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그림민기 Feb 15. 2021

쓰레기의 운명에 대해서 생각해 본 적이 있다.

소제목을 생각하다 반나절이 지났다.

쓰레기통 너머, 쓰레기의 운명에 대해서 생각해 본 적이 있다.
아니, 사실 쓰레기통에 쓰레기를 넣는 매 순간 상상한다.

  이런 상상은 님비현상이라는 것을 배우면서 시작되었다.
님비(NIMBY)는 Not In My BackYard의 줄임말로 우리 동네에 쓰레기 처리장 설치를 반대하는 것을 말한다. 쓰레기 처리장이 없으면 쓰레기는 어디로 가야 하며, 쓰레기 처리장이 뭐길래 이런 현상까지 생겨난 걸까, 왜 쓰레기 처리장은 미움받을 운명일까 하는 등의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었다.
 
재활용이 되는 쓰레기는 분리수거되어 재활용을 꿈꾸고,
그 외의 쓰레기는 불에 타거나 땅에 묻힌다.

  인류의 기술이 이렇게나 발전했어도,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식은 참으로 원시적이다. 불에 태우거나 매립하는 2가지 처리 방식이 나는 전혀 달갑지 않다. 내가 버린 쓰레기는 결국 검은 연기를 뿜으며 재가 되거나, 땅속에서 고약한 냄새를 풍기며 썩어 가는 것이다.
  이렇게 쓰레기를 인식하고 살다 보면, ‘나’라는 사람이 하루에 만들어내는 쓰레기가 얼마나 많은지 놀라울 정도다. 비단 나뿐만 아니라, 우리 동네, 우리나라, 전 세계로 범위를 확장하여 생각하면, 그 쓰레기 양은 짐작하기 어렵다. 언젠가 쓰레기들로 뒤덮일 지구를 상상하고 있자니, 쓰레기통에 쓰레기를 넣을 때마다 죄책감을 몰려왔다.

  놀라운 사실은 그 많은 쓰레기들도 처음엔 쓰레기가 아니었다는 것이다. 사람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졌고, 사람의 불필요에 의해 쓰레기가 되었다. 사람에 의해 결정되는 쓰레기의 운명. 그것은 어떻게 보면 조금 애잔해서, 물건을 소비하는 순간에도 물건의 끝을 상상하고 물건을 제작하는 순간에도 한결 더 신중해진다.


  가능하면 쓰레기가 나오지 않는 최선의 선택을 연습한다. 그 연습은 필요한 만큼만 소비하는 것과 최소한의 일회용품 사용일 것이다. 종이컵 대신 텀블러, 휴지 대신 손수건, 생리대 대신 생리컵, 일회용 마스크 대신 빨아 쓰는 마스크, 비닐봉지 대신 장바구니, 일회용 랩 대신에 다회용 실리콘 뚜껑... 다년간의 연습으로 빨대를 쓰던 시절이 가물가물하고, 공짜라도 필요 없는 물건은 거절하며, “일회용품은 빼주세요”라는 말을 달고 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완벽하게 쓰레기 없이 살기는 정말 어렵고 귀찮다. 쓰고 버리면 그만인 편리함을 너무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어쩌다 제로 웨이스트로 사는 분들을 보면 존경스러울 따름이다. 쓰레기통 너머, 쓰레기의 운명 따위 가끔은 모른 채 하고 싶다.

  요즘은 어느 정도 공감과 이해를 받을 수 있는 이야기지만,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어우 피곤하게도 산다”라는 말을 정말 많이 들었다. 무엇이든 넉넉하게 주는 것이 정(情)으로 여겨지는 사회에서 필요한 만큼만 사용하자는 목소리는 정 없는 소리였을 것이다. 내 생각을 강요하고 싶지는 않다. 더욱이 나의 눈치를 보는 상대방의 모습을 보는 것은 너무 불편한 일이다. 그저 나는 나의 가치관에 따라 오늘도 소심하게 지구를 지킬뿐이다. 나는 소심한 지구방위대이다.







소심한지구방위대의 다른 글은 매거진에서 보실 수 있어요.
여러 대원이 참여하는 매거진에서 각자의 소심한 실천을 지켜봐 주세요.

https://brunch.co.kr/magazine/planet-guard


매거진의 이전글 고백하건대, 나는 소심한 지구방위대이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