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번쯤은 거절하는 법도 연습하자
2014년 인기리에 방영하였던 TV드라마 <정도전>은, 고려 말과 조선 초기 시대를 다룬다. 그 드라마에는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이 등장한다. 공양왕은 이성계 일파의 의견을 받아들인 공민왕비 정비 안씨 교지에 의해 떠밀리듯이 왕위에 올랐으나, 자신의 임명을 주도한 이성계 일파에 의해 폐위되는 비운의 왕이다.
그가 왕위에 오를 당시 조정은 이미 이성계 세력이 장악하고 있었다. 자기가 왕이 되더라도 허수아비에 불과하다는 것은 그 자신도 잘 알고 있었다. 하지만 그는 이성계 일파의 추대를 거절하지 못했다. 거절하는 것이 상황상 쉽지는 않았겠지만, 어찌 되었든 간에 거절하지 못한 대가는 참혹했다. 우선 공양왕은 재위 만3년을 채우지 못했다. 또한 일국의 마지막 왕이라는 불명예도 얻었다. 더 나아가 제명을 살지 못하고 조선 건국 후 2년 뒤인 1394년 처형되었다. 이 때 그의 나이 50살이었다. 죽은 후에도 당시 수도인 개성 주변에 묻히지 못하고, 한참 떨어진 강원도 삼척에 묻혔다.
만일 공양왕이 왕으로 추대되는 일을 끈질기게 거절했더라면 그의 여생은 어떻게 되었을까? 역사에 가정은 없지만 최소한 목숨은 부지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혹여 조선 태조 초, 왕씨 일족을 수장시킬 때 같이 수장되는 불운을 겪게 되더라도 최소한 일국의 마지막 왕으로 기록되는 불명예는 얻지 않았을 것이다.
누구나 살아가면서 ‘받아들여야 하나 아니면 거절해야 하나?’에 대하여 끊임없이 선택을 강요받는다. 때로는 중대한 선택의 기로에 서는 경우도 있다. 선택의 기로까지는 아니더라도 제 때 거절을 못해서 나중에 아쉬워하거나 후유증을 앓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직장인도 마찬가지로 회사 생활 중 알게 모르게 끊임없이 선택을 강요받으며 때로는 거절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기도 한다. 이와 관련하여 대표적인 사례 네 가지를 아래와 같이 뽑아보았다.
첫 번째, 가까운 지인이 업무를 도와 달라고 하는데 도와주자니 오늘 야근해야 할 것 같고 거절하자니 그 사람이 나에 대해 서운해 할 것 같아서 난감하다.
두 번째, 참석하기 싫은 회식 자리에 억지로 가야 한다. 특히 1차만 끝나고 집에 가고 싶은데 2차, 3차로 호프집이나 노래방에 가자고 한다. 중간에 집에 먼저 간다고 말하는 것이 참 애매하다.
세 번째, 누군가가 자신을 추천하여 부서 이동을 요청받거나 또는 헤드헌터로부터 다른 회사에 대한 이직을 요청받는다. 그 요청을 받아들일까, 아니면 거절하고 현재 자리를 고수할까에 대한 고민이 생긴다.
네 번째, 윗분이 나에게 인사 청탁을 요청한다. 이는 직장 내에서 고위직으로 올라갈수록 자신한테 권한이 많아질수록 생기는 불청객이다. 청탁을 잘못 거절해서 청탁자의 심기를 거슬리면 자신의 앞날이 안개처럼 뿌옇게 될 수도 있기에 이 경우는 중압감이 크게 다가온다.
위 네 가지 사례 중 공양왕과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은 세 번째다. 직장인은 늘 이동, 이직에 대한 유혹을 받으며 산다. 자리가 사람을 만들기 때문에 어느 자리를 거쳤다는 사실은 살아온 나의 역사이며, 주위 사람들이 나를 평가하는 척도가 된다. 나에게 자리를 주선한다는 사실은 분명히 나를 좋게 평가한다는 의미인데, 사람 일은 얄궂게도 나에게 마이너스가 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철수가 예상되는 사업부서에 나를 앉히려고 하거나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는 회사에서 나에게 스카웃 제의를 하는 경우다. 이런 상황에 접한다면 오히려 단호하게 거절하는 것이 자신에게도 상대방에게도 좋다. 물론 위로부터 내려오는 인사이동에 대한 요청을 거절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울 수 있다. 또한 성공의 기회는 노맨 보다 예스맨에게 많이 주어지는 것도 부인할 수 없다. 문제는 능동적인 예스가 아니라 수동적인 예스다. 부탁에 대해 거절을 잘 못하는 사람은 대체적으로 대인관계를 중요시한다. 다른 사람들에게 잘 보이겠다는 심리가 지배적이어서 거절시 자신의 이미지가 나빠질까 우려하여 거절을 못하는 것이다.
이런 병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우선 착한사람 콤플렉스를 버리고 내 한계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다. 무조건 승낙하는 것보다는 회사의 전략 방향, 소비자의 트렌드, 그리고 내 자신 주변을 둘러싼 여러 환경을 종합적으로 살피고 내가 이 상황을 수락하는 것이 나의 장래에 어떤 순기능과 역기능이 있는지 분석을 해서 결정해야 한다.
직장인은 연차가 쌓일수록 선택을 강요받는 경우가 늘어나고 거절하고 싶은 경우도 연차에 비례해서 많아진다. 그런데 젊어서부터 무조건 예스맨으로 살았다면 나이 들어서 거절하는 것이 쉬울까?
목표 성취에는 훈련이 필요하다. 공부건 운동이건 훈련 없이 이루어지는 것은 없다. 거절도 마찬가지다. 거절에도 연습이 필요하다. 이를 등한시하고 무조건 예스맨으로 살다 보면 중간관리자 이상이 되었을 때 거절하기 쉬운 상황을 거절 못하고 질질 끌려 다니게 된다. 이렇게 되면 자신의 리더십도 타격을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