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디어문 Jun 22. 2024

암 이야기 2

위로는 필요하지 않아요.

암에 걸리면 하늘이 무너질 줄 알았어요.

지금껏 해오던 걱정들이

솜털처럼 가벼워질 줄 알았어요.

병기에 따라 정도가 다를 수 있겠지만, 마음에 새겨질 두려움과 슬픔이 아무리 적어도 가볍다 할 수 없을 거에요.

사실 하늘이 무너지는 것보다 더 무서운 건 일상이 무너지는 겁니다. 어쩌면 같은 건지도.



수술을 앞둔 나의 고민은 여전히 사소합니다.

내가 없는 동안 큰 아이 밥은 어떻게 하나.

요리는 못 해도 마트에서 반찬을 사 올 수 있는 만큼은 컸으니 그나마 다행이다.

병원이 너무 멀어서 아이가 찾아오기 힘들 텐데.

얼마 전 입대한 아이에게는 비밀로 해야겠는데 ,

수술 후 회복까지 연락을 못하면 걱정하지 않을까

미리 뭐라고 둘러대면 좋을까


군에 있어서 모르는 게 그나마 얼마나 다행이야

연세가 적지 않으신 엄마는 일도 있는데 병원 왕래하시며 몸살이라도 나지 않을까.

암환자가 되면 걱정하는 스케일도 대범해질 줄 알았는데 뭐가 이리 여전히 사소한지.




드라마 속 주인공은 가족에게 차마 말할 수 없어 친구에게 이야기를 합니다. 저도 그게 자연스럽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막상 내 일이 되고 보니 친구에게 얘기하고 싶지 않습니다. 나보다 더 마음 아파하고, 힘을 주고 싶어할 친구들인데 왜 그럴까.


어떤 말도 위로가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사형선고를 받은 것처럼 놀라는 모습도,

요즘 암 별 거 아니다 걱정하지 말라는 말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아요.


후자의 경우는 솔직히 상처가 되기도 합니다.

암은 가벼운 병이 아니니까요. 그러니 나라에서 산정특례질환으로 선정해서 지원해주는 거겠죠.

내 일이 아니면 모릅니다. 저도 그랬으니까요.

치료도 쉽게 받고 일상 생활에도 지장이 없는 것처럼 보일 뿐이에요. 당사자가 느끼는 두려움과 고통은 결코 가볍지 않습니다.


친구의 반응에 따라 내 마음도 파도를 탈 거에요. 친구는 무슨 말을 해주면 좋을까 고민이 될 테고,

나는 애써 괜찮다 얘기해야 할 테고.

결국 서로가 조심스러운 상황을 굳이 만들 필요가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어요.

물론 사람마다 다를 거에요.

위로받는 방법도 위로하는 방법도.


나는 괜찮지 않습니다.

가족들에게 괜찮은 척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버거워요. 더 이상의 괜찮은 척은 안 하고 싶어요.




암세포가 가장 먼저 전이되는 곳은 마음입니다.

현실을 받아들이는 것도

치료 후의 달라질 삶을 그리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혼자 불안해하는 것도

누군가와 불안을 나누는 것도

위로를 받는 것도 어렵습니다.


결국

나를 위로할 수 있는 사람도

나를 일으켜 세울 수 있는 사람도

나 자신뿐이라는 걸 압니다.

오늘을 잘 살아낸 내가

내일의 나에게 힘이 되어줄 거예요.




몸은 고단하지만

근무하면서 아이들과 함께 하는 동안만큼은

암도 가족도 걱정도 잠시 잊어요.

그만두어야 할지 모른다 생각하니 애틋하면서

이 시간을 이렇게 견딜 수 있어 다행입니다.

내가 필요한 건 위로가 아닙니다.

나의 일상이 무너지지 않을 거라는 확신입니다.



반갑지 않은 친구가 찾아온 이유가 있겠죠.

삶을 귀하게 여기지 않는 제게

따끔하게 가르쳐주고 싶었나 봅니다.

하나뿐인 너의 삶을 소중히 여기라고.








작가의 이전글 암 이야기 1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