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자연탐정 김바다 Oct 11. 2024

도시 속의 자연 관찰자

12. 벌새 닮은 박각시나방

가을꽃들이 활짝 피어 벌, 나비, 박각시나방을 불러들인다. 겨울을 준비하는 곤충들의 날갯짓이 분주하다. 추위가 본격 시작하기 전에 더 많은 꿀을 모아야 하고, 몸속에 에너지를 저장해서 내년에 탄생할 후손들을 위한 준비이기 때문이다.     

올해 처음 박각시나방을 만난 건 불암산 힐링타운에 있는 국화정원에서다. 자그마한 정원에 핀 국화와 블루세이지 꽃을 드나들며 꿀을 빨고 있는 곤충, 쉬지 않고 날갯짓하는 모습이 꼭 벌새 같았다. 그런데 벌새라고 하기에는 너무 작아서 바로 박각시나방이라는 걸 알았다. 며칠 전에 페북에 올라온 사진을 눈여겨 보아두어서이다. 한 아기 아빠는 그 자리에서 스마트폰으로 검색하고 있었다.     

누구나 처음 박각시나방을 보면 벌새부터 떠올릴 것이다. 벌처럼 빠른 날갯짓을 한다고 벌새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1초에 60~90회, 1분에는 3600회 이상을 날갯짓을 한다고 하니 얼마나 에너지 소모가 많을까? 그래서 벌처럼 부우우웅~ 하는 소리를 낸다고 하니 역시 벌새라는 이름이 어울린다는 생각이 든다.   

  

벌새 -픽사베이에서 가져온 사진

사실 벌새는 열대의 산지 숲과 덤불에 살아서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새이다. 그런데 박각시나방을 보고 벌새를 머리에 떠올리다니 매스컴에서 받은 영향이 얼마나 큰지 실감하게 된다.     


인터넷에서 검색해 보니 박각시나방은 날갯짓을 1초에 20~30회를 하면서 꽃이나 잎에 앉지 않고 허공에서 쉼 없이 날며 꿀을 빨아 먹는다. 한참을 관찰해도 어디 내려앉는 걸 볼 수가 없다. 하루 종일 꽃을 찾아다니며 날갯짓을 하지는 않을 텐데 박각시나방의 쉼터는 어디일까?     


다시 박각시나방을 찾아 당현천으로 나갔다. 노랑코스모스가 피었으니 거기에 있을 것 같았다. 내 예상은 맞았다. 노랑코스모스를 보자마자 부지런히 꿀을 빨고 있는 박각시나방을 만났다. 스마트폰으로 박각시나방의  완벽한 모습을 보기 위해 열심히 카메라를 눌렀다. 스마트폰으로는 박각시나방을 정지시킬 수 없다는 걸 바로 알 수 있었다.      


커다란 카메라로 박각시나방을 촬영하는 분을 만나 그 분이 찍은 사진을 좀 보자고 했다. 그 분의 사진에도 페북에서 본 박각시나방 모습이 아니었다. 그 분은 스마트폰으로는 찍을 수 없다고도 했다.      

나는 박각시나방을 만나며 계속 스마트폰 카메라를 눌렀다. 내가 생각하는 장면이 안 나와서 동영상으로 촬영했다. 그러나 포기할 수가 없었다. 정말 많은 사진을 찍어서 마음에 드는 정지화면을 얻었다.  

    

이날 본 박각시나방에도 크기 차이가 있었다. 먼저 태어나고 늦게 태어난 차이일까? 아니면 종이 달라서일까? 찾아보니 내가 만난 박각시나방은 작은꼬리박각시나방이었다.      


꿀벌과 호박벌, 네발나비는 꿀을 먹을 때 꽃에 내여앉는다. 특기 덩치가 큰 호박벌이 노랑코스모에 앉으면 그 덩치 때문에 꽃이 휘청하며 아래로 내려간다. 

네발나비
호박벌

박각시나방은 길다란 빨대를 꽂아 꿀을 빨아먹기에 꽃에게는 전혀 부담을 주지 않는다. 마치 인사하고 꿀만 살짝 먹고 가는 것 같다. 

"안녕, 꿀만 조금 먹고 갈게!"

마지막으로 궁금증이 생겼다. 박각시나방의 집은 어디일까? 밤이 되면 어디로 갈까?     

이전에도 존재했을 박각시나방을 올해 처음 만났는데 

너의 날갯짓은 정말 강렬했어!    

                          


작가의 이전글 도시 속의 자연 관찰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