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정민 Feb 22. 2022

우리 강아지가 얼마나 클까?

점 몇개만 찍어보면 알 수 있다

미국에서 600만 마리의 어린 강아지를 대상으로 분석을 했다.

이를 바탕으로 월섬연구소에서 배포용 차트를 개발했다.

초소형, 소형, 중형, 대형, 초대형 5가지 분류로 나누어 접근했으며,

아쉽게도 성장했을 때 40kg이 넘어가는 강아지에 대한 분석은 숫자가 적어 분석이 어렵다.


품종으로 분류하면 위의 표와 같지만

좀 더 정확한 방법은 

부모의 체중을 알면 

이를 대입해보는 것이 좋다.


본격적으로 점을 찍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우선 

1) 품종과 성별을 기준으로 

2) 부모의 체중과 성별을 기준으로 

10가지 그래프 중에 한 그래프를 고른다. 


가로축은 주차(weeks), 세로축은 몸무게(kg)다.

분석은 12주차(3개월령)부터 가능하다.


강아지의 몸무게를 재고, 

우리 아이 나이가 몇주차인지 계산을 한 후 7로 나누어주면 된다.

(네이버 날짜계산기에서 며칠째 되는 지)

그 값을 한 점 (x,y)로 하여 점을 찍어준다.

한 달마다 무게를 측정하고, 나이를 계산하여,

그 값을 두번 째 점 (x,y)로 하여 점을 찍어준다.


계속 점을 찍으면 두 가지 정보를 알 수 있다.

1) 위 아래의 곡선을 추적하면 우리 아이가 다 성장했을 때, 

    몇 kg 정도 되는 성견이 될 지 예측할 수 있다.

2) 그래프가 아래의 그림에서 녹색과 같이 두 곡선 사이에서

    위치하며 성장하면 잘 크고 있는 것이다.

    (좌) 그래프가 곡선 두 개 아래로 내려가면

    전염성 질병 등의 건강상의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우) 그래프가 곡선 두 개 위로 올라간다면

     비만의 가능성이 높아, 급여량을 다시 계산해줄 필요가 있다.


믹스견의 경우 부모의 무게를 안다면,

이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부모의 무게를 알 수 없다면 

믹스견 소형 : 초소형, 소형, 중형

믹스견 대형 : 중형, 대형, 소형으로

각 세 개의 그래프를 뽑은 뒤, 

최소한 세 번의 점을 찍어 어떠한 그래프를 

가장 잘 따라가는 지 추적하면 된다.

매거진의 이전글 식물성 오메가3에 속지 말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