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24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마흔에 고통을 받아들이는 연습이 필요한 이유

by 엄태형 Apr 06. 2025



“모든 색체는 빛의 고통이다.”

대문호 괴테가 한 말입니다. 나는 이 세상을 아름답게 하는 모든 색채가 빛의 고통에 의해서 이루어진다는 사실에 정신이 번쩍 들었습니다. 빛에게 고통이 있다면 바로 어둠이라고 생각했는데, 빛의 고통은 오히려 아름다움이었습니다.

이 세상 모든 만물이 빛의 고통이 없으면 제 색깔을 낼 수 없듯이, 이 세상을 사는 우리도 고통이 없으면 인간으로서의 삶을 살 수 없습니다. 만물이 색채를 지닌다는 것은 바로 고통의 빛이 있다는 증거이며, 제 삶에 고통이 있다는 것은 바로 제가 인간으로서 건강한 인생을 살고 있다는 증거이자 증명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 내 인생에 힘이 되어준 한마디, 정호승 - 





고통을 기꺼이 받아들이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누구나 인생에서 찾아오는 시련을 싫어하고, 고통스러운 상황이 자신만은 피해가길 바란다. 하지만 우리는 알고 있다. 고통은 아무리 피하려 해도 피할 수 없고, 결국 언젠가는 마주하게 된다는 사실을 말이다.

이러한 믿음은 마흔을 넘어서면서 더욱 분명해진다. 삶 속에서 마주하는 고통은 단순한 불운이 아니다. 그것은 노력으로 피할 수 있는 것도 아니며, 삶의 일부처럼 언제든 예고 없이 우리를 찾아온다.


내게도 고통은 수시로 찾아온다. 살아가는 마흔 해 동안 아픈 시련을 꼽으라면 두 손으로 헤아려도 부족하다. 경제적인 궁핍의 시기가 있었고, 연애의 아픔이 있었으며, 친한 사람과의 관계에서 오는 깊은 상처도 있었고, 불현듯 찾아온 외로움에 몸서리치기도 했으며, 가족의 질병과 죽음이라는 거대한 파도가 내 삶을 송두리째 흔들어 놓기도 했다. 그때마다 아픔은 ‘내 인생 최대의 시련'이라 여겨지며 나를 힘들게 했는데, 공교롭게도 지금은 모두 다 추억 속에 묻혔다.


위에 소개한 문장을 쓴 정호승 시인을 나는 그가 쓴 시가 아니라, 산문집을 통해 처음 알았다. 그의 행적을 따라가다 보면 유독 ‘고통’을 주제로 한 시와 산문을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건 그의 삶이 수많은 고통으로 점철된 삶이었다는 것을 말해주며, 그가 시인으로 살면서 ‘고통’이란 주제를 얼마나 깊이 있게 끌어안았는지를 알게 한다. 이는 그가 한 말에서도 느낄 수 있는데, “시는 고통에서 피어나는 사랑의 꽃”이라는 말이 가장 인상 깊고, 최근 출간된 그의 책 『고통 없는 사랑은 없다』에서 본 “신은 가끔 인간에게 빵 대신 돌멩이를 던지는데, 어떤 이는 그 돌을 원망하여 걷어차다가 발가락이 부러지고, 또 어떤 이는 그 돌을 주춧돌 삼아 집을 짓는다”는 표현이 인상 깊다.


이 모든 것이 시인에게 고통은 극복이 대상이 아닌, 삶의 일부로 받아들여야 하는 대상임을 알게 한다. 나 역시 ‘고통’이라는 주제는 편치 않다. 스스로에게 정말 이 글을 쓸 수 있는 자격이 되느냐는 질문을 수없이 던지며, 앞으로도 내 앞에 설 고통을 불편하지 않게 마주할 수 있는지를 자문해 본다.

아마도 좀 더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나는 ‘빛의 고통이 주는 아름다움’은 기억할 것 같다. 그리고 더불어 사람은 누구나 어머니의 산고의 고통을 통해 태어난다는 것을 기억할 것이다. 이 아름다운 세상을 위해 빛은 고통을 자신의 숙명으로 받아들였고, 한 사람도 예외 없이 어머니가 받아들인 고통으로 세상에 태어났다는 것을 기억하고 잊지 않을 것이다.


그럼 어쩌면 나도 고통 앞에서 좀 더 당당해질 수 있지 않을까. 이 아픔이 결국 빛이 되어, 나를 한뼘 더 성장시킬 수 있지 않을까를 기대하면서 말이다. 끝으로 유대인 수용에서 살아남아 로고테라피를 창시하고 『죽음의 수용소』라는 대작을 남긴 빅터 프랭클의 말로 끝맺음 한다.


“고통은 피할 수 없지만, 고통에 대한 태도는 선택할 수 있다."



매거진의 이전글 죽음은 엄연한 현실이다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