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정철 Jong Choi Apr 19. 2022

아리랑 고개를 넘는 한국인

세상을 여는 잡학

한반도 땅은 어딜 돌아보아도 고개 지천이다. 그러다 보니 고개는 한국인의 소소한 일상과 강하게 연결될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도 고개는 사람이 모여 사는 지역과 지역을 구획하는 데 적절한 기준이 되곤 했다.      

조선 시대의 경복궁 주변은 곳곳에 고개가 널려있고 그것으로 마을 단위가 정해지고 있다. 고위 관료들이 모여 살던 궁 동쪽에 고개가 많았다. 정독도서관 남향 아래에 붉은 흙이 많다고 이름 붙여진 홍현(紅峴)이 있다. 홍현 동쪽에 해당하는 마을이 화동과 재동이다. 재동에서 더 동쪽으로 낮은 고개 하나 넘어가면 계동이 된다. 홍현 북쪽에는 맹현(孟峴)이 있다. 세종 때 정승 맹사성이 살았고 그 후손으로 숙종 때 황해감사 충청감사를 지낸 맹만택도 이 부근에 살았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맹현 서쪽 삼청동 총리 관사가 있는 곳이 여덟 명의 판서가 살았다는 팔판동이다. 경복궁 우측 담장이 남쪽으로 끝나는 곳 동십자각 부근에 소나무로 우거진 솔 고개가 있었다. 이 솔 고개가 매해 정월 대보름과 단오에 행했던 석전(石戰) 놀이의 남쪽 터치 라인이었고 맹현 서쪽 팔판동 입구가 북쪽 터치 라인이었다. 궁 서북쪽 담장에 붙어있는 부암동에는 창의문이 들어선 창의문 고개가 있고, 궁 정남쪽 광화문사거리에는 지금은 흔적도 보이지 않으나 황토마루라는 고개가 있어 경복궁의 안산 역할을 했다.      


여러 산으로 둘러싸인 채 수많은 고개를 품고 있는 조선 시대 한양의 옛 지도


고개로 둘러싸인 경복궁을 벗어나 경희궁 쪽으로 가다 보면 새문 고개가 나온다. 돈의문이 있다 하여 그렇게 불린 것이요 현재의 신문로 이름이 이것에서 생긴 것이다. 팔판동 석전과 쌍벽을 이룬 것이 아현동 애오개 석전인데 애오개는 아이 고개라는 뜻이다. 애오개 동북쪽의 무악재는 한양을 넘나들던 고양 상인들을 호랑이가 호시탐탐 노리던 고개였다. 창덕궁 옆 지금의 현대 본사 건물 앞에는 구름재가 있었다. 구름이 머무는 고개라는 뜻이 아니라 천문 관청 서운관(書雲觀) 앞에 있는 고개라 하여 운현(雲峴), 구름재였다. 훗날 흥선대원군이 이곳에 별궁을 짓고 이름 붙인 것이 운현궁(雲峴宮)이다. 창덕궁을 거쳐 창경궁으로 돌아들면 도깨비들이 들락날락하던 숲 우거진 도깨비 고개가 지금의 서울대병원 자리요, 명륜동 쪽으로 박석(薄石)을 덮어 지맥을 보호한 고개가 박석 고개다. 종묘 우측 종로 4가의 인의동에는 배나무가 많은 배나무 고개, 배오개가 있었다. 고개 아래에 자리 잡았던 배오개 시장은 조선 후기 장안의 3대 시장 중 하나로 규모가 제법 컸고 이것이 현재의 광장시장으로 이어지고 있다.                                                          

을지로 입구에는 구리 고개가 있었다. 고개를 덮은 붉은 흙이 평소 자주 질어 있기에 멀리서 바라보면 구리가 반짝이는 것처럼 보인다고 구리 고개로 불렸다. 이곳의 지기(地氣)는 좋지 않았는지 정조 때 이곳에 장악원(掌樂院)을 이전시켜 음악으로 비보풍수(裨補風水)했다는 내용이 한경지략(漢京識略)에 실려있다. 지기 불길함은 분명하다 싶은 것이 갑오개혁 때 장악원이 폐지되더니 임오군란이 일어나면서 이 건물에 일본군 대대 병력이 주둔하였고, 강제 합방 후에는 악명높은 동양척식주식회사가 들어섰음이다. 현재의 KEB 하나은행 본점 자리다. 충무로 2가에는 진흙으로 덮인 니현(泥峴), 진고개가 있었다. 일제에 의해 걸핏하면 깎여 거의 평지가 되었음에도 사람들의 심금에는 여전히 고개로 남아 전해지는 중에 1962년 최희준이 <진고개 신사>를 불러 큰 사랑을 받기도 했다.                          


