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난장판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랜벗 Jul 02. 2022

눅눅하고 축축하다 쨍쨍대니 푹푹찐다

덥다 장마가 어제인데, 이젠 폭염주의보란다. 


며칠동안 비에 절어 살았다. 

방바닥은 끈적하고, 빨래는 눅눅했다. 마치 사우나에 온 듯한 느낌. 잠을 자도 개운하지 않았다.

덜마른 빨래를 개면서 지금이라도 건조기를 사야하는지 진지하게 고민했지만, 며칠 전 본 환경문제, 쓰레기 문제의 다큐멘터리를 보고 나니 옷을 사는 것, 빨래를 자주 하는 것 뭐 이런 것들이 지구를 너무 괴롭힌다 싶었다. 에너지가 참 문제라는데.. 편리하다는 이유로 에너지를 참 막 쓴다. 


뭐 이런 저런 말을 하지만, 

건조기가 비싸고, 사는 게 귀찮고, 집이 좁고. 뭐 현실적인 이유를 이상적인 이유로 덮었다. 


결국 버티다 버티다 에어컨을 가동시키고야 편한 잠을 잤다. 그것도 엄청난 에너지를 쓰는데 (쓴다고 생각했는데) 요즘 나온 에어컨은 확실히 에너지가 덜 먹더라. 아낀다고 삶의 질을 포기해 버리는게 과연 현명한지. 이럴 때는 지구보단 나. 참 논리가 비루하다.


어제부터 햇빛이 조금 보이더니 오늘은 완전히 쨍쨍.

낮에 일이 있어 잠깐 나갔던 거리는 찜통이었다. 

일본에서는 아침 기온이 40도라는데.. 고작 32도에 호들갑 떠는 내 자신이 좀 우습기도 하고. 이것도 기후변화때문일텐데 결국 에어컨을 이용해서 그 체감을 덜어내고 있으니, 완벽한 재앙이 되기 전까지는 위기감은 오지 않을 듯 하다. 나도, 다른 사람들도. 정말 이러다 지구의 종말이 올려나? 젠장.


하루 종일 에어컨과 같이 살 수 밖에 없겠더라. 

뉴스를 보면서 바다에 몸을 담그는 사람들 참 좋겠다 싶기도 하고, 모래가 붙어 있고, 소금기에 끈적한 그 느낌이 생각나 찝찝하기도 하고. 밀양의 얼음골이 보이지 않는다는 뉴스는 참 서글프더라. 기후변화가 정말 턱끝까지 온 것 같은데 역시나 위기감은 없다. 이러다 블랙아웃이 되면 우리의 불만은 어디로 향할까? 절대로 에너지를 낭비(?)한 우리에게는 오지 않을 듯. 아마도 한전이나 원전, 탈원전, 대체에너지 뭐 이런 쪽으로 화살이 날라가겠지? 그것도 웃기네.


요 며칠만큼 날씨 방송을 열심히 본 적이 없는 듯 하다.

다음 주는 태풍도 온다지? 게다가 또 장마 전선이 온다는데, 최저 온도가 25도라고 한다. 그럼 무더운 거겠지? 이번 달 전기 요금 볼만 하겠네. 에고. 

매거진의 이전글 불신의 시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