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NNA Nov 18. 2021

실수에 대해

나는 실수한다. 비로소 ‘나 자신’이 보인다.

오늘도 손톱을 뜯어본다. '아, 불안한데... 아, 실수하면 어떡하지..' 하는 생각들로 내가 어지럽혀진다. 치열했던 취준생 시절, 내 손은 말 그대로 아작이 나있었다. 어릴 적부터 습관처럼 뜯기 시작한 이후로 무언가 조금이라도 불안하면 손을 뜯곤 했으니까. 독서실에 앉아 회사생활을 꿈꿔보다가도, 한순간 나락으로 떨어져 내일 보는 시험에 또 떨어지면 어떡하나 하는 불안이 나를 잠식해버렸다. 한 문제만 떨어져도 불합격이란 문구를 보게 되는 공기업 시험, NCS궐기대회를 하루 앞둔 나에게 '실수에 대한 두려움'은 어쩌면 당연한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입사 후 내 손은, 여느 청춘드라마의 주인공처럼 네일아트로 단정히 손질된 '섬섬옥수'가 될 줄 알았던 것이 가장 큰 착각이었다. 회사 생활은 말 그대로 총성 없는 전쟁터였달까. 마치 벌거벗은 채로 전장에 뛰어든 꼴이었다. 처음 하는 업무에 알고 있는 내용은 아무것도 없는 채로 맞닥뜨리니, 실수는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이었다. 그런데도 나는 작은 실수 하나가 큰 재앙으로 되어버릴까 봐, 불안하고 또 불안해서 실수를 없애고자 무던히도 노력했던 것 같다. 회사 매뉴얼과 규정에 집착했고, 사수가 일을 알려줄 때는 말씀하시는 한 문장을 혹시나 놓칠까 봐 속기사처럼 수첩에 줄줄 대사를 써놓기도 했다.


그런데도 나는 역시나 실수하고 또 실수했다. '이제 좀 괜찮겠지'하고 방심하다 보면 어느새 지뢰처럼 놓여있다가 터지곤 하는 그런 일들이 나를 더욱 겁쟁이로 만들어 버렸다. 그리고 더 슬픈 것은 그 시작이 나의 실수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에서, 퇴근길 자괴감에 빠져 터덜터덜 집으로 향하는 내 모습이 너무 끔찍해져 버린 것이다. 그런 악순환이 계속되는 어느 날, 나는 이제 더 이상 당당하던 내가 아니라 실수에 전전긍긍하고 매사에 방어적인 모드가 장착된 최고의 겁쟁이가 되어버렸다.


영화 '내가 죽기 전에 가장 듣고 싶은 말'에서는 이런 대사가 나온다.

네가 실수를 만드는 게 아니야, 실수가 널 만들지. 실수는 널 더 똑똑하게 하고, 널 더 강하게 하고, 널 더 자립적으로 만들지

이 장면에서 나는 펑펑 울어버렸다. 그동안 하지도 않을 실수에, 혹은 작은 실수에도 나 스스로를 책망하기에 급급했던 나 자신에게 너무나 미안해져 버렸으니까. 고작 실수 하나를 해결하지 못할 만큼, 나 스스로 생각하는 내가 작은 그릇인가?  나는 실수가 두렵고 무섭다. 잘못될까 봐, 무서운 일이 생겨버릴까 봐, 지레짐작하고 겁먹은 채로 도망쳐 버리고만 싶다. 사서 걱정하는 사람, 그게 바로 나다. 영화 속 저 대사가 그래서 내게 유독 울림이 크다. 사실 이 세상에 두려워할 것은 따지고 보면 너무나 많다. 그런데 언제까지고 다가오지도 않을 것을 걱정만 하며 살 수는 없다. 말 그대로 실수는 나를 만들고, 또 나라는 사람을 설명할 수 있는 또 다른 단어이지 않을까.


실수가 어떻게 발전되는지는 정말 나에게 달려있다는 것을 이제는 안다. 실수했으면 인정하고 다시 도전하고, 해보면 되니까. 그리고 또 혹여 내가 같은 실수를 반복해도 스스로를 너무 책망하지 않아야 한다. 나 스스로 으쌰 으쌰 해줘도 모자랄 판국에 혼내기만 하면 내가 너무 짠하니까 말이다. 오히려 내게 “아자아자! 기죽지 말자!”를 외쳐줘야겠다. 실수는 피하는 것이 아니라 가이드북 없는 인생에서 내게 정답을 알려주는 유일한 길이니까, 더 이상 겁내지 말아야겠다.


오늘 하루가 지나면 더더욱 실수가 두렵지 않기를, 그래서 퇴근길 내 걸음에 당당함이 묻어나길 바라본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