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쁘렝땅 Nov 21. 2022

짧은 글 쓰는 게 더 쉬울까?

돈 값 못하는 단편

단편에 대해 막연한 생각을 해보면,


"짧은 글"     

"쉬운 글"     

"빨리 읽는 글"     

"나도 쓸 수 있는 글"


실제로 단편을 쓴다고 했을 때 "소설은 장편이지~ 단편은... 돈이 되려나?"라는 답변을 들은 적도 있다. 이건 해석해보면 "단편은 누구나 쓸 수 있잖아." 정도가 될 것이다.


대다수 사람은 짧은 글은 쉽게 쓸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단편 작가라고 하면 '쉽게 돈을 벌려고 하는 사람'으로 인식하고는 한다. 하지만 이건 틀렸다. 사람들은 단편을 쉽게 쓴 글로 생각하다 보니 돈 주고 살 생각을 하지 않는다. "내가 이 돈 주고 사는데 굳이 정성이 들어가지 않은 단편을 살 필요는 없잖아?"라고 한다. 그러니 '쉽게 돈을 벌려고 하는 사람'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다.


몇 출판사에 자비 출판을 문의하며 내 글에 대한 의견을 물어본 적이 있다. 대부분 "어차피 책이라는 건 나와봐야 아는 거지만 특히 고객님의 스타일은 출판하는데 의의를 두시는 게 더 좋을 것 같습니다"라고 답변을 한 출판사도 있었다. 기분이 상했다기보다는 고마웠다. 돌려 말하긴 했지만 "그 책 안 팔려요!"라고 따끔하게 충고를 해준거니까.


대중들의 인식, 출판사의 인식 모두 어려운 상황이다. 물론 출판사는 단편을 '쉽게 쓸 수 있는 글'이라고 생각은 하지 않겠지만 '돈이 되지 않는 글'이라고는 분명하게 생각하는 거 같다.


그럼 정말 단편은 쉽게 쓸 수 있을까? 이건 사람마다 다르다. 나 같은 경우 긴 글을 짧게 만드는 데는 기가 막힌 재주가 있는데 짧은 글을 길게 늘리는 데는 젬병이다. 즉, 나는 짧은 글은 쉽게 쓸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오해를 하면 안 되는 한 가지가 있다. 쉽게 쓴다는 건 요행으로 쓰는 건 아니라는 거다. 내가 잘 할 수 있고 편하게 쓸 수 있어 쉽게 쓴다고 생각하는 거지 단편이라고 말 그대로 "과정이 쉬운" 건 아니다. 짧은 글이니 쓰기 시작하면 완성을 할 것 같지만 나의 경우만 하더라도 A4용지 한 장 정도 써 놓고 완성 못 한 원고들이 수두룩이 잠자고 있다.


내가 단편이 어렵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바로 한정된 지면 안에서 모든 걸 표현해야 하기 때문이다."이 정도 지식은 독자도 있지 않을까?", "이 정도의 상상력은 독자도 발휘하지 않을까?" 그럼, "어려운 부분은 길게 쓰면 되지 뭐가 어렵냐"라고 하는 분도 있을 텐데 장편과 마찬가지로 단편도 호흡이 중요하다. 빠르게 달려가고 있는데 위에 이야기한 구구절절한 상황 설명이 들어가면 순간 돌부리에 걸려 넘어지는 것이다. 그만그만한 그래프가 나오다가 갑자기 천장을 뚫을 것 같은 그래프가 그려진 것과 다름없으니 밸런스도 무너지고 분위기도 무너진다. 이 줄다리기를 얼마나 한정된 공간 안에서 잘 끌어내느냐. 이게 단편의 어려움이자, 반대로 이야기하면 매력이기도 하다.


그래서 나는 여전히 단편을 고수하고 쓰긴 하는데... 결국 돈 안 되는 건 맞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단편에 이상하리만치 박해서 포기할 건 깔끔하게 포기하는 편이다. 뭐, 아마추어 작가가 돈 버는 걸 1순위로 삼는건 아니니 그에 따른 아쉬움은 없다. 하지만 앞으로 진정한 작가의 길로 갈 때가 되면 결국 나도 단편을 버려야 하는 게 아닌가 하는 불안감은 있다.


아, 이건 그냥 진짜 작가가 됐을 때 고민해도 될 문제 같다. 지금은 그냥 단편 열심히 써야겠다.

매거진의 이전글 역사적인 출판사 제의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