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아드리셋 Apr 18. 2019

참치 주먹밥으로 본, 다둥이 육아가 힘든 이유

어디 참치 크래미 주먹밥뿐이겠냐며!



저녁으로 '참치 크래미 주먹밥'을 만들었다.





먼저 첫째가 먹을 주먹밥! 삼각김밥을 따라 해 보겠다고 야심 차게 세모 모양으로 만들었다. 삼각김밥 틀이 없어 모양내기가 쉽지 않았지만 그래도 색다른 기분을 낼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


앗! 생각과 달랐다. 세모는 만들기 힘들기만 하고 먹기도 불편해 보였다. 별로였다. 두번째로 만든 둘째 거는 평범하게 동그란 주먹밥으로 만들었다. 그걸 본 첫째가 세모를 잘 먹다가 말한다.

 

"나도 쟤처럼 동그란 모양으로 만들어줘."

(그냥 먹으면 안 되겠니...)



다음은 자기 밥을 목 빠지게 기다리는 우리 막내 거 만들 차례. 귀찮긴 하지만 아직 아기니까 쏙쏙 들어가는 한입 크기로 만들어주고 싶었다. 일일이 조물조물 뭉쳐서 아기 식탁에 대령했다. 그걸 본 둘째가 동그라미 주먹밥을 신나게 먹고 있다가 말한다.


"나도 쟤처럼 애기 모양으로 만들어 줘."

(뭐라고...?)



그때, 세모도 동그라미도 다 챙겨 먹은 첫째가 옆에서 또 말한다.

 

"그럼 나도 애기 모양으로 몇 개 더 만들어줘."

(너네 뭐 하냐...)






먹겠다는데 안 줄 수도 없고! 힘들게 세 명 다 해먹이고 나는 비닐장갑도 못 벗은 채로 대충 꾸깃꾸깃 작은 주먹밥 하나 만들어서 한 입 베어 물었다. 이번엔 막내 니 차례냐. 잘 놀다가 갑자기 나한테 오더니 우엥우엥 징징거린다. 애미 니가 먹는 것을 내놓아라 이거다. 조금 뜯어줬다. 또 온다. 또 뜯어줬다. 절반 넘게 뜯어줬다. 엄마도 좀 먹자며 마지막 남은 한 입을 들고 내 입으로 넣으려던 찰나, 옆에 있던 첫째가 세상 불쌍하게 읊조린다.


"애기는 좋겠다... 엄마가 더 뜯어줘서..."


니가 그렇게 식욕이 좋은 애였는지 몰랐다. 한 입 남은 거 내 입으로 털어 넣었다가는 오늘 밤 체할 각이다. 옛다 너네 다 먹어라, 두 번 먹어라, 그렇게 다 내어 줬다는 신나는 저녁밥상 이야기!







매사가 이런 식이다. 하나부터 열까지 이 패턴이다!! 뭐 하나 하면 여기저기 속출하는 '나도' 타령. '

"형아는 하는데 왜 나는 안 돼?"

"아기(17개월)는 되는데 왜 나는 안 돼?"

오 마이 갓!


언제 한 번은 첫째가 아기용 부스터에 힘겹게 앉으면서 말했다. 쟤(둘째)는 막내 부스터에 세 번 앉아 봤는데 자기는 거기 두 번 앉아 봤기 때문에 오늘 기필코 한 번 더 앉아서 밥 먹어야 된다고!! 그것이 부스터 의자 건 어른 식탁의자 건 그건 중요하지 않다. 누가 몇 번을 했냐만 중요하다. 결국 반복에 반복을 거듭하고 뒤따르는 건 '울음' 내지는 '싸움'이다.



두 번 해줘야 하고 똑같이 해줘야 하는 '육체' 자체가 힘든 게 아니라,(물론 나도 업어줘, 나도 비행기 태워줘 할 때는 육체가 힘들기도 하다) 그 시끄러운 과정을 지나면서 '정신'이 피폐해진다. 이것이 바로 아이 둘 이상을 키우기 힘든 논리적 이유다!



덧) 그렇지만 정작 첫째 하나 키울 때 역대 최고 우울했다는 아이러니. 외동 육아와 셋 육아의 무게 측정은 묘하게 어렵고 무의미하다고 감히 외쳐본다.







이전 05화 '나를 닮은 아이'에게 느끼는 양가감정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