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통찰하는 보통여자 Jun 13. 2024

희망을 버려야 할 때도 있다.

희망을 버려야 할 때도 있다.



자신에 대한 무한 믿음이 늘 좋은 것은 아니다. 여기저기서 뭐든지 할 수 있다, 불가능은 없다는 메세지를 외친다. 단념하는 것을 암묵적으로 금기시하며 포기에는 나약함이라는 이름표를 달아버리곤 한다. 보통 소위 말하는 이런 강인함은 성공이라는 단어와 함께 자주 등장하곤 하는데, 한계를 정해놓는 것은 바보들이나 하는 것처럼 치부되어 버린다. 세월의 흐름과 함께 나름의 경험을 하다 보니 내 관점도 많이 변했다. 뭐든 할 수 있다는 무한 믿음이 강함이나 대단함의 상징이라 생각되지 않으며, 포기하는 행위가 나약함으로 보이지 않는다. 그보다 중요한 것은 자신을 정확하게 보는 객관적인 눈이라는 생각이 든다. 무엇에 들이밀어볼 법 하고 무엇을 포기할 것인지 결정을 해야하기 때문이다. 이 능력이 선행되지 않는다면 계란으로 바위치는 꼴이 될지도 모르겠다.



누군가에게 물 흐르듯이 쉬운 일이 반대로 어떤 이에게는 버거워 죽겠는 일이 될 수도 있다. 태생적으로 특정 일에 젬병인 사람이 본인의 본성까지 역행하면서까지 한계를 깨야만 하는 걸까. 이에 대해선 관점에 따라 답은 없겠다만 특정 일에 있어 과한 에너지가 갉아 먹힌다면 성실함, 노력, 부지런함의 결여보다 오히려 자기 객관화가 부족한 것일 수 있다. 때로는 뭐든지 할 수 있다는 메세지가 주는 맹목적 희망고문은 포기를 노력의 부족이라고 뭉뜽그려 버린다. 집요하게 포기하지 않는 능력이 늘 미덕이 되지는 않는다. 아니다 싶으면 빠른 판단하에 미련 없이 발을 빼버리는 객관적 포기도 필요하다.  


 

희망을 버리지 못하는 것이 미련함일 때도 있다. 희망을 버린다는 것은 나약함이 아닌 정확함이 될 수도 있다. 무언가에 비벼보기 전에 나를 제대로 파악하고 현실적인 가능성을 따져보고 싶다. 그 일을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수 있을지, 내 본성을 크게 거스르지는 않는 일인지 머릿속 계산기를 먼저 두드려보고자 한다. 누구나 다 할 수 있다는 메세지를 전파하는 행위가 어떤 관점에서는 무책임에 가까울 수 있다는 것을 치기 어린 시절에는 몰랐다. 스케일이 크거나 큰 그릇을 가진 이가 있는 반면에 적당한 그릇으로 안정감을 느끼는 이도 있다. 사람들과 최전방에서 소통하며 행복을 느끼는 이가 있는 반면 교류와는 거리를 두고 자신에게 집중할 때 보람을 느끼는 이도 있다. 지향해야 할 방향은 이처럼 제각기 다르다. 스스로에 대한 파악이 되지 않은 채 밀고 나가는 무조건적인 노력은 시간과 에너지 낭비를 야기하는 독이 될 때가 있다. 지금 보면 여태껏 희망은 내게 너무 막연하고도 어렴풋하기만 했다. 희망도 냉정하게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전략을 짤 때 비로소 희망 다운 현실적인 희망이 되지 않을까.

작가의 이전글 가볍고 큰 의미 없는 일이 필요하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