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꿈꾸는 엄마 Apr 17. 2024

스트레스는 아픔이 아니라 나를 위한 질문이다.  

육아를 하면서 어느 날 심하게 아픈 적이 있다. 

머리가 깨질 것처럼 아팠고 잠도 못 자고 밥도 몇 날 며칠을 제대로 먹지 막 했다.

몸이 아프다 보니 당연히 아이를 제대로 돌볼 수 없었고 나는 시골에 있는 친정엄마에게 도움을 청했다.

엄마는 딸이 아프다는 소리에 한걸음에 달려와주었고 나 대신 아이를 돌봐주셨다.

나는 그 이후로 병원에 가서 상담도 받고 약도 먹으면서 조금씩 회복을 할 수 있었다.


상담을 받으면서 의사 선생님이 나에게 말씀해 주셨다.

" 스트레스가 머릿속에 가득 차 있어서 과부하가 온 것 같아요"

" 아이돌 보는 것에 너무 집중하지 말고 운동도 하고 취미생활을 해보라"라는 조언이었다.


나의 아픔의 원인은 "스트레스"였다.

스트레스가 쌓이면서 몸의 신호가 왔고 나는 이렇게 지내면 안 될 것 같다는 생각에 내가 할 수 있는 상황에서 무엇인가를 해보자는 생각이 들었다.

내 몸과 마음은 괜찮지 않은데 그냥 아무렇지 않게 똑같은 일상을 마주하면 나중에 이런 일이 되풀이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두려웠다.


그 이후로는 나는 본격적으로 글을 쓰기 시작했다.

아이를 돌보면서 생산적인 일을 하고 싶었고 열심히 찾아본 결과 나의 SNS채널을  운영하고 재택알바를 하는 것이었다.

그렇게 나는 글 쓰는 것이 하루 루틴이 되었다. 

돈을 벌 수 있는 글과 진짜 내가 싶은 글과 차이를 두고 매일같이 써 내려갔다.

글을 쓰면서 큰돈은 벌 수 없었지만 내가 조금씩 살아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나도 예전에는 회사에 나가 일을 하면서 돈을 벌었던 시절이 생각났다.

엄마인 시점에서 벗어나 나도 생산적인 일을 하면서 소소한 돈을  벌 수 있다는 것에 감사했다.

집에서 어린이집에서 아이가 오기만을 기다리는 엄마가 아니라 한 인간으로서 한 여자로서 나도 무엇인가를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 그저 그 시간이 좋았던 것 같다. 

지금도 나는 매일 글을 쓰고 있다.


글을 통해 아주 느리지만 조금씩 삶의 방향을 찾아가고 있다.



글이 있어 삶의 힘듦과 우울한 시간을 제대로 마주할 수 있는 것 같다. 

스트레스를 받고 몸이 아프다는 것은 내가 살아있다는 증거이다.

나는 그 이후로 모든 스트레스는 나에게 아픔이 아니라 나를 위한 질문이라고 생각한다.

만약 스트레스가 내 안에 오래 머물러 있다면 

그것은 내 몸이 그만큼 더 간절하게 그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는 방증인 것이다.


나같이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아 몸과 마음이 지쳐 있다면 

그냥 주저앉아 있는 것보다 왜 내가 이렇게 몸과 마음이 아프고 힘든지

스스로에게 제대로 물어봤으면 좋겠다.


우린 모두가 가치 있고 소중한 사람이라는 것을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 


작가의 이전글 육아로 낮아진 자존감, 무너진 자존감 일으켜 세우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