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여는 잡학
일제 강점기 당시 대중문화의 중심에는 가요가 있었다. 당시의 가요는 클래식 음악과 일본 엔카, 우리 민요 등이 서로 구분과 차등을 두지 않았고, 또 필요하면 서로 합치고 얽히는 식으로도 불리곤 했다. 국내 최초의 소프라노 윤심덕이 1926년 발표한 <사의 찬미>는 이바노비치의 <다뉴브강의 물결>을 편곡하여 부른 클래식 번안 노래였다면 이보다 먼저 발표된 창작 클래식 노래가 있었다. 도쿄 우에노 음악학교를 수료한 홍난파가 1920년에 작곡 발표한 <봉선화>가 그것이다. 일제에 강제 합병된 조선의 비운을 그려낸 가사와 선율로 전 조선인의 심금을 울렸던 <봉선화>는 한국 가곡의 시효가 되는 셈이다.
홍난파는 <봉선화>에 이어 <성불사의 밤>, <옛 동산에 올라>, <고향 생각> 등 10여 편의 가곡을 발표하였고 그로써 한국 가곡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국내 최초의 테너 안기영이 김석송이 쓴 시에 곡을 붙여 발표한 <그리운 강남>은 동요와 민요, 가곡 요소가 두루 담긴 독특한 선율로 엄청난 인기몰이를 했고, 작곡가 박태준과 시인 이은상은 <동무 생각>을 동요와 가곡의 조화로 만들어 세인의 사랑을 받았다. 이은상 작시 김동진 작곡의 <가고파>, 정지용 작시 채동선 작곡의 <고향> 등 명품 가곡들도 잇달았다. 그렇게 가곡은 한국인의 정서를 담은 한국적 노래로 입지를 다진 것이다.
한국 가곡 초기에는 동요가 개입되고 있다. 시대의 아픔이 담겨있음을 투영해 봐야 한다. 이 당시 조선의 성인들은 자기네 시대의 불운을, 자라나는 어린 세대가 극복해 주기를 바라는 움직임을 활발히 전개했다. 대한제국 말엽 기울어져 가는 조선의 운명을 한탄하며 어린 세대에 기원을 실었던 최남선의 시 <해에게서 소년에게> 발표와 동화 보급에 앞장섰던 방정환의 맹활약 등이 그것을 대변한다. 그러한 시대 배경하에서 동요는 급물살 타듯 세상에 퍼져나갔다. 윤극영 작사 작곡의 <반달>, 최순애 작사 박태준 작곡의 <오빠 생각>이 있다면 홍난파는 <고향의 봄>, <나뭇잎>, <개구리>, <무지개> 등 110여 개의 동요를 발표했다. 그런 식으로 한국 가곡의 한 분야인 동요는 일제 강점기 때 대량 생산되었고, 그 결과 오늘날 한국은 세계적으로 동요가 가장 많은 나라가 되어 있음이다. 1920년대의 가곡은 작사자 미상의 가사, 외국곡 차용 형식으로 생겨난 <독립군가(미국 남북전쟁 당시의 군가)>, <독립군 추도가(러시아 민요 ‘스텡카 라친’)>, <광복군 아리랑(‘밀양 아리랑’)> 등의 탄생에도 영향을 주어 대한 독립군의 의기를 만주 땅 일대에 울려 퍼지게 하기도 했다.
그런 가곡에 시련이 닥치게 된다. 일제는 1937년 ‘수양동우회(修養同友會)’ 사건을 일으킨다. 흥사단의 자매단체인 수양동우회는 교육, 계몽, 사회운동을 펼쳤다. 중심인물에는 안창호, 이광수, 주요한, 주요섭, 김동원 등이 있었고 당시 대표적인 시인과 작곡가들도 대거 포함되어있었다. 일제는 단체 회원 183명 전원을 체포하고는 이들에게 모진 고문과 협박을 가하여 일제를 찬양하는 글을 쓰고 노래를 짓도록 했다. 그 결과 이흥렬, 김동진, 홍난파 등이 훗날 친일 작곡가라는 불명예를 얻어야 했다. 그 외에 현재명 작사 작곡의 <희망의 나라>는 그 희망의 나라가 대륙 침략의 전초기지인 만주냐, 아니면 우리 민족의 터인 한반도냐를 가지고 오늘날까지도 갑론을박을 일으키고 있고, 윤해영 작사 조두남 작곡의 <선구자> 역시 그 선구자가 독립군이냐 만주 관동군이냐 하는 의견 대립에 시달리고 있다. 그토록 일제의 탄압은 가혹했으나, 지금도 어머니 날만 되면 들을 수 있는 양주동 작시 이흥렬 작곡의 <어머니의 마음>이 만들어지고, 한국인의 대표적 서정 가곡인 김동명 작시 김동진 작곡의 <내 마음>이 발표되는 등 한국 가곡의 정신은 그 맥을 놓치지 않고 이어졌다. 암울했던 일제 강점기를 벗어나면서 가곡은 어수선한 상태에 빠지고 만다. 광복 후에는 이은상 작시 현재명 작곡의 <대한의 노래>와 임화 작시 김순남 작곡의 <해방의 노래>가 광복의 기쁨을 노래했다. 그러나 광복과 함께 남북이 갈리면서 가곡은 이념에 의해 명암을 달리해야 했다. 그동안 잘 불리던 가곡이었음에도 작사자나 작곡가가 월북했으면 남한에서는 곧바로 금지곡 신세가 되곤 했다.
