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협주 Nov 28. 2023

이번 공연을 마무리하며

Nov 03. 2023

'러브앤 인포메이션'이 끝나가고 있다. 공연 자체도 그렇지만 지인들의 반응을 보는 면에서도 재밌는 경험을 하는 중이다. 어떤 이들은 굉장히 흥미로워했고 그보다 조금 더 많은 이들은 솔직하게 어려웠던 기분을 공유해주었다. 확실히 내가 했던 공연 통틀어서 가장 호불호가 양분되는 공연이다. 그렇다면 그 호불호는 어디서 갈리는걸까? 여러지점이 있을 수 있지만 개인적으로 우리 공연은 그 지점이 꽤 명확하게 존재하는 것 같다. 완성도나 텍스트 장면구성 등 창작진이 제공하는 요소가 아니라, 관객 스스로가 공연을 어떻게 관람하고 싶은지, 어쩌면 그게 이 공연의 중요한 컨셉이자 질문일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관객 스스로가 어떻게 공연을 관람할 것인지'는 이 공연을 '이런 식으로 관객이 따라오게 만들어야지' 혹은 '이것도 어려워하면 관객 너 촌스러' 과 같은 메시지적 방향이 아니라, 그 맞은편에서 '너가 이렇게 관람해도 괜찮아' '아무 생각들을 해도 좋아' '듣고 싶은걸 듣고 보고 싶은 걸 봐' 에 가까운 방향성이라 생각한다. '무얼 이야기할지' 보다는 <무엇이 당신의 주관적 의식과 만날 수 있는지>, '이야기속에서 무슨 함의를 찾아야할지, 뭘 판단해야할지'보다는 <내가 의미있다고 생각한 그것이 맞는지?, 내가 옳다고 생각했던 현상(그것이 젠더와 인종 등의 사회이슈든, 타인들과의 관계맺음에 관한 것이든, 연극에 관한 가치판단이든, 혹은 내가 세상을 바라보는 프레임이든) 이 정말로 옳은지? 내가 믿고 싶어하는과 믿는 것이 정말로 합당한지?> 에 가깝게 만드는 방향성이라 생각한다.

 의미로서의 텍스트보다는 이 텍스트의 이미지화, 각각의 장면들보다는 순서가 지정되지 않은 장면들의 배치를 통한 컨셉, 컨셉보다는 이 공연의 형식과 문법 그 자체로써 관객에게 던지는 질문 등 각 단위마다 깃들어있는 역질문 혹은 전복성. 어쩌면 그게 가장 중요한 질문이자 질감이라 느낀다.


하여 이 공연을 보러 오신 분들 중 이 글을 읽는다면, 당신이 이 공연을 즐겁게 향유했다면 그건 그자체로써 너무 감사하고 훌륭한 일이고, 혹여 이 공연을 힘들게 봤다면 그 또한 미안하지만 능히 그럴만한 일임을 말해주고 싶다. 모든 이에게 닿는 공연이 어디있겠냐만, 모든 이에게 닿지 않아도 됨을 감안하는 공연도 있다. 그리고 아마, 더 많은 이들에게 닿으려고 했다면 다른 지점에서 좋아하는 사람들은 보다 흥미를 못 느끼는 방향으로 공연이 구성됐을 것이다. 나는 참여자로서 지금의 우리 공연이 정답에 가까운지는 몰라도 흥미로운 대답 중 하나를 그려내고 있다고 생각한다. 애초에 정답이 없는 구조의 희곡이었고 그걸 추구하는 순간 이 텍스트를 대하는 자세부터 텍스트와 위배되지 않나 싶었다.


