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류인하 Feb 24. 2022

2022 랑랑 내한 리사이틀 후기

랑랑이었기에, 바흐였기에, 그리고 지금이기에 더 의미 있었던 공연

언제부터였을까? 바흐의 음악이 평화의 대명사가 된 것이. 로스트로포비치가 무너진 베를린 장벽 앞에서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을 연주한 이후? 아니면 평화와 인류애를 노래하는 곡을 만든 작곡가들이 하나 같이 바흐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 아니면 바흐가 사랑과 평화를 강조하는 크리스트교(루터교) 교회에서 교회음악을 작곡하며 일생을 살았기 때문에?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어도, 6년 만에 한국에 돌아온 랑랑이 인도한 바흐의 평화 속에서 행복했던 90분을 반추해보려 한다.



내가 기억하는 랑랑은... 리스트가 참 잘 어울리는. 그에 걸맞은 테크니컬한 연주자였다. 그래서였을까, 이번 내한 프로그램이 공개되었을 때,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 BWV.988 하나만 달랑 선정된 걸 보고 의외의 선택이다 싶었다. 랑랑은 리스트가 정석 아닌가요? (갸웃) 나중에 슈만의 <아라베스크 C장조> Op.18 이 오프닝 곡으로 추가되긴 했지만, 솔직히 아라베스크 짧은 그 한 곡 보다 바흐의 30개가 넘는 변주곡을 통으로 연주하는 것이, 즉 바흐의 변주곡이 메인 메뉴라는 건 클알못이 아니더라도 그냥 일반인들이 보더라도 충분히 짐작 가능한 셋리스트였다. (슈만 아라베스크는 아뮤즈 부쉬였지 뭐...)


6년 만에 돌아온 랑랑은 왜 하필 바흐로 돌아왔을까. 이전부터 앓고 있던 고질적 건초염이 재발하여 고생했던 것도 알고 있었고(덕분에 조성진의 베를린 필하모닉과 협연이 이루어지긴 했지만), 그 중간에 한국계 독일인인 지나 앨리스 레드링거와 결혼도 있었고... 어쩌면 ‘기본으로, 처음으로 돌아가자’ 하는 생각에, ‘어느 정도는 구축해 놓은 자신만의 낭만파 사조, 현대음악 사조를 두고 바로크와 고전으로 돌아가 새로운 시작을 해 보고 싶은 마음도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Covid 19로 인한 팬데믹이 어느 정도 출구를 보이고 있는 현시점에서, 새로운 시작을 노래하고, 미 - 중간 새로운 냉전체제가 시작되는 건 아닌가 하는 이 불안한 세계정세 속에서, 그리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이 시작될 이 무렵에 듣는 바흐라니...


원래 예술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다. 전쟁을 앞두고서는 전쟁의 참상을 그리거나 그에 지친 사람들을 위로하거나... 풍요로운 현실에서는 그 풍요와 아름다움을 만끽하는 예술. 지나친 의미 부여 일지 모르겠지만... 지금 벌어지려고 하는 또 다른 냉전의 한 축인 국가 출신인 랑랑, 그리고 그것과 상관없이 그 반대편에 서야 할 국가 출신의 작곡가의 곡을 연주하는 모습이... 현실과 무척 동떨어져 이질적으로 보였다. 그래서 좋았다. 원래부터 예술은, 음악은 시대와 국경, 이념과 정쟁 모두 상관없이 만민에게 평등하게 주어져야 하는 것들이니까.






어제 공연 한 줄 요약은 ‘기승전 염장질’이었지만, 전체적인 공연 느낌의 연장으로 앙코르 무대를 바라보자니 랑랑 부부의 염장질이 좀 희석되는 것 같다. 랑랑의 부인 지나 앨리스 레드링거와의 협연과 각자의 솔로 무대. 1시간이 넘는 시간 동안 랑랑의 바흐를 듣는데, 내가 알던 바흐는 이런 느낌이 아닌데 어째서 랑랑의 손끝에서 피어나는 음악의 꽃은 ‘가정가정~’, ‘안정안정~’, ‘행복행복~’ 느낌일까 싶었다. 바흐가 애처가였고, 특히 후처 마리아 바르바라와의 사이도 좋았던 것, 아이들과 제자들을 위해 쓴 곡이 많은 것도 알아서 그런 느낌이 나나? 싶었는데, 본 공연이 끝나고 나서야 무릎을 탁 쳤다. ‘랑랑은 다 계획이 있구나!!’ 무대 입구 너머 드레스 자락이 살랑이길래 설마 했지만 그 설마가 진짜일 줄이야.



결론적으로는 앙코르도 좋았다. 아니 본 공연보다 앙코르 임팩트가 너무 커서 본 공연이 어땠는지 공연 끝난 직후에는 본 공연의 여운이 남아있지 않았다. 사랑스러운 연인 한 쌍이, 서로를 바라보며 협주를 하고, 눈을 맞추고 호흡을 맞추는 모습이, 그들의 손에서 빚어지는 음악이 보기 좋았다. 로베르트 - 클라라 슈만 부부의 환생이라 하더라도 믿을 수도 있을 것 같았다. (잠시만요, 슈만은 9살 연하인데 랑랑은 12살 띠동갑 연한데요? 랑랑이 더 한 도둑놈 아닌가요? ㅋㅋ) 각자가 서로의 뮤즈가 되어주고 그로 인해 서로가 성장해 갈 모습이. 지나 알리스의 솔로곡 <엄마야 누나야>의 편곡 버전을 연주하는데 합창석 아래 벽에 기대어 아내의 연주를 뚫어져라 쳐다보는 눈빛이, 눈에서 발사되는 하트가, 조명 밖 어둠 속에서도 보일 정도였으니... (랑서방. 그러니까 알리스한테 잘해.) 창작자라면 누구나 꿈꾸는 이상적인 관계라 생각할 연인의 모습, 부부의 모습을 그들에게서 볼 수 있었다. (기승전 - 부러웠다. 심술심술) 뮤즈이자 조력자이자 아내이자 연인이자 제 아이의 엄마인 그녀로 인해, 랑랑이 얼마나 더 자신의 음악세계를 키워갈까 궁금해진다.


앙코르 무대 얘기가 길어지긴 했는데, 랑랑의 골드베르크를 들으며 그런 생각을 했다. ‘건초염 관리 잘하길. 오래도록 보고 싶다. 곧 오실 지메르만처럼... 희끗한 머리의 랑랑 연주도 궁금하다.’ 랑서방, 처외가 리사이틀 자주 와요. 내가 챙겨보러 가줄게.

매거진의 이전글 2019 한스 짐머 라이브 후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