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읽다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생각창고 Sep 01. 2015

책의 탄생 - 뤼시엥 페브르

상품으로서의 책에 대한 고찰

* 한줄평 : 책에 대한 경제사 및 문화사적 접근, 흥미롭고 시사점이 많다 ★★★★


1. 솔직히 읽는 내내 굉장히 지루했고 그만큼 시간도 오래 걸린 책입니다. 아날학파의 접근법과 그들의 지적 내공에 대해서는 경의를 표하지만 사실 이들의 저술방식은 정말 지루합니다.


그리고 경제사의 권위자들의 저서 아니랄가봐, 역사책 답지 않게(!) 숫자와 테이블들도 상당히 많이 등장합니다. (이게 지루함을 가중시키는 원인이기도 합니다^^)

지루함도 큽니다만 '책에 관한 비즈니스적, 상품으로서의 분석'이라는 참신한 접근법만큼은 인상적인 책입니다.


2. 우선 인상적인 부분부터 이야기하자면, 책의 목차, 즉 구성입니다. 목차만 읽어봐도 얼마나 경제사적인지 알 수 있습니다.(아래에 옮겨놨습니다...) 책을 제조업 및 판매,유통업으로 접근해서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식이 굉장히 인상적입니다. 사실 가장 놀라운 부분은 처음 시작을 원료인 '종이'에서 시작했다는 것 입니다.

개인적으로 제조업체에 근무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업에서 원료수급이 얼마나 중요한지 너무나 잘 알고 있습니다.


그 뿐 만이 아닙니다.책을 콘텐츠의 전달도구 및 수단으로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철저하게 하나의 상품으로 인식하고 그에 맞게 내용을 구성했다는 발상 자체가 상당히 선합니다. 거기에다 마지막 챕터의 제목인  '책, 변화의 원동력'이라는 부분은 마틴 루터로 대변되는, 출판 및 책으로 시대의 변화를 이끈 인물들과 그들의 공로에 관한 이야기로 빼곡히 들어차 있는데요, 생각보다 강력했던 당대 인쇄 및 출판업, 그리고 궁극적으로 책의 위력을 정말 세밀하게 들여다 볼 수 있습니다.

 

상품으로서의 책 자체의 매력과 파급력, 그로 인한 관련 기술의 발전. 뻔한 결론입니다만 책이 상품으로서 가치를 인정받았기에 현재까지 살아남았다는 가장 기초적인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소중한 결론입니다.  


3. '40~'50년대에 프랑스의 도서관 관계자들 및 서지학자들은 아시아권의 해당 산업에 대해서

상당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한 가지 질문이 생겼습니다 : '그 때 우리는?'

역사에 관한 지식이 많은 나라가 선진국이다라는 명제가 옳다고만 볼 수는 없습니다만 공교롭게도 역사와 정보 및 지식의 축적 및 공유에 앞섰던 나라들이 주도권을 가지고 세상을 이끌어간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몇 백년전 출판물들의 판본의 종류와 개수까지 정확하게 숫자로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그들의 꼼꼼함과 관리능력이 부러울 따름입니다.  


4. 다음 순서는 페르낭 브로델의 '물질문명과 자본주의'에 재도전하려고 합니다. 학창시절에 처음 두 권만 읽고 포기한 작품인데요, 이번에는 인내심을 가지고 다 읽어야겠습니다.

   

1장 1차적 논제: 유럽 내 종이의 등장 51
1. 종이의 발전 단계 53

2. 제지업이 발달하기 위한 자연환경과 산업 여건 57
3. 제지산업 발달의 상업적 조건 64

4. 책의 등장과 제지업의 발달(15~18세기) 69

2장 기술적 어려움과 문제의 해결 78 
1. 목판술은 책의 기원인가 79

2. 인쇄술의 ‘발견’ 88

3. 활자의 제작 99
4. 조판과 인쇄 107

5. 판 걸기와 접지 122

6. 앞서 간 중국 125

3장 책의 외형 135 
1. 활자의 형태 137

2. 책의 내력: 속표지, 판권장, 상표 148
3. 본문의 형태와 책의 판형 155

4. 삽화 160

5. 책, 옷을 입다: 책의 장정 189

4장 책이라는 하나의 상품 198 
1. 원가의 문제 199

2. 재정 조달의 문제 208

5장 출판길드의 작은 세계 229 
1. 직인 230

2. 장인 242
3. 인문주의 성향의 인쇄업자와 철학적 소양의 서적상 253

4. 저자와 저작권 282

6장 책의 지리적 분포도 294 
1. 기술을 전파하는 사람들 294

2. 인쇄소의 입지 요인 299

3. 출판사의 지리적 분포 313
4. 세상을 정복한 인쇄술 341
1) 슬라브 지역 342 2) 신대륙 지역 356 3) 극동아시아 지역 364

7장 책의 매매 370 
1. 몇 가지 자료를 통해 보는 책의 발간과 발송 371

2. 해결해야 할 문제들 380
3. 영업방식과 무역박람회 383

4. 새로운 영업방식 399
5. 윤허권(인쇄출판 독점 허가권)과 무단복제 407

6. 검열과 금서 414

8장 책, 변화의 원동력 420
1. 필사본에서 인쇄본으로의 이행 420

2. 책과 인문주의 443
3. 책과 종교개혁 488 4. 인쇄술과 언어 538

(출처 : 교보문고 웹페이지)  

매거진의 이전글 오이디푸스 왕 - 소포클레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