문민정부가 들어설 때까지 수십 년 동안 철저히 금지당했던 대표적 월북 작가에는 안기영, 임화, 김순남, 정지용, 박영호 등이 있다. 기가 막히는 일도 있었다. 한국 전쟁 즈음에 불린 <혈청지원가>라는 국군 입대 선전 노래가 있었다. 이 노래는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군 입대를 촉구한 <혈서지원> 원곡을 놓고 제목과 가사만 바꿔 부른 것이다. 한국 전쟁 발발과 휴전, 냉전의 시대가 이어지면서 어린 누이동생을 전쟁으로 잃은 슬픔을 노래한 <부용산>, 사랑하는 연인을 떠나보내는 <떠나가는 배>, 두고 온 황해도 고향을 그리워하는 <보리밭>, 휴전선 일대 잡초 우거진 곳 무명용사의 비목에 처연함을 얹은 <비목>, 휴전선으로 가로막힌 금강산에의 그리움을 달래는 <그리운 금강산> 등은 이 시절 한국인의 남북 분단에의 애절함을 달랬던 대표적 가곡이었다.
휴전 후에도 가곡의 가시밭길은 계속 이어졌다. 이즈음 세인의 사랑을 받았던 김소월 작시 김순남 작곡의 <산유화>는 김순남의 월북이 이유가 되어 금지곡이 되어야 했다. 세계적인 작곡가 윤이상이 조지훈이 쓴 시에 곡을 붙인 <고풍 의상>은 우리의 전통음악을 바탕으로 만든 것으로 한국 가곡의 새 지평을 열었다고 극찬을 받은 노래였으나 윤이상의 동베를린 사건으로 역시 금지곡이 되어야 했다(이상 2021년 김명곤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이후 한국인은 산업사회의 성장과 선진국으로서의 번영을 누리는 와중에 가곡에 대한 애정을 잃었다. 요즘 어느 매체를 살펴보아도 가곡 관련 프로그램을 제작 방송하는 곳이 보이지 않는다. 국악은 서양 음악과 크로스 오버 형태의 합작까지 멋들어지게 이루어내는 등 다양한 행보를 놓으며 대단한 발전을 이루고 있음을 비교해 볼 때 우리 가곡은 왜 여전히 지지부진한가를 놓고 뼈저리게 반성해야 한다. 오늘날 우리 사회에 울려 퍼지고 있는 노래는 성인 가요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소위 뽕짝 노래다. 옛날의 성인 가요는 시인의 글을 가사로 쓰는 수준이었으나 요즘 뽕짝 노래들은 천한 가사만 가져다 쓰고 있다. 물론 키치문화로서의 뽕짝 노래도 필요하나 지금은 뽕짝 노래에의 쏠림 현상이 심하다. 쏠림은 곧 시대 문화와 국민 정서를 정체시킬 뿐이다.
최근 예술의 전당은 한국 가곡 백 년 역사를 주제로 삼아 10월 공연에 이어 12월 초 앙코르 공연으로 이은 <굿모닝 가곡>을 기획하여 폭발적 호응을 끌어내는 성과를 거두었다. 공연 내내 추억을 떠올리며 눈물을 흘리던 노년의 관객들, 한국 가곡 이면의 스토리를 알고 가곡을 좋아하게 되었다는 청소년 관객들, 출연진의 커튼콜 인사에 관객들의 기립박수가 터져 나오는 모습 등을 지켜보며 한국 가곡에 이런 힘이 있음을 새삼 느낄 수 있었다.
이제 우리 시대의 주류 문화에 가곡을 소환해 넣어야 한다. 과거의 재미없는 나열식 공연 방식은 내려놓고, 공연마다 주제를 설정하여 그에 맞는 개념과 선곡, 다양한 예술 장르와의 조화 등을 버무리면 얼마든지 경쟁력 갖춘 공연문화로 성장할 수 있다. 지역 맞춤형, 관람객 연령층 맞춤형도 필요하다. 시대분류별도 재미있을 것이다. 창작 가곡극(歌曲劇)도 가능하다. 대중가요와 국악과의 상생적 만남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활발한 움직임에 성공적인 결과가 연이어 일어나면 기업의 협찬과 일반인의 후원, 나아가 정부의 지원이 숨 가쁘게 따를 수 있다. 공연기관의 기획력이나 한국 성악가들의 실력은 이제 세계적 수준에 올라 있음이요 공연 제작에의 옵션도 풍부한 만큼 앞으로 한국 가곡의 번영 시대가 곧 도래하게 되기를 기대해 본다.
202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