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생각하다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생각창고 Oct 07. 2015

책과 스마트폰

정보를 습득하는 경로의 차이에 불과하지 않을까요?

#1

요즘 자주 듣는 이야기 :

- 사람들이 전화기만 들여다 본다

- 순간적인 즐거움에만 몰두한다

- 책을 안 봐서 사고의 깊이가 떨어진다

- 스마트폰 들여다 볼 시간에 책 좀 보지

- 지하철에서 책 보는 사람이 날이 갈수록 줄어서 큰 일이다

스마트폰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들입니다.


그런데, 개인적으로는, 왜 이런 걱정을 하는지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2

아들이 하나 있고 이 녀석도 스마트폰을 가지고 노는 것을 무척 좋아합니다.

물론 저도 무한정 가지고 놀게 하지는 않고 시간에 제약을 두기는 합니다만 '전화기 그만 보고 가서 책 좀 봐라'라는 이야기는 하지 않습니다.

제한을 가하는 이유는 혹시 시력이 나빠질까 하는 우려와 다른 놀거리들도 가지고 노는 게 균형 잡힌 삶이 될 것이라는 생각 때문이지 다른 '일반적인' 이유 때문은 아닙니다.


#3

왜 책을 읽고 왜 스마트폰을 통해서 검색을 하고 카톡질을 그렇게 쉴 새 없이 해대는지에 대해서 먼저 고민을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책을 읽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정보를 얻기 위함이요 또 삶에 만족감을 얻기 위해서 입니다.

만약에 책 보다 스마트폰 및 기타 모바일 기기를 통해서 정보를 얻는 것이 개인적으로  더 효율적이고 좋다면, 그리고 그 결과물이  훨씬 만족스럽다면 스마트폰에 열중하는 삶도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시력 등 건강에 유의해야 한다는 것은 별개의 문제라고 봅니다)


개인적으로 컴퓨터 및 컬러풀한 화면과 친하지 않은 편이라서 책을 더 선호합니다.(눈이 너무 쉽게 피로해지고 아픕니다;;) 종이의 물성과 책 자체가 풍기는 향기가

좋아서 책을 선호합니다. 그리고 기계랑 그리 친한 편이 아니라 책을 더 선호하는 것 일  뿐입니다.

요즘 많이들 하는 '일반적인' 걱정들은 어찌 보면 기성세대의 눈에 맞춰서 모든 것을 재단하려다 보니 생기는

기우일지도 모릅니다.


#4

처음으로 돌아가서 소위 일반적인 우려에 대해 약간 삐딱하게 나름대로 답을 달아보면,


- 사람들이 전화기만 들여다 본다

  → 무언가 나름 열심히 정보를 습득 중이거나 공부 중일지 모른다


- 순간적인 즐거움에만 몰두한다

 → 영원한 즐거움을 주는 건 그럼 무엇???


- 책을 안 봐서 사고의 깊이가 떨어진다

 → 사고의 깊이를 측정하는 것도 지극히 주관적인 것이니 본인 눈에 사고의 깊이가 얕아 보이는 사람이 생각보다 깊은 사람일 수도 있다. 그리고 책 많이 읽고 생각 많이 하는 사람들이 대형사고 치는 경우도 생각보다 많다.


- 스마트폰 들여다 볼 시간에 책 좀 보지

 → 책이 주는 정보는 스마트폰에 비해 적시성이 많이 떨어진다


- 지하철에서 책 보는 사람이 날이 갈수 줄어서 큰 일이다

 → 늘 하는 말이지만 책이 정답은 아니다. 그리고 지하철이건 어디건 공중 도덕을 깨뜨리지만 않는다면 누구나 본인이 원하는 것을 할 수 있다.


스마트폰으로 하루 종일 카톡질하면서 시간을 의미없이 보내는 것처럼 보이는 사람일지라도 우리가 모르는 치열함이  카톡질을 통해서 맹렬하게 발휘되고

있는 것인지 모릅니다. 결론은, '편견을 버리자' 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엄정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