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 성공률 높이는 치조골 이식술
치조골 이식술(뼈이식) 은 잇몸에 임플란트를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해 진행되는 부가적인 시술 방법이다. 합판으로 만들어진 벽에 못을 박는다고 가정해보자. 어찌저찌 못을 박았다한들 무게가 나가는 액자를 안정적으로 걸 수 없다. 이처럼 우리의 잇몸 안에 치조골이 부족하면, 임플란트를 식립한다해도 견고한 고정력을 기대할 수 없다.
사전적 의미로 치조골 이식술은, 인위적인 재료를 이용하여 치조골을 단단하게 만들어주는 행위를 말한다. 잇몸 뼈의 결손 보전이나 보강을 통한 임플란트의 안정적인 고정이 그 목적이다. 이처럼 뼈이식은 확고한 목표를 가지고 선행이 된다. 임플란트와 잇몸뼈의 결속력을 높여 환자로 하여금 튼튼한 임플란트를 건강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런 뼈이식임플란트는 발치한지 오래 되었거나 잇몸질환 등으로 치조골 양이 부족하여 오목한 잇몸형태를 지닌 분들을 대상으로 한다. 적합한 이식재를 사용하여 잇몸을 볼록하게 만들어준 뒤에야 본격적인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수술이 진행되는 것이다.
즉 우리는 잇몸의 양이 충분하고 단단하지 못하여 임플란트 식립을 진행한다해도 안정적인 고정력을 얻지 못할 때 치조골 이식술을 선행한다. 그렇다면 잇몸뼈는 왜 약해지고 줄어드는 것일까?
잇몸뼈가 나빠지고 약해지는 데에는 염증의 발현이 가장 높은 확률을 차지한다. 즉 극심한 잇몸질환 및 발치로 인한 잇몸뼈 흡수 등 정상적이지 못한 잇몸 컨디션이 오래 지속되면 잇몸뼈는 약해진다. 따라서 충치나 잇몸질환이 생겼을때 나아지겠거니 방치할 것이 아니라 그 즉시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한다.
치주질환은 만성질환이다. 통증이나 불편함이 크지 않아 바로 치료를 받지 않고 방치하여 만성질환이 된다. 그 과정에서 잇몸이 조금씩 흡수되어 결국엔 발치를 선택하게 되는 불상사로 이어진다. 문제는 이렇게 발치를 할 경우 임플란트를 바로 식립하기 어렵다는 것에 있다. 단단한 고정력을 기대하기엔 치조골 상황이 여의치 않아, 이식술을 선행해야 한다. 이는 선천적인 영향으로 발치가 결정된 상황과는 분명 다르다. 잇몸뼈가 튼튼하다면 치조골 이식술의 도움없이도 임플란트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잇몸질환을 막는게 최선이다. 건강한 구강상태가 유지된다면 구태여 발치한 뒤 임플란트수술을 진행해야할 이유가 없다. 그렇다면 잇몸질환은 어떻게 막을 수 있을까?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평소 예방 관리를 시행하면 된다. 식후 3분 이상의 양치질과 주기적인 스케일링, 치과를 두려워하지 않는 마음이 중요하다. 별다른 통증이나 불편함이 느껴지지 않더라도 치과에 내원하여 현재 내 치아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