것을 알려준다. 비엔나는 필자에게 군사외교관으로서 시각을 넓히고 업무와 매너를 많이 배워 주었다.

작가의 이전글 신년 음악회와 오페라, 그리고 사물놀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