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종찬 Oct 30. 2023

홍시

까치밥 홍시

#Jam있는중국이야기-938 “맹자의 홍시,경주의 홍시중국,중국인


감 좋아한다.

특히 홍시(紅柿).

조계사 경내에 있는

까페 ‘나무’의 홍시 쥬스,

일품이다.


지인들과 거기 앉아 한 잔 씩 하면,

소통도 참 잘 된다.

그 높은 값의 평화,

늘 홍시가 가져다준다는

느낌이 드는 것이다.


스물 다섯 살 복학생의 그 뜨거웠던 여름방학, 선풍기도 없는 강의실에서 공부했던 맹자원전 강독의 감동은 30년이 지나도 줄어들지 않는다. 그 감동, 앞으로 30년 또한 변함없이 이어지길 빈다.


스물 다섯 전후의 젊은이들과 함께 ‘호연지기(浩然之氣)의 아버지’ 맹자(孟子)를 읽고 토론한 후, 몇 마디 보탰다. "하늘높이 달려 있는 저 홍시가 仁이다."  따지 않고, 까치의 밥으로 놓아둔 조상들의 그 인자한 가슴은 눈물겹다. 언제나 뭉클하다. 철학적이다. 이 무한 우주의 운행 안에서 그 보다 더한 어진 마음 어디서 또 접한단 말인가.


'대지(大地)'로 노벨 문학상을 받았던 故 펄 벅 여사가 방한하여 경주에 갔었다. 천년 古都 여기저기를 돌아댕기다가  높이 달려 있는 홍시를 보고서는 “따기 힘들어서 그냥 둔 거냐?”고 물었다 한다.1960년이었다.


당시 수행했던 젊은 기자(故 이규태 선생)가 “겨울을 나는 새들을 위해 남겨 둔 까치밥”이라고 설명하자, 탄성을 지르며, “바로 이거야.  한국에 오길 잘했어. 그건 고적(古蹟)이나 왕릉 때문이 아니야. 이 한 가지만으로 충분 해.” 라며 좋아했다는 것이다.


이 여인, 시골에서 지게에 볏단 짊어진 농부가 소달구지 곁에서 걸어가는 모습을 보고 또 한번 감동했더란다. 무거운 짐 지고서도 달구지를 타지 않고 걸어가는 모습이 참으로 특별하게 보였던 것이다.


‘섬진강 시인’ 김용택의 산문집에 보면, 그 자당님의 어진 일상이 감동적으로 씌어있다. 자모(慈母)께서는 겨울에 더운 물로 세수하신 후, 물이 식은 다음에 버리시며, 아들에게도 그렇게 하도록 가르치셨다 한다.“뜨거운 물 마당에 버리면, 땅 속에 사는 벌레들 눈 먼다”고. 김용택이 이 나라 대표 시인 된 이유, 다른 데서 찾을 필요 있겠는가.


맹자도 왕이든 제후든 특별한 사유 없이 소나 양을 죽이지 않는 것이 인(仁)이라고 했다. 깊이 생각해보면, 仁이 의(義), 예(禮), 지(智)이기도 하지 않을까. 사단(四端.仁義禮智)은 각각이면서 크게 하나인 것 같다. 홍시가 까치에게는 仁이고, 편협한 인본주의자에게는 격조높은 義이며, 탐욕에게는 큰 禮고, 옳고 그름 구분 못하는 자에게는 오롯한 智일테니 말이다.


하늘 높이 달린 채 위태롭게 흔들리면서도 모진 풍상을 이기는 저 홍시 한 알이 오늘 이 나라 이 겨레를 가르친다. 까치밥 얘기에 그 착한 이방인 대작가가  왜 그토록 크게 감동 받았던가. 이 땅의 씨알(民草)들은 변함없이 펄 벅의 친구들로 살고 있다.


2300년 전, 맹자는 "부끄러움을 모르면, 사람이 아니다.(無羞惡之心, 非人也)"라고 말했다. 이 기준으로 따지면, 이 나라에서 거창한 명함 들고 댕기며 거들먹거리는 자들 대부분은 사람이 아니다.


'5大 非人間'은 더러운 장사치들, 5류 정상배들, 영혼없는 관료들,  사랑없는 종교쟁이들, 악마떼 '기레기'들 등이다.


바로 그 특이종자들이 지금 저 높이 하나 남은 홍시를 향하여 쉬지 않고 돌을 던진다. 우리는 모두 여전히 절망적인 '살인(殺仁)'의 현장에 있다.


문화는 아는만큼 보이고

보이는 만큼 느끼며

느끼는 만큼 배웁니다.

작가의 이전글 허영의 시장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