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Lan Yoon Feb 14. 2023

다시 봄을 기다리며

점심을 먹기 위해 구내식당에 들렀다. 국대접 크기의 검은색 플라스틱 그릇에 담긴 장칼국수 1개, 작은 납작 접시에 담긴 나물 반찬 3개, 손바닥만 한 단호박 부침개 1개. 그렇게 해서 총 3,700원이 나왔다.   

  

메인 디시(main dish)인 장칼수를 젓가락으로 휘휘 저었더니 딱 세 번 집으면 없어질 양이었다. 국수 그릇을 들고 배식구로 다가가 국수 면발을 좀 더 줄 수 없는지 물었다. 젊은 영양사가 단호한 목소리로 안 된다고 했다. 그런데 그냥 말로만 해도 될 것을 그녀는 양팔을 자신의 가슴팍에 가지런히 모으더니 절제된 동작으로 ‘X’자를 만들어 보였다.     


“면을 더 드릴 수 없습니다.”      


이만한 거절이면 나는 알아들어야 했다. 인지의 뜻으로 그녀에게 고개를 약간 숙여 끄덕이곤 자리로 돌아와 국수와 부침개, 그리고 나물을 먹었다. 다 먹었는데도 포만감은 전혀 없었다. 건강관리 차원에서 탄수화물을 줄이겠다고 나섰더니 요즘에는 밥을 먹어도 도통 배가 부르지 않다.    

  

‘이게 무슨 사는 거람!’     


빈 그릇을 돌려주고 나오는 길에 여전히 배가 고픈 나는 매점에 들러 바나나를 샀다. 구내식당 문을 열고 밖으로 나오자 따뜻한 햇볕이 한가득 내 얼굴로 내려앉았다. 부드럽게 쓰담쓰담하는 볕의 촉수는 매서운 추위 속에서 감질나게 맛보기 하던 그런 따사로움이 아니었다. 


바나나가 든 비닐봉지를 한 손에 들고 푸근한 날씨 속에서 느릿느릿 좀비처럼 오래 걸었다. 길 한가운데서나 건물 코너에서, 심지어 골목에서도 햇볕은 한결같이 나를 따라다녔다. 그런데 볕이 어디 나만 따라다녔으랴. 거리에 나온 저 많은 사람 하나하나에 다 따라붙고 있으니, 이 정도로 쏟아져 나올 양이면 이제 곧 봄이 오리라.      


오랜만의 산책으로 고질이던 왼쪽 무릎이 시큰해져 사무실로 다시 돌아올 즈음에는 걸음을 살짝 절었다. 무리했나 싶어 자책하는 마음이 들려다가 이내 고쳐먹었다. 봄이 온다는데 이쯤이야, 그래 진짜 이쯤이야 싶었다.               

작가의 이전글 2023년 1월 4일, 겨울 저녁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