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시지프 Sep 30. 2023

「‘은은한 광기’」

"그들"의 시선을 넘어

 인간 존재가 근원적으로 세계와 관계하는 방식은, ‘기분’이다. 기분에 따라 세계를 향한 태도가 달라진다. ‘근원적 태도’에 대한 당위성으로 그 태도의 흔들림의 정도가 작을 수는 있지만, 태도 자체가 변화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無常]. 기분과 상황은 그때그때 셀 수 없이 많은 ‘태도’를 산출한다. “그들[世人]”은 태도의 비일관성에 경멸의 시선을 보낸다. 일관성은 ‘질서’를 향하고, 비일관성은 ‘혼돈’을 향한다. 존재 그 자체는 혼돈이다. 순수한 실재는 혼돈이다. ‘질서의 옹호자’는 ‘혼돈을 은폐함 없이 주시하는 자’에게 광인(狂人)이라는 낙인을 찍는다.

 광인은 순수함의 강렬함에 끊임없이 이끌리는 자가 아닐까? ‘혼돈’ 그 자체에 매료되는 자는 고통에 휩싸이기 쉽다. 들뢰즈 또한 이 점을 경고한다. 강렬한 욕망의 리좀-되기가 “파시스트적인 것, 자살적인 것, 착란적인 것”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실험’을 통해 자신의 지도를 제작하라고 권유한다. 분열자(광인)-되기를 실천하려는 자는 파시즘을 추종하지 않고, 자살에 매료되지 않고, 착란에 휩싸이지 않는 절도(節度)를 지녀야 한다. 분열 그 자체를 긍정함은 참된 자유를 향유할 수 있는 길이기도 하지만, 자유에 중독될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은은한 광기’는 욕망에 중독되지 않는 길일 수 있다. ‘은은하다’는 ‘겉으로 뚜렷하게 드러나지 아니하고 어슴푸레하며 흐릿하다.’라고 정의된다. ‘은은한 광기’는 자신의 ‘?-존재’의 가능성을 은폐하지는 않되, 그 가능성을 전적으로 없애려 하지 않음으로 드러난다. 인간은 그 자신이 가진 고유한 가능성으로 실존한다. ‘은은한 광기는’ 억압과 착란의 적절한 해독제일 수 있다. 그로써 인간-존재는 세인의 시선이 부과하는 무거움에서 해방될 수 있고, 존재의 참을 수 없는 가벼움에 스스로 선택한 무거움을 부과할 수 있다.

 순수한 질서는 강박적이다. 순수한 혼돈은 히스테리적이다. 순수한 질서는 “1”이고, 순수한 혼돈은 “n-1”이다. 인간-존재는 근원적으로 자유를 갈망한다. 자유는 “그들”의 시선에서 ‘비일관된 행위’를 허용한다. 파멸을 부르지 않고 절망을 부르지 않으며 배려하는, ‘은은한 광기’는 도리어 ‘행복의 길’이 아닐까?

작가의 이전글 반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