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틸킴 Dec 08. 2018

멘탈의 취소 수수료


휴가를 반려 당했다. 나말고 남친이. 후쿠오카행. 료칸과 가이세키 요리, 미슐랭 1스타의 오마카세, 텐진역 근처에 즐비한 현지인 술집들이 함께 반려 당했다. 그 스케줄엔 물론 나도 포함이다. 남친에게서 휴가 반려 전화가 오던 그 시각, 나는 2박 3일의 일정 중 3일차 오전까지를 완성하던 차였고, 료칸에는 예약 의뢰를 넣어 놓은 상태였으며, 아고다에는 이미 예약된 호텔이 있었다. 그러거나 말거나 대한민국의 어느 소방대장은 저연차 대원이 작년 5월에 떠난 후쿠오카 여행을 기억했고, 뭔 놈의 해외를 1년에 두번이나 가느냐며 투덜거렸다. 아끼는 후배의 휴가를 지켜주고 싶었던 팀장의 교육 일정 조정 요청은 그렇게 묵살당했다. 

멘탈에도 취소 수수료가 필요하다. 방금 전까지 있었던 계획이 사라질 땐 부풀어 오른 내 마음도 얼마간 보상을 받아야 한다. 하다 못해 호텔 방 하나, 비행기 좌석 하나도 예약이 취소되면 수수료를 받는데, 나의 기대감은 누가 보상해줄 것인가. 그 휴가 동안 나는 얼마나 행복했을까. 나는 그 행복을 진행된 일정 만큼 구체적으로 상상했다. 그리고 스케줄 표와 함께 순식간에 빼앗겼다. 손에 내내 들고 있던 풍선을 지나가던 아저씨가 뻥 터뜨린 느낌. 100% 환불은 바라지 않아도 15%라도 보상해줘야 하는 거 아닌가. 그런다고 달래질진 모르겠지만.

멘탈의 취소 수수료는 상심한 내가 직접 지불해야 한다는 게 문제다. 소방대장이 알기나 알까. 당신 때문에 밥도 안 먹고 료칸 찾던 한 30대 여성이 지금 굉장히 불행해졌다는 것을. 치킨은 그가 사줘야 하는데, 그가 내 이름조차 모르는 탓으로 닭은 내가 시켜 먹어야 한다. 

닭일까, 닭발일까. 뭘 먹으면 헛헛한 마음이 채워질까. 문득 슬퍼졌다. 해외에 있는 친구들도 많은데. 유럽을 며칠씩 가는 친구들도 많은데. 당장 사무실만 둘러봐도 남미며 어디며 가는 사람들 많은데. 그렇게 큰 욕심 낸 것도 아닌데. 왜 난 할 수 있는 게 없지. 

무기력은 수동성의 다른 말이다. 수동적인 태도는 일상이 반복될 때 시작된다. 똑같은 일상에선 적극적일 필요가 없다. 매일 아침 8시에 버스를 타서 9시 40분 언저리에 회사를 도착하는 일에는 도무지 내가 나서서 해결할 게 없다. 눈 떠지면 버스에 몸을 싣고, 때 되면 밥 먹고, 오티 받으면 대충 아이디어 내고, 팀장님이 시키는 일을 하고. 등 떠밀리는 일상들. 근데 나는 등 떠밀리는 줄도 모르지. 무언가 컨펌을 하고, 돈을 받고, 대리님, 대리님, 누가 나를 찾으니까.

그래서 직장인에겐 가끔 여행이 필요하다. 여행은 무기력의 반대말. 여행은 내가 나서서 모든 걸 결정하고 책임지는 몇 안되는 이벤트. 기력조차 남지 않으면 여행을 못간다. 마지막 남은 기력을 쥐어짜낸 사람만이 비행기를 타는 거다. 골라둔 식당, 먹고 싶었던 바로 그 음식을 먹으며, 인생의 중심에 아직 내가 있음을 가까스로 확인하는 거라고, 직장인의 여행은 그런 거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러니까 나는 최근의 무기력 굴레를 깰 기회를 반려 당한 거다. 나랑 옷깃조차 스치지 않은 사람이 한 말 때문에. 앞으로도 흔한 여행, 흔한 도전 하나 못하겠지. 이렇게 별로 되기 싫은 모습으로 늙어가겠지. 한층 심한 자기 연민에 빠지려던 찰나, 생각을 고쳤다. 이 앞 문장엔 중대한 전제가 생략돼있으니까. “남들 때문에”

자기 연민은 무기력을 즐기는 거다. 나를 극한까지 수동적인 존재로 몰아가서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자신에 탐닉하는 거다. 그게 왜 그렇게 달콤한지 모르겠다. 나는 세상에서 가장 못났고, 그러므로 이룰 수 있는 것은 없고, 사람들은 마지못해 나를 만난다. 어쩜 이건 이토록 중독적일까. 나를 세상에서 가장 불쌍한 사람으로 만들어 아무도 몰라 아무도 하는 건. 그건 사실 이 마음에 “남들 때문에”가 숨어있기 때문이다. 이 상황은 내가 초래한 게 아니다. 나는 무기력하고, 수동적이니까. 이건 모두 남들 때문이다. 누구는 부모를 잘 만났고, 누구는 에너지가 있고, 누구는 갑부 애인을 만났는데, 내겐 그런 '남'이 없어서다. 교묘한 방식이다. 나는 내 욕을 하는 척 하면서 사실은 나머지 전부를 탓하는 거다. 그러니 달콤하다. 그렇게 혼자 썩는다.

늦은 퇴근 버스에 오를 때쯤, 원인을 바꿨다. 이 우울의 원인은 나. 그러므로 고칠 수 있는 것도 나. 여행은 가고 싶으면 혼자서 가자. 나에겐 갈 힘이 있으니까. 우울할 필요 없는 일이야. 

어차피 취소 수수료는 내가 무는 거다. 인생의 주어는 결국 나다. 그 뒤로 수동태가 와서 붙을지, 능동태가 와서 붙을 지는 내가 정한다. 어떤 이유였든, 누구의 방해였든. 가고 싶은 팀에서 기회가 왔을 때 아니 아니 남겠어 했던 것도. 어떤 돈으로든 사람들이 떠날 때 못가 못가 했던 것도. 남는 시간에 뭘 그리고 뭘 쓰고 놀지 선택한 것도. 결국 나. 그 결말도 내가 받는 것.

주어를 바꾸니까 동사가 바뀐다. 내가 할 수 있는 걸 찾게 된다. 그중 하나 정돈 제대로 된 처방이 될거다. 이걸 쭉 늘어놓고 나니 조금 개운해진 것처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