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안정 Nov 17. 2023

오늘의 내가 내일의 나에게

또 속았구나.

나한테.


어제의 내가 오늘의 나에게 

오늘의 내가 내일의 나에게

보내는 위로 “괜찮아”     


어제보다는 오늘이, 오늘보다는 내일이, 

좀 더 행복해질 거라는 근거 없는 믿음으로 내가 나를 속였다.


어떻게 행복해지는 지도 모르고 무작정 행복해질 거라는 믿음

그 믿음이 나를 힘들게 하고 있다.


매번 시작과 끝이 없는 뫼비우스의 띠를 돌고 도는 느낌으로

하루를 보낸다.


정작, 나에게 있어서 소중한 것은 무엇인가?

행복을 절제하고, 내일의 행복을 위해 아껴둔 마시멜로를 꺼내 들었지만

결국, 또다시 주머니에 넣고 오늘을 걸어간다.


관성에 길들인 어제가 마음속에서 이 핑계, 저 핑계를 댄다.


왜? 행복으로 가는 길이 이렇게 어려운 것일까?

행복해져야지 하는 순간부터 행복은 업무처럼, 일로 다가온다.     

쉬는 것조차 생산적인 일이 아니면 나태하게 보낸 것 같아 

나에게 미안하다.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누가 혼내지도 않는데

내가 나를 힘들게 하고 있다.


‘나만 이렇게 사는 것 아니겠지?’라며 이 책 저 책을 읽어본다.

다들 사는 것이 어렵다는 말을 한다.     

하지만 정작 어떻게 살아야 어렵지 않게 살 수 있는지는 아무도 가르쳐 주지 않는다. 그건 “정답이 없는 질문이기 때문이다.”     


싫으면 안 하면 된다.

아프면 쉬면 된다.

울고 싶으면 울면 된다.     

그런데, 우리는 모두 그렇게 ‘단호하지 못하다’


싫어도 참으면서 하고

아파도 참고 나가서 일하고

울고 싶어도 참는다.


인생은 “내가 하고 싶은 대로 해서” 되는 것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해야 한다.’라고 말해주고 싶다. 그렇지 않으면 매일이 똑같은 삶이다.     

변화를 원한다면 나부터 변해야 한다. 물론 말만큼 쉽지 않은 것이 바로 익숙한 ‘타성’이다.


누구나 주머니 속에 마시멜로를 담고 살아가지만

어떤 이는 잊어버리고

어떤 이는 먼저 먹어버리고

어떤 이는 녹을 때까지 놔두다가 결국 버린다.


지금 당장 ‘행복하지 않다면’ 

행복해지기 위한 공부가 필요하다.     

국어, 영어, 수학, 과학처럼 

책상에 앉아 시험을 보기 위한 공부가 아닌


나를 알아가는 나다움에 대한 공부이다.


실패해도 괜찮다는 마음

실수해도 괜찮다는 마음

그 마음이 자신을 발전시킨다.     

그러니, 내일의 나에게 오늘의 내가 줄 수 있는 선물     

그것은 ‘행복’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공원을 산책하는 길조차 친절하지 못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