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D Oct 13. 2019

도전에 효율성이라는 단어를 더하니 포기가 결정되더라

도전을 포기하게 만드는 무서운 단어

도전을 하는(혹은 준비하는) 과정에서 "효율성"이라는 단어를 더하니

그 도전은 하지 굳이 할 필요가 없는 도전이 되는 것 같다. 

즉, 포기하게 되더라.

포기라는 단어를 애써쓰기 싫어 효율성이라는 조금 멋진 표현으로 애둘러 말하지만

도전을 포기하게 되더라. 


항상 나를 응원해주는 친구로부터 PDF 파일을 하나 받았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수공고!! 두둥! 

서울대학교 교수라.. 내 관심의 원, 영향력의 원 밖에 있는 단어이다. 

서울대학교 교수가 되는 나의 미래는 내가 그린 수많은 그림 중에는 없는 그림이다. 

하지만 친구의 응원과 함께 그 공고를 자세히 들여다 보았다.


어쩜 이럴까?

교육공학을 학부, 석사에서 전공하고 박사과정 또한 유사전공으로 간 나는

박사과정 공부를 하면서 나의 주요 연구영역 중 하나로 질적연구방법론을 탐구했다.

그 결과, 교육공학에 대한 논문보다는 (교육에서의) 질적연구방법론 활용에 대한 논문이 더 많다. 

이러한 연구수행은 현재 교육공학쪽 잡을 구하는데는 그다지 매력적인 장점이 되지 않고 있다. 

사실 교육공학 전공자로서는 약점으로 보일때도 많다. 

이러는 와중에 이런 Fit이라니...


이 공고를 보고 사실! 내 안에 자신감이라는 씨앗이 발아하기 시작했다.

- 질적연구방법론 관련 가장 인지도 높은 저널 두곳에 내 논문이 실려있다(SSCI). 

- 최고수준 저널은 아니지만 보통 수준의 저널에도 연구방법론 관련 논문을 한편 실었다. 

- 질적연구방법론을 채택해서 수행한 논문이 최근 3년이내 3편이 있다. 

- 교육에서의 질적연구방법론 활용 인증을 보유하고 있다. 

- 한국대학교육에서의 질적연구 교육에 대한 논문을 한편 썼다. 

- 양적연구관련 개인 컨설턴트로서 일을 했었고, 기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다.

- 빅데이터 분석 관련 기관에 포닥으로 근무하면서 빅데이터 분석가 양성 교육을 기획 운영하고 있다.


내가 지금까지 해온 것들은 저 포지션 지원에 대한 자신감의 근거가 되었다. 


"그래 내가 언제 서울대에 지원해보겠어! 인생의 추억으로 남을 수 있께 한번 지원해보자."라는 생각을 했다.


그래 지원해보는거야!

그 다짐후, 하나하나 준비하였다.

바쁜 업무 안에서 이것들을 준비하면서 슬금슬금 부정적 생각, 도전을 방해하는 생각이 일어난다. 

효율성이라는 옷을 입은 체!

- 서울대인데.. 과연 지방대 출신인 나를 뽑을까?

- 내정자가 있지는 않을까?(근거없이 혼자하는 생각)

- (거기에 생각이 더 나아가) 어떻게해서 내가 된다고 해도 과연 그들을 가르칠 수 있을까? 

그 문화에 들어갈 수 있을까?


도전에 대한 액션보다는 도전을 회피하게 하는 생각을 하는데 시간을 보내고 있는 나를 발견한다. 

그러다보니... 무모한 도전적 정신보다는 "안 될 확률이 더 많은데 굳이 이곳에 맞추어 자기소개서를 쓰고, 각 요구조건들을 맞추는 작업을 하는게 시간 낭비는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어차피 알될껀데 헛된 에너지 쓰지 말자!"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도전앞에서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생각하게 되니 도전 자체를 하지 않게 되더라. 

효율성은 그 도전 포기의 합리화전략이 되고!


중학교 학생들,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드림리스트 작성에 대한 교육을 꽤 많이 진행했다.

그들에 "여러분에게 꿈을 100개 적으라 그려면 20개 적고는 없다고 한다. 

왜 그러는줄 아느냐? 꿈을 생각할 때 이미 그 꿈이 될지 안될지를 스스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꿈을 꾸기전에 그 꿈을 이룰 수 없게 하는 제약을 항상 먼저 생각한다.

이번 드림리스트를 쓸때는 제발 그런 제약에 대한 걱정없이 맘껏 써보아라!

쓴다고 손해보는 것은 없지 않느냐?"

이렇게 꿈을 꾸는데 제약을 먼저 생각하지 말라고 말해왔다.

이 말이 내게 따끔하게 돌아온다.


서울대라는 우리나라 최고의 대학의 교수공고에서

내용적 측면만 보고 도전해보고자 하는 의지가 샘솟았다. 

도전에 대한 자심감도 있었다.

그러다 하나하나 생각해보니 이런저런 핑계와 합리화로

도전결과에 대한 부정적 예측을 누구도 아닌 나 스스로 하게 된다.

(신기하게도 주변인들은 응원을 하고 있는데)

그 부정적 예측에 빠져 혼자 내 도전의 효율성을 계산한다.

계산 결과, 이 바쁜데 그런데 에너지 쓸 시간이 없다라는 결론이 나온다.


이 글은 나에게 보내는 따끔한 메시지이자 성찰이기보다는 반성이다. 

아직 공고기간이 4일 더 남았다. 과연 나는 낼까?

10년 뒤에 나는 이 결정에 대해 무슨 후회를 할까?

이 선택은 합리적인 선택일까? 아님 포기일까?


어렵다.

결론 (혹은 교훈) 하나는

도전에 효율성을 따지지 말자! 그럴꺼면 도전은 왜하냐! 

작가의 이전글 생일 축하는 카카오톡으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