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밭 매는 아낙네상 칠갑산은 청양을 대표하는 산이다.
청양은 인구 삼만이 채 안 되지만 매운 고추의 대명사인 '청양고추' 덕분에 유명세를 탄 고장이다.
세계에서 제일 큰 고추 조형물이 세워졌고, 매년 '고추축제'가 열릴 정도로 고추의 고장으로 명성이 나 있다.
내 고향도 고추농사를 많이 짓는 시골동네였다. 고추모종 심고, 고추 따는 일을 거들었기 때문에 고추농사에 대해서는 조금 안다.
꽁보리밥을 물에 말고, 금방 딴 풋고추를 된장에 쿡 찍어 먹는 것이 여름날 흔한 식사 모습이기도 했다.
그 시절에는 '청양고추'라는 이름을 들어 본 기억이 없다. 크기가 작고 뾰족하게 생긴 아주 매운 고추를 '땡초'라고 불렀는데, 아마도 그게 요즘 이야기 하는 '청양고추' 였던 모양이다. 그땐 "작은 고추가 맵다는 속담이 땡초를 두고 하는 말"이라 생각을 했었다
'땡초'는 너무 매워서 못 먹는 고추 정도로 생각했고, 땡초를 토종고추처럼 된장에 찍어 먹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마을사람들은 생계 유지를 위해 고추농사를 지었으니, 그들에겐 고추 한 근 가격이 가장 중요했다. 그때는 중국산 고추가 들어오지 않을 때라, 그해 날씨와 재배 면적에 따라 고추 가격이 형성되던 시절이었다.
고추 한 근에 몇 백 원 하던 때였으나, 시기를 잘 만나 오천 원까지 치솟았던 해도 있었고, 고추농사 지은 사람이 큰 돈을 벌기도 했었다.
워낙 시골동네라 풋고추를 내다 파는 경우는 흔치 않았고, 수확 후 바짝 말린 건고추를 시장에 팔았기 때문에, 크기가 작은 땡초는 농사꾼들 눈에 들지 못했다.
성인이 되어 직장생활을 하면서 '청양고추'를 더 자주 보게 되었다. 고깃집에 가면 '청양고추' 몇 개와 상추, 깻잎이 세트로 따라 나왔기 때문이다.
매운고추는 자주 먹을수록 자신도 모르게 매운맛에 대한 중독성이 생기고, 점점 더 센 놈을 찾게 된다. 시간이 지날수록 청양고추를 찾는 사람이 점점 많아지는 이유다.
케이푸드(K-food)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끄는 데도, 청양고추의 담백하고 매운맛이 한몫 했을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청양'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청양고추'로 불리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기록에 따르면 "종묘업체에서 처음 시험 재배를 했던, 청송(靑松)과 영양(英陽) 지역의 지명 첫 글자를 따 '청양고추'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세월이 지나고 '청양고추' 품종과 동일한 지명을 가진 '청양'에서 고추 생산이 많아지며, '청양고추'의 주산지가 되었다. 지금은 칠갑산 주변에도 고추밭이 넓게 퍼져있다.
이른 아침 콩밭 매는 아낙네상 앞에 선다.
칠갑산에 올 때면 언제나 이 아낙을 제일 먼저 만난다. 그런데 이게 뭔 일이여?
아낙네 표정이 어둡다.
흰색 페인트가 묻었는지, 도색 벗겨진 건지 잘 구분 안 되지만, 아낙네 눈에 백내장이라도 걸린 것 처럼 흉하게 변했다.
무던한 표정과 또렷한 입술 모양을 가진 미인형의 젊은 아낙네 모습이었는데, 부쩍 나이 들어 보이고 호미 든 손도 병든 사람처럼 힘없고 거칠어졌다.
콩~밭 매는 아낙네야~ 베적삼이 흠뻑 젖는다~
무슨 설움 그리 많아 포기마다 눈물 심누나....
홀어머니 두고 시집가던 날
칠갑산 산마루에 울어주던 산새 소리만
어린 가슴속을 태웠소~~~
콩밭 매는 아낙네 흥얼거리며 장곡사 방향으로 향한다. 정상까지 3km 남짓, 반바지 차림에 가벼운 등산화를 신은 탓에 발걸음이 가볍다.
장곡사 지나고 가파른 등산길 시작된다.
덥지 않아 다행이지만, 먹을 거라곤 생수 한 통과 사과 반쪽이 전부인지라, 얼른 다녀와야 한다. 조망 없는 숲길 지루하게 이어지고, '아흔아홉구비' 촬영장소 안내와 함께 첫 조망이 터진다.
푸른 녹음 위로 펼쳐지는 시원한 조망을 즐기며 잠시 땀을 식힌다.
다시 정상으로 향하니, 이내 "七甲山"이라 적힌 정상석 앞에 도착한다.
조망이 뛰어나진 않아도, 겹겹 놓인 산줄기가 잔잔한 물결을 이루며 평화로운 모습을 보여준다.
정상석 앞에서 인증사진 하나 찍고 하산을 서두른다.
먼저 내려간 산객들을 따라잡았지만, 가벼운 인사말만 나누고 급히 앞지른다. 아침을 안 먹고 올라온 터라 산행에 대한 감흥보다 산채비빔밥 생각이 간절하다.
다시 장곡사에 이르고, 대웅전에서 들려오는 목탁소리에 이끌려 하(下) 대웅전 앞으로 나아간다. 맞배지붕 대웅전에 스님 뒷모습이 보이고, 염불 외는 소리가 크게 들린다. 국보 두 점에 보물도 몇 개 가진 천년고찰이지만 규모는 그리 크지 않다.
목탁소리 뒤로하고 돌아 나오니, 배에서 꼬르륵 소리가 들리고, 발걸음은 어느덧 밥집으로 향한다.
아직 점심 먹기 이른 시간이라 그런지, 손님은 한 테이블밖에 없다. 딸만 셋인 가족인데, 세 명 모두 비슷한 이미지를 가졌기에 한번 더 눈길이 간다.
산채비빔밥 한 그릇 주문하고 기다리자니, 따님들 떠드는 소리가 크게 들린다. 다 큰 딸이 셋인 가족이라 그런지 음식 주문하는 것부터 의견이 팽팽하고 말이 엄청 많다.
무뚝뚝해 보이는 아빠는 아무 말씀 없으시지만, 행복함이 얼굴에 묻어난다.
마파람에 게눈 감추듯 한 그릇 뚝딱 비우고 식당을 나서니, 올라올 때 만났던 콩밭 매는 아낙네를 또 만난다. 저 아낙네처럼 머리에 수건 두르고 호미로 밭 매는 모습은 어릴 적 흔히 보던 우리 어머니들의 모습이었다.
지금은 농약을 수시로 뿌려대니, 호미로 밭 매는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칠갑산에도 '콩밭 매는 아낙네'는 사라지고 고추 따는 어르신들만 보인다.
'칠갑산'은 홀어머니 두고 시집가는 딸과 입하나 덜고자 어린 딸을 시집보내는 모녀간 애절함이 묻어나는 슬픈 산이었지만, '콩'이 '고추'로 바뀌면서 풍요롭고 즐거움 넘치는 산으로 변했다.
세계에서 제일 큰 고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