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체질량지수는 인종차별 성차별입니다

아무리 먹어도 살이 안찌는 사람이 있는 반면 물만 마셔도(?) 살이 찌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진실은 단순하다. 살 안찌는 사람을 잘 관찰해보면 일정한 한도 이상은 안 먹는다. 물만 먹어도 살찐다는 사람은 먹는 양의 자신의 생각보다 훨씬 많거나 생활습관이 나쁜 경우가 많다. 


다이어트를 시작하기 전에 가장 먼저 할 일은 자신이 다이어트를 해야 하는지를 결정해야 한다. 요즘 사람들은 특히 젊은 여성들이 지나치게 살을 빼려고 시도하기 때문이다. 자신이 날씬한데도 심지어는 말랐는데도 살 쪘다고 생각하고 다이어트를 하려고 한다. 그것을 실패할 뿐만 아니라 성공하더라도 후유증이 심각하다는 명심하여야 한다. 하버드 대학 연구진이 1988년에서 2017년 사이 약 30년 간 주로 여성인 성인 약 20만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결과가 그것을 잘 보여준다. 운동으로 4년간 다이어트를 한 결과 마른 사람은 평균 0.4% 체중이 줄었다. 단식, 다이어트 프로그램 및 약의 조합으로 다이어트를 한 경우 오히려 3.7%나 체중이 늘었다. 더욱 무서운 것은 날씬하고 마른 사람은 장기적으로(24년 뒤) 어떤 방법으로 체중을 감량하더라도 당뇨병 발생위험이 높아진다는 사실이다. 운동으로 살을 뺀 사람은 9%, 다이어트 약이나 세 가지 조합으로 살을 뺀 사람은 54%까지 당뇨 위험이 증가했다. 당뇨병은 ‘심각한’ 질병이다. 마른 사람이거나 정상체중인 사람은 다이어트를 하면 안 된다. 게다가 다이어트에 지나치게 매달리다가 죽는 일까지 생긴다. 2006년 브라질의 한 여성 모델이 지나친 다이어트와 거식증으로 사망했다는 뉴스가 나왔다. 패션모델인 그녀는 174cm에 체중이 40kg이었다. 살을 빼려고 설사약을 복용하거나 의도적인 구토를 하는 등 먹는 것을 기피하다가 난 사고였다. 


다이어트를 시작하기 전에 자신이 비만인지 또는 정상 체중인지를 알아야 한다. 보통 체질량지수로 비만여부를 판단한다. 체질량지수는 1830년대 수학자 아돌프 케틀레(Adolphe Quetelet, 1796~1874)가 개발했다. 체질량지수를 계산하는 것은 간단하다. 몸무게(kg)를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예를 들어 몸무게가 70kg, 키가 175cm이라면 체질량지수는 25이다. 70을 1.75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보통 체질량지수가 30 이상이면 비만으로 본다. 175cm인 사람은 78.75kg이 넘으면 비만이다. 그러나 이 기준은 서양인을 기준으로 설정한 값이어서 우리나라 사람에게 그대로 적용하기는 무리가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 사람의 비만 기준은 25가 적당하다. 175cm인 경우 76.6kg이다. 18.5 미만은 저체중, 18.5~22.9는 정상체중, 23~24.9는 과체중, 25~29.9는 1단계비만, 30~34.9는 2단계비만, 35 이상은 3단계비만으로 분류한다. 175cm인 경우 정상체중은 70kg까지이다. 우선 저체중인 사람은 다이어트는 ‘금지’이다. 정상체중인 사람도 다이어트를 한다면 아주 서서히 건강에 유리하게 하여야 한다. 1년에 1kg 이하로 하고 운동 등으로 건강을 증진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체질량지수는 서양 남성을 기준으로 만든 수치이다. 또한 인간이란 그렇게 숫자 하나로 설명할 수 없으며 인간은 너무도 다양하다. 그래서 미국의학협회(AMA)는 체질량지수(BMI)가 인종차별적이고 성차별적이라며 폐지를 요구했다. 인종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무시하는 수치이므로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아시아 사람들은 건강한 체질량지수라도 당뇨병 위험이 높다. 여성은 흑인의 경우 엉덩이와 다리 주변에 지방이 많은 반지만 백인의 경우 복부에 지방이 많다. 일방적인 체질량지수가 아니라 개인의 체중과 신장, 허리둘레와 허리-엉덩이 비율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장기 주변에 축적되는 내장지방, 지방, 뼈, 근육의 비율, 비정상적인 혈당 수치 등도 측정할 것을 권고한다.

https://www.ama-assn.org/press-center/press-releases/ama-adopts-new-policy-clarifying-role-bmi-measure-medicine


인간의 몸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복잡하다. 체질량지수 하나만으로 비만여부를 결정하기에는 인체는 너무도 ‘신비’하다. 비만을 측정할 때 또 하나 고려할 것은 근육과 체지방이다. 체질량지수는 체중과 신장으로 계산하기 때문에 근육과 체지방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운동선수처럼 근육이 많은 경우 체지방이 많지 않아도 비만으로 진단될 수 있다. 근육이 별로 없고 지방이 많은 사람이 정상체중으로 판단될 수 있다. 후자와 같이 체지방 비율이 높고 근육이 적은 것을 마른 비만이라고 한다. 이런 사람은 마른 체형이지만 정상체중 대사 비만이라고 한다. 특히 노인은 근육이 줄면서 살이 빠져 체질량지수가 정상임에도 건강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다. 호르몬 변화로 인해 근육이 줄고 체지방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여성의 경우 폐경기 이후 에스트로겐 수치가 감소하면 지방과 내장 지방이 증가할 수 있다. 체중이 정상인 65세 이상의 사람이라도 신진대사면에서 비만이면 사망위험과 심혈관 질환에 걸릴 위험 모두 높다.

체질량지수는 인종차별 성차별입니다 (oheadline.com)


매거진의 이전글 삶과 죽음의 공존, 사는 것이 곧 죽어가는 것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