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25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우린 아직 마흔일 뿐이다

by 엄태형 Feb 12. 2025

‘아직’에 절망할 때

‘이미’를 보아

문제 속에 들어 있는 답안처럼

겨울 속에 들어찬 햇봄처럼

현실 속에 이미 와 있는 미래를

아직 오지 않은 좋은 세상에 절망할 때

우리 속에 이미 와 있는 좋은 삶들을 보아

아직 피지 않은 꽃을 보기 위해선

먼저 허리 숙여 흙과 뿌리를 보살피듯

우리 곁의 이미를 품고 길러야 해

저 아득하고 머언 아직과 이미 사이를

하루하루 성실하게 몸으로 생활로

내가 먼저 좋은 세상을 살아내는

정말 닮고 싶은 좋은 사람

푸른 희망의 사람이어야 해


<아직과 이미 사이> 박노해  





시인은 ‘이미'에서 희망을 보라고 했지만, 우린 ‘이미’ 마흔이 되었지만 ‘아직’ 이룬 게 많지 않다. 마흔이 힘든 이유는 ‘이미’ 지나간 자신의 과거와 ‘아직’ 오지 않은 미래 사이에서 방황하고 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지나온 과거가 초라할수록 다가올 미래가 더 두렵게 다가온다.


“회사를 나가면 뭐 먹고살까?” 나름으로 열심히 살아왔다고 자부했지만, 앞으로의 미래를 생각하면 가슴이 막막하다. 항상 나를 힘들게 했던 건 늘 바쁘지만, 이 지독한 분주함 속에서 내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나는 아직까지 나만의 세계가 없었다. 그렇게 한동안 불면증으로 고생하며 깨달은 게 있다.


인생은 무엇을 이뤘다는 것으로 평가되는 것일까? ‘이미’ 이뤘다면 성공한 인생이고, ‘아직’ 이루지 못했다면 실패한 삶인가? 아직과 이미 사이에는 정리가 필요해 보였다. 특히 마흔은 이 두 단어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야 하는 시기로 여겨진다. 어쩌면 ‘이미’ 지나간 과거를 인정하고, ‘아직’ 남아 있는 가능성을 믿으며 한 걸음씩 나아가는 것. 그것이 마흔의 무게를 견디는 방법일지도 모른다. 그렇다. ‘아직’ 이룬 것이 없다고 느껴질 때야말로, 새로운 시작을 꿈꿀 수 있는 순간이다. 그러니 '이미' 이루지 못한 것들에 얽매이지 말고 '아직' 이뤄갈 수 있는 것들을 바라보자. 마흔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어야 한다. 체게바라의 말처럼, “리얼리스트가 되어 가슴속 불가능한 꿈을 지니자.” 이미 늦은 때란 없다. 단지 아직 우리의 때가 오지 않았을 뿐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마흔은 자기 본성을 찾아야 할 시기다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