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제 Jan 12. 2024

콘택트렌즈 과연 안전한가

콘택트렌즈 사용과 과불화화합물의 축적 연구

고려대 안과 교수팀이 콘택트렌즈 사용과 과불화화합물 노출 간의 연관성을 확인했다.

과불화화합물(Per- and Poly Fluoroalkyl Substances, PFAS)은 아웃도어 의류, 식품 포장재, 종이 빨대, 프라이팬,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표면코팅제로 주로 쓰이며, 자연에서 잘 분해되지 않아 ‘사라지지 않는 화학물질’로 불린다. 방수, 방열, 내유성(Oil resistance) 코팅에 사용된다.

일상생활에서 과불화화합물이 우리 몸에 끼치는 영향은 아직 불확실하다. 그러나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다량의 과불화화합물을 투여한 동물 실험에서 생식기능, 갑상선기능, 면역체게 악영향을 주며 신장암, 정소암 등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또한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몸속에 축적될 시 고콜레스테롤혈증, 당뇨 같은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고도 알려져 있다.

최근 미국 소비자단체(마마베이션)가 콘택트렌즈 제품에서 과불화화합물로 추정되는 화합물이 검출된다는 조사를 발표 한 바 있다.


연구팀은 1999~2008년 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NHAMES) 자료를 이용하여 20~39세 미국인 7,270명과 콘택트렌즈 미사용자 (대조군)와 과불화화합물 체내 축적된 양을 비교했다.


그 결과 콘택트렌즈 사용자는 미사용자와 비교하여 혈중 과불화화합물의 총 body burden(체내 축적 유해물질)이 1.2배 높다는 연구 결과를 확인했다.


이는 과불화화합물 노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교란 요인들을 통계적으로 제외시키고 확인한 결과다.


개별 혈중농도는 콘택트렌즈 사용자에서 과불화화합물 중에서도 사용량이 많은 과불화옥탄산(PFOA) 0.41 ng/ml, 과불화학센술포네이트(PFHxS) 0.28na/ml, 과불화옥탄술폰산(PFOS) 1.75ng/ml 유의하게 높게 확인됐다.


또한 PFOA의 노출로 건강이 위험할 것으로 추정되는 인구는 콘택트렌즈 사용자 중 4.5% 미사용자는 3.9%로 추정되었고, 노출로 인한 건강 영향에서 자유로운 것으로 추정되는 인구는 사용자 중 5.8%, 미사용자 중 16.4%로 추정되었다.


과불화화합물은 계속해서 개발되고 있으며, 현재는 수천 종 이상이 사용되고 있다. 연구는 과거 사용된 과불화화합물만 포함되어, 최근 사용되는 과불화화합물을 포함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연구진은 얘기하고 있다.


콘택트렌즈와 같은 의료기기는 일반 용품과는 달리 소비자의 선택성이 제한된 영역으로, 소비자가 해당 사실을 인지하더라도 안전한 콘택트렌즈를 선택할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정부 차원에서 환경유해물질의 규제를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콘택트렌즈는 많은 국민이 의심 없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런 결과들이 널리 공유되어 눈의 안전성 및 혈중 축척에 따른 건강 위험 결과에 대해 정확하게 인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일상생활에서 의심 없이 노출되는 화합물로 인해 건강에 영향을 끼치는 영향에 대해서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콘택트렌즈의 위험 및 이득을 확실히 판단해 사용해야 할 것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영장류 가격과 신약 개발의 성공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