아주 개인적으로는 사실 조금 더 비사실적이고 불친적한, 물성에 가까운 관념과 이미지만 남는 공연으로 가는 것도 가능하지 않을까 싶었지만 그 또한 내가 생각했던 나만의 주관식 답중 하나고 지금의 공연화 된 버전 역시 채택 가능한 무수히 많은 선택지와 컬러 중 하나일 것이다. 아, 물론 여기서 선택지와 컬러라는 말은 일반적인 드라마연극 혹은 양식성이 정확히 보이는 연극에서 말하는 정도보다 훨씬 더 많은 지점과 사이사이의 그라데이션에 관한 이야기다. 경험했던 텍스트 중 이만큼 갈래가 무수히 많은 이상한 희곡은 처음 봤고(젠더X 성별X 지문X 장면순서X 섹션순서X, 존재하는 단 한나는 장면제목과 대사들O) 우리는 그 지점들 중 우리가 커버할 수 있는 지점을 찾아서 구현한 것일 뿐. 다만 한정된 시간 안에서 열심히, 시대성을 생각하며, 창작진만이 공유할 수 있는 지식활동에 그치지 않길 바라는 마음으로, 발화의 양심을 담아서 만든 것 같다.


그러니까 하고 싶은 말은, 어쨌든 함께 해줘서 고맙다는 거다. 잘 봤다는 말들 속에서도 비판적인 말들 속에서도 어느때보다 '각 사람마다의 논리성과 합당함'을 느꼈다. 그리고 정말로 틀린 건 없다고 생각한다. 그 모든 것이 당신의 뜻대로 가능함을, 혹은 뜻대로 가능하지 않더라도 의미 있음을, 의미가 없어도 당신만 괜찮다면 괜찮음을 말하고 싶다. 주관적 감각을 많이 사용하는 공연이 주관적인 누군가와 만났을 뿐, 때때로 어쩌면 그냥 그런 거 아닐까.

 

+

이또한 개인적 해석이지만, 상당히 분명하게 공연에 등장하는 키 코드들이 있다고 생각한다.

 '내가 그것에 대해 정말로 알고 있는게 맞는가' '알고 있다고 믿는 것에 불과한 것 아닌가' / '내 기준에서 안다고 하는 행위가 정말로 타 대상을 이해하는 행위인가' '대상의 표피만을 보고 정작 대상에 대해서는 어떤 관심을 기울이는가' / '나는 내게 오는 정보들을 컨트롤할 수 있는가' '컨트롤한다고 믿고 싶은 것 아닌가' / '상대방을 지목한 손가락을 내게로 돌려 스스로를 볼 수 있는가' '이해하기 힘들다는 이유로 갈등과 혐오로 빠지지 않는가' / '내 해석 밖의 세상을 있는 그대로 인식할 수 있는가'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감각으로서 수용할 수 있는가' 등


이 코드는 따라서 이 작품에 한해서, 창작을 하는 과정에서도 유효한 질문이고 관객들 입장에서도 유효한 질문이라고 생각한다. 내용적으로도 그렇고, 메타적으로 이 연극의 형식에 관해서도 말이다. 만드는 사람들은, 보는 사람들은 이 정보들을 주관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가, 한다고 해도 그게 정말로 이해하는 행위일까 이해한다고 믿고 싶은 걸까. 그 모든게 섣부른 과신 아닐까. 내 인지 바깥의 정보들에 대해서 논리보다는 감각을 섞어 대면할 때 그제서야 우리는 그 정보의 본질에 좀 더 가까워질 수 있지 않나. 그럼에도 수용해보고, 그렇지만 다시 질문해보고, 또다시 그럼에도 수용해보는 반복들 속에서 파장이 생기고 나서야 비로소 어떤 사고의 편중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것 아닌가 싶다.       


+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면 프로그램북이 있다. 뒤늦게라도 이 공연에 대해 조금 더 알고 싶은 사람들이라면 프로그램북을 보면 몇몇 힌트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힌트들보다 흥미로운 건 각 배우들의 배우노트 아닐까 싶다. 다른 배우들의 배우노트를 보며 공감이 된다고 해야하나 아무튼 몇몇 구절이 참 이공연에 부합한다고 느꼈다. 더불어 내 배우노트에 적은 마지막 두번째 문단 역시도 여전히 진행중이다. 아주아주 주관적이고 미시적인 순간들이 예상치 못한 딴생각을 만든다면, 더더!

작가의 이전글 이야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