1880년대부터 일본인들에 의해 혼마치(本町)로 불린 진고개의 1940년대 모습. 사진 국사편찬위원회

                       

사대문을 벗어나 돈암동을 지나면 1926년 나운규가 영화 <아리랑>을 촬영한 아리랑 고개가 있고, 두 번이나 있었던 호란 때마다 되놈들이 넘어왔다 하여 되너미 고개로도 불리는 미아리 고개가 있다. 중랑구 망우동에는 이성계가 자신이 묻힐 자리를 찾는다고 구리시까지 갔다가 환궁하는 중에 잠시 쉬었던 망우리 고개가 있다. 주변 산세를 돌아보며 근심을 잊었다 하여 망우(忘憂) 이름을 얻은 고개다. 약수동에서 한남동으로 넘어가는 곳에 버티 고개가 있다. 옛사람들은 이 고개에 도둑이 들끓었기에 관상 험한 자를 두고 ‘밤중에 버티 고개에 가서 앉을 놈’으로 놀리곤 했다고 한다. 고개 이름은 당연히 도둑과 관계있다. 순라군들이 야경 돌 때 도둑을 보면 “번도(番盜. 도둑이야)~!”를 외치며 쫓았기에 번도 고개로 부르다가 번치(番峙), 버티 고개가 된 것이다.      

서울 사당동과 경기도 과천 경계에 천년이나 묵은 여우가 주인행세 하던 여우 고개가 있다. 아비 사도세자를 모신 화성 융릉을 가기 위해 이 고개를 넘었던 정조가 자신을 맞이하던 과천 현감에게 고개 이름이 무엇인지 물었다. 현감이 고하길, “도성 남쪽으로 첫 번째 큰 고개라 하여 남태령(南泰嶺)이라 합니다.” 하자, 옆에서 듣고 있던 한 신하가 왜 사실대로 여우 고개라 고하지 않느냐며 타박을 주었다. 그러자 현감은, “여우 고개라는 이름이 임금 전 아뢰기에 요망스러워 문득 지어서 고한 것입니다.” 했다. 이에 정조는 현감을 칭찬하고 고개를 남태령으로 부르도록 했다고 한다. 남태령은 험하기로 유명했다. 고개 남쪽에서 한양 쪽으로 넘어가는 길이 더 험했는데 사람들은 엎드려 기다시피 하며 넘었다. 과거를 보러 상경하던 남쪽 지방 선비들이 이 고개를 설설 기어 넘으면서, “과거 급제보다 한양 들어가기가 더 힘들다.”며 탄식하던 고개였다.


강원도에는 영동과 영서를 가로막는 한없이 높고 험한 진부령 미시령 한계령이 위세를 자랑한다. 충북 충주에는 천등산 박달재가 유명하다. 조선 중엽, 끝내 이루지 못한 박달 선비와 금봉 낭자의 애끓는 사랑 이야기가 전해지는 고개로 1948년 박재홍이 부른 <울고 넘는 박달재>는 전 국민의 가슴을 적시기도 했다. 충남 공주에는 이범호가 이끄는 최정예 관군 3백 5십 명의 개틀링 기관총과 크루프 야포에 남북접 2만 명의 동학군이 쓰러져 간 우금치가 있어 아직도 그때의 비통함을 씻지 못하고 있다. 전북 남원 지리산에는 해발 1천 미터 높이의 성삼재가 있다. 이 성삼재를 넘어야 통일신라 때부터 천제를 지냈던 지리산 노고단에 오를 수 있다. 전남 보성에는 봇짐장수들이 무거운 봇짐을 잠시 내려놓고 쉬었다는 봇재가 지역 상징공간으로 되어 있다. 경북 문경에는 문경새재가 유명하다. 이름이 경사스러움을 듣는다는 뜻인 문경(聞慶)이기에 한양에 과거가 있기라도 하면 강원도 선비들이 이곳까지 내려와 문경새재를 넘어 한양 길을 내곤 했다고 한다. 경남 창원에는 만날 고개가 있어 해마다 추석 직후 이곳에서 <만날제>라는 축제를 열고 있다. 이 축제에서 소중한 세시 풍속이 재연되고 있음은 눈여겨볼 대목이다. 고려 말엽, 병든 친정 어미와 청상과부로 사는 불우한 딸이 있어 추석 직후 서로 이 만날 고개에서 만나 회포를 풀었다고 한다. 훗날 사람들이 만나고 싶은 사람이 있으면 음식 장만하여 서로의 중간 지점에서 만나는 풍속이 생겨났는데 그것이 ‘반보기’다. 만날 고개 전설에서 출발하여 개인과 개인, 지역과 지역 간의 화합을 도모하던 아름다운 풍속이다. 제주에는 유네스코 유산으로 등재된 거문오름이라는 고개가 세계적 규모의 용암 동굴을 품고 있다. 산세 더 험한 북한 땅은 차치하고 남한 땅에서 이름있는 고개만 헤아려도 근 5백 개를 헤아릴 정도로 차고 넘친다. 그런 만큼 한국인은 어딜 가도 고개 고개를 넘어야 했다.


한국인의 정서를 대표하는 노래라 하면 단연 아리랑일 것이다. 아리랑의 키워드는 고개다. 원망과 슬픔이 배인 고난 고통의 고개요, 넘어야 행복을 얻는 고개다. 그런 고개 고개는 한국인만의 애틋한 철학적 공간이요, 아리랑은 그 공간을 채우고 덜어내며 한국인을 고개 너머로 넘겨주는 노래다. 지금 우리는 코로나바이러스 창궐과 대통령 선거에 즈음하여 분열 음해 비난이 난무하는 고난의 고개를 넘고 있다. 이 역시 못 넘을 고개 아니다. 어떤 고난 고개라도 아리랑으로 넘어 기어이 희망을 얻는 한국인이다.        

                                                                    

2022.3.7.

작가의 이전글 해학과 풍자, 그리고 라블레의 웃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