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팀장님, 저 내일 사직서 좀 내볼게요”

안 돼, 내지 마 플리즈.

받아라, 사직서


나와 같은 팀으로 일하는 막내 대리가 오늘 퇴근 전 이렇게 얘기한다.


“팀장님, 저 내일 사직서 좀 내볼게요.”

“... 뭐?”


“당장 관두겠다는 게 아니라 어차피 인수인계 한 달은 생각하고 미리 내려고요.” ('말 길 못 알아들어?')

“너는 꼭 퇴근할 때 이런 얘기를 하드라, 내일 다시 얘기하자.”

"네."


착착붙은 고스톱 (다닐지 나갈지) [모든 이미지는 구글과 네이버 출처입니다]


요즘 우리의 분위기가 이렇다. 퇴사와 이직에 대한 생각과 마음이 가득 차 있는 분위기.


일이 제대로 손에 잡힐 리가 없다.


강경하게 사직서를 내겠다고 마음을 굳히면 말릴 재간도 없으며 내가 그럴 처지도 아니다. 준비는 내가 먼저 하고 있었는데...


왜냐하면 나 역시 사직서를 꺼낼 타이밍을 신중하게 바라보고 있으니 말이다.


어제의 영향이 컸으리라. 어제는 한 달 전쯤 관두신 상사분께서 우리 팀을 불러 맛있는 고기와 디저트, 커피를 사주셨다.


오랜만에 이야기를 나눌 수 있어 좋았고, 또 현재 상황에 놓인 우리를 안타깝게 바라보셨다.

결국 빨리 탈출하라는 말씀이다.


무언가를 배울 수 있는 곳이 아니니 인생을 허비하지 말고 어서 나오라는 말...


헛되고 헛되도다 (진심은 정말 아니기를 바란다)


이 곳에서의 내 삶은 3년째 흘러가는 중이다.


처음 1년은 무작정 시키는 대로 열심히 최선을 다했고, 그렇게 하면 이 사업이 잘 되는 것에 일조할 것이라 생각했다.


2년 차 접어들어서며, 거액의 투자금을 받아 사무실도 확장 이전하며 더 좋은 환경에서 근무를 할 수 있게 되었다.


3년 차에 접어드니 투자금을 회수하라는 압박과 함께 소송이 들어왔다.?????


환경을  탓하기 이전에 너 자신을 바꾸라는 주옥같은 명언들이 무색해지리만큼 외부 환경의 변화가 다이내믹하다. 롤러코스터 같은 곳..


스스로는 대단히 허무하고 허망하다는 생각이 밀려들어 괴로운 마음이 들기도 하다.


열심이 성과를 보장하지는 않는다

성장을 하고 성공을 하고 싶어 대표님을 딱 한번 만나 뵙고 이 곳에 들어왔는데 내가 사람을 보는 눈이 정말 한참 잘못되었음을 뒤늦게 깨달았다.


책을 펼쳐 촤르르르 빠르게 넘기면 한 장 한 장의 내용을 알 수가 없는 것처럼 매우 다양한 모습의 대표님을 본다.


때론 뛰어난 전략가, 때론 허망한 실패 주의자, 때론 순수한 열정 주의자, 때론 허풍과 거만함이 잔뜩 낀 비계 낀 돼지 같기도 했으며 비겁하게 도망치는 치졸한 사람으로도 보였다.


그 어느 것도 아직까지 진짜의 모습인지 잘 분간이 되질 않는다. 모든 모습이 진실일 수도 모든 모습이 가짜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했다.


내가 누구게?


이제 한 명이 아쉬운 상황에서 막내 직원이 ‘사직서’를 내겠다고 사전 예고를 하였다.


왜 그만두냐는 질문도 의미 없고 내가 말린다고 들을 친구도 아니니 최대한 이야기를 들어주려고 한다. 이 곳에서 가장 오랜 시간을 보낸 직원에 대한 예의를 갖추고 말이다. 사직서 쓰지 마 이 XX야, 무조건 반려야


거절을 거절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안녕하세요, ooo 님이시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