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찾다가 죽다 Dec 06. 2021

은퇴하니까 어때요?

양자택일의 강박

 은퇴 후에 가장 자주 듣는 질문이 은퇴하니 어떠냐는 거다. 

그럴 때마다 입으로는 “뭐 그렇죠”하지만 속으로는 ‘어떻지?’ 혹은 ‘꼭, 어떠해야 하나?’하고 자문한다. 

새삼 은퇴 후에 어떤지를 곰곰이 되돌아보지만, 딱히 (적어도 내 보기엔) 달라질 게 없다. 

아직 얼마 지나지 않아서일 수도 있다.


 하지만 남들이 보기엔 달라져야 하나 보다. 

하기야 40여 년을 아침저녁으로 출퇴근이란 걸 하다가 허구한 날 집에만 있으려니 뭔가 달라도 달라야 한다. 아마도 대학교수로 있을 때는 출퇴근이 자유롭고 또 일 년이면 두 차례씩 긴 방학이 있어서일 게다. 

 회사 다닐 때는 잦은 출장과 이직으로 습관이란 게 고착되지 않아서일까? 모르겠다. 아직은 증상이 없는 걸로 봐선 그냥 이렇게 지 내지 싶다.


 비교 질문을 받은 김에, 잦은 이직 탓인지 가장 자주 받던 물음이 한국 회사와 외국 회사 중 어디가 더 나으냐 혹은 회사 다닐 때랑 학교 갔을 때랑 어디가 더 좋으냐 뭐 이런 질문들이다. 그럴 때마다 비교 대상의 차원(dimension)이 다르다고 둘러대지만 같은 질문을 반복적으로 받다 보니 어느새 그럴싸한 정답이 만들어진다. 


 먼저 사회 곧 회사와 학교 즉 대학의 경우다. 


 우선 양측의 질문이 다르다. 회사 생활하는 사람들은 그 엄청난 스트레스에서 벗어나니 얼마나 좋겠냐는 전제고 학교에만 있던 사람들은 그 좋은 대우(주로 금전적인)와 다이내믹을 포기하고 왜 왔느냐는 거다. 

 단언컨대 어느 방향이 됐건 지금이 좋은데도 막무가내로 뿌리치고 다른 곳으로 옮기는 사람은 드물다. 

 나름 그럴싸하게 자신의 이동을 포장하지만 내 보기엔 ‘아니 올시다.’다. 

대학과 기업 비교의 축약은 관계의 주도권이다.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관계를 떠나서 살 수 없다. 회사 생활 경험자들은 공감하겠지만 일은 아무리 많고 힘들어도 견디고 해낼 수 있다. 


문제는 인간관계다. 

상사와 동료와 아랫사람과 거래처와, 드나드는 관공서와 모두가 관계의 연속이요 갈등이다.. 갑의 입장에서는 다를 거 아니냐고 누군가 쉽게 반문하지만, 세상에 누가 영원한 갑일까? 대통령? 상사? 공무원? 발주권자? 아니, 그들도 누군가에겐 반드시 을이다. 

대학도 인간 사회다. 

관계와 갈등은 있게 마련이다. 대신, 어느 정도의 자기 선택권이란 게 있다. 크고 작은 보직에서부터 학회의 간부 자리 대외 업무와 직책 등등은 본인이 싫으면 안 할 권리가 있다. 근자에 와서는 각종 평가에서부터 페미니즘 소비자 주권주의 등 예전과는 다르다고 하지만 바깥 사회, 기업의 그것과는 비할 바가 못 된다. 

하지만 양쪽 다 경험해 보기 전에는 굳이 관계로 인한 스트레스의 경중을 아무리 설명해도 납득시키기 어렵다. 

해서 찾아낸 답이 차원이 다르다는 정도다. 이를테면 오이와 바나나 중에서 무얼 더 좋으냐 (어느 것이 더 달콤하냐가 아닌)처럼 야채와 과일 같은 이종간 비교란 대답이다. 

모두가 양자택일의 강박에서 비롯됐다고 본다. 얘기가 길어졌다. 


한국 회사와 다국적 기업 간의 비교는 다음으로 넘기자.      

작가의 이전글 한 지붕 두 살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