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윤히나 Oct 30. 2022

그래서, 의류학이 뭐예요?

사실, 저도 잘 모르겠어요.

    학부 때부터 계산하면 내가 성인이 되고도 '학생'으로만 살아온 지 벌써 10년이 지났다. (물론 어디까지나 학교에 적을 둔 학생을 말한다.) 대학입시가 끝나고 부모님께 "머리 터지게 하는 공부는 하기 싫어요."라고 말씀드렸더니, "그럼 기술이라도 배우렴!"하고 던져주신 데가 의상디자인학과였다. 그리고 아이러니하게도 나는 동기들 중 유일하게 아직까지 공부하고 있는 사람이 되었다. (인생은 모르는 것이다.) 자, 그럼 어느새 고인물이된 의류학도에게 묻는다. 그래서, 의류학이 뭐예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사실 나도 잘 모르겠다. 입시를 준비하던 시기에는 오히려 단순하게 옷에 관한 학문이라고 생각했다. 그중에서도 특히 '옷을 만드는 법을 배우는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도 같다. 실제로 내가 진학했던 대학의 의상과에서도 옷을 디자인하고 만드는 실기 수업이 주 커리큘럼이었으니 그 생각이 완전히 틀린 것만은 아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내가 이 분야를 공부하면서 느낀 것은 그것만이 전부는 아니다란 것이다.


    사전적 의미의 '의류학'을 찾아보면, '의류에 관계된 모든 분야를 연구하는 학문'(출처:두산백과), 또는 '인간의 의생활 전반에 관하여 연구하는 학문'(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라고 나와있다. 즉, 처음 내가 생각했던 대로 '옷'과 관련된 학문인 것은 맞다. 하지만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분은 옷이란 단어 뒤에 나오는 '모든 분야', '전반'이란 단어이다. 이것은 이 학문의 범위가 제한이 없다는 것을 뜻하며, 그것은 곧 무한한 가능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실제로 계속 의류학이라는 분야를 다양한 방면으로 공부해온 나 조차도 이런 것도 의류학이라고 할 수 있겠네?! 하고 놀라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아무리 범위가 넓다고 하더라도, 보편적으로 인정하는 범주가 있을 것이다. 해서 국내 의류학 관련 학회들(중 내가 속해 있는 곳들)에서 규정하는 분과들을 살펴보았다. 먼저 한국의류학회에서 분야별로 나누어진 분과는 2021년 11월 기준, 패션마케팅, 의류 소재 시스템, 의류 설계 생산, 패션디자인, 한국·아시아 복식으로 총 5개 분야로 분류하였고, 한국복식학회는 동일 연월 기준으로 의상디자인, 의상 심리 및 미학, 의복구성, 피복 과학, 패션마케팅으로 총 5개 분야로 나뉜다. 두 학회에서 분류한 분과의 명칭의 차이는 있기는 하지만, 그 범위가 크게 다르지 않다. 한국의류학회가 나눈 영역이 좀 더 포괄적으로 아우를 수 있도록 이름을 변경했을 뿐 두 학회가 규정하는 분야는 비슷하다.


    학회들이 규정한 분과들과 내가 지금까지 경험한 것을 토대로 의류학의 분야는 크게 다섯 가지로 나뉜다. 1) 옷을 비롯한 모자, 구두, 가방 등의 소품 등을 설계하는 패션디자인. 2) 3D형태의 인간의 몸에 맞도록 의복의 형태에 대하여 연구하는 의복구성. 3) 다양한 의류용 소재에  대한 분석 및 개발을 하는 피복 과학. 4) 의류제품의 상품화를 비롯 판매전략, 소비자 행동 분석 등을 연구하는 패션마케팅. 5) 역사와 문화적인 관점에서의 의복에 대한 분석을 하는 복식 문화 등이 일반적으로 생각되는 의류학의 영역이다. 그러나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이 분류는 어디까지나 의류학의 범위를 확정시키기 위함이 아니라 편의를 위해 나눈 것일 뿐이란 사실이다. 실제로 학회에서도 분과는 "학자들 간의 정보 공유와 학문적 발달을 도모하고 유대감을 형성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하고 있다 (출처: 한국의류학회). 즉, 실제 연구들은 앞서 설명한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더 다양하다. 임의로 나눈 위의 분과들이 2~3가지 이상이 겹치는 연구 분야도 많고 특히 요즘처럼 융복합 학문이 대두되고 있는 시국에선 의류학 이외에도 다른 학문들과의 접목으로 그 범위가 더욱 확장되고 있다.


    그러다 보니,  분야에 대해 계속 공부할수록 "의류학은 ㅇㅇ이다!"라고  마디로 정의 내리기가 어려워졌다. 앞서 설명한 사전적 정의대로 "옷과 관련한 학문" 가장 그럴듯한 설명이긴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학문이 갖고 있는 진짜 역량을 충분히 표현하고 있지 않다고도 생각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히려 이러한 부분이 의류학이 매력적인 이유이기도   같다. 그리고 그것은 머리 터지는 공부가 하기 싫었던 스무 살의 내가 아직까지도  학문에 대해 공부를 계속하고 있는 이유이기도  것이다. 앞으로 써내려갈 내 이야기들을 통해 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그 매력들을 간접적으로나마 느낄 수 있다면 좋겠다. 해서, 훗날 " 전공은 의류학이에요"라고 했을 ,  이상 얼굴에 물음표를 띄우지 않을 수 있길 바라는 마음과 함께.


이전 01화 제 전공은 '의류학'입니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