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요금제 글로벌 MAU가 7,000만 명을 넘었다
| 20250328
세계적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넷플릭스가 도입한 '광고 요금제'의 글로벌 월 활성 이용자수(MAU)가 7000만명을 넘어 성공가도를 달리면서 그 비결에 시장의 관심이 모인다. (중략) 넷플릭스는 2022년 11월 한국에 광고형 요금제를 처음 도입한 이후, 타깃팅·측정·리포팅 기능을 지속 개선하며 광고 최적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넷플릭스의 광고 요금제 MAU는 2023년 5월 500만명, 같은해 11월 1500만명, 지난해 1월 2300만명을 돌파했고, 작년말 7000만명에 달했다. 다양한 OTT를 중복 구독하는 이용자가 늘어나면서 가격에 민감한 수요도 증가하는 만큼 이와 관련한 진입장벽을 낮춘 전략이 통한 것이다. 특히 넷플릭스는 광고 요금제를 단순한 수익 창출 수단이 아니라 '콘텐츠'로 생각하고, 시청자의 몰입을 방해하지 않는 광고경험을 제공한 것이 성공의 비결이라고 설명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48/0000034790
신원수 한국디지털광고협회 부회장은 지난 26일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가 개최한 '미디어 이슈와 콘텍스트' 세미나에서 "국내 브랜드가 넷플릭스라는 글로벌 플랫폼을 통해 미국이나 다른 나라 이용자에게 광고를 할 수 있게 됐다. 글로벌 진출이 쉬워진 것"이라며 "특히 한국 콘텐츠가 바이럴(Viral, 온라인에서 콘텐츠가 확산되는 현상)이 잘 되는 만큼, 한국 기업은 효율적인 광고 수단을 가지게 됐다"고 했다. (중략) 넷플릭스는 이용자의 광고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넷플릭스는 주요 장면에 광고가 삽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광고위치를 직접 선별하고, 동일광고가 노출되는 빈도를 최대 하루 3번으로 관리하고 있다. QR코드 광고, 일시정지 광고 등 방송광고에서 할 수 없는 새로운 형태의 광고도 나왔으며 3개 에피소드를 연속 시청할 경우 4번째부터 광고를 제거하는 '몰아보기 광고' 포맷도 도입했다. 주요 장면에 광고가 나와 시청흐름을 방해하는 TV광고와 차별점을 두고 있는 것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6/0000129188
편집자 주 : 광고 요금제의 MAU가 커질수록 광고 효과는 지수적으로 증가합니다. 게다가 넷플릭스는 광고 시스템에 인공지능을 적용해 애드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고객에 따라 타깃을 설정한 프리미엄 광고의 물꼬가 한 번 터지면, 그 흐름을 되돌리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진입장벽이 낮은 저가형 광고요금제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에서 각광받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2027년에는 넷플릭스 전 세계 이용자의 58%가 광고요금제를 쓸 것이라는 예측이다. 넷플릭스, 티빙에 이어 쿠팡플레이, 웨이브, 왓챠 등도 광고요금제 도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강신규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책임연구위원은 26일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가 개최한 제1회 미디어 이슈와 콘텍스트 행사에서 광고형 요금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66963
3년 만에 넷플릭스에서 새롭게 공개된 '약한영웅 Class 1'이 전 세계적으로도 통했다. 26일 OTT 콘텐츠 순위 집계 사이트 플릭스패트롤(FlixPatrol)에 따르면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약한영웅 Class 1'은 589점으로 넷플릭스 TV쇼 부문 글로벌 3위에 안착했다. 3년 전 웨이브를 통해 공개됐던 작품이 넷플릭스를 통해 전 세계적에 공개되며 흥행을 일으켰다는 점에서 괄목할 만하다.
https://news.tf.co.kr/read/entertain/2191886.htm
27일 창원시 의창구에 위치한 CGV창원점. 영화 시작 시간이 임박했지만 매표소는 물론 스낵 코너에도 손님은 찾아볼 수 없었다. 적막만이 극장을 채웠다. 출입구 옆엔 “3월 31일을 끝으로 영업 종료, 인근 지점을 이용 바랍니다”는 안내문이 덩그러니 붙어 있었다. 내부에 입점했던 코인노래방, 카페, 토스트 전문점 등은 이미 철수 작업을 마쳤거나 진행 중이었다. 사실상 ‘영화관 상권’ 자체가 사라진 셈이다. (중략) 인근 카페 한 점원은 “주말이면 음료를 테이크아웃해 영화관으로 가는 손님이 자주 있었다”며 “영화관 폐점은 살면서 처음 본다. 그만큼 경기가 좋지 않다는 건데 지역 상권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 같아 걱정된다”고 말했다. CGV는 창원점 외에도 최근 송파점과 연수역점의 영업을 종료했다. 광주터미널 지점도 이달 31일을 끝으로 폐점한다. 2019년 168곳에서 2023년 199곳까지 늘어난 CGV 극장 수는 지난해 195곳으로 감소했다.
https://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456839
온라인 동영상서비스(OTT) 플랫폼 티빙이 2025시즌 프로야구 개막 주말 KBO리그 시청자가 크게 증가했다고 27일 발표했다. 티빙에 따르면 22일부터 이틀간 진행된 프로야구 2025시즌 개막 주말 KBO리그의 순방문자 수가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했으며, 총시청 시간은 130%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시청 분포를 살펴보면 20대가 3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30대(25%), 40대(23%) 순으로 이어졌다. 특히 주목할 점은 25~29세 여성 이용자 비중이 10%로 가장 높았으며, 20대 여성 전체 비중이 20%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https://www.maniareport.com/view.php?ud=202503271318119665dad9f33a29_19
KT는 ‘신병 3’의 일부 홍보 영상을 100% AI 기술만 활용해 제작했다. KT는 ‘신병 1·2’편의 주요 장면을 압축한 몰아보기 영상과 ‘신병 3’의 하이라이트 숏폼 영상을 AI로 제작해 온라인과 SNS 채널에서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AI 제작 시스템 도입으로 홍보 영상 제작 시간 및 비용이 기존 방식 대비 약 90% 이상 절감됐다. KT는 향후 KT ENA와 KT 스튜디오지니의 유튜브 채널 콘텐츠에도 AI 기술을 도입할 예정이다. KT ENA와 SBS Plus의 인기 TV 예능 ‘나는 솔로’를 화제의 인물 ‘옥순’을 중심으로 새롭게 편집하거나, 영화, 애니메이션, 해외 시리즈의 숏폼 콘텐츠를 AI가 자동 제작하는 방식이다. AI 숏폼 제작은 단순히 영상을 축약하는 수준을 넘어 콘텐츠의 스토리 라인을 고려해 클립형, 인물형, 행동형, 리뷰형, 예고편형 등으로 맞춤형 편집이 가능하다. ‘행동형’ AI를 선택해 숏폼을 제작할 경우 댄스, 노래 등 특정 행동을 중심으로 장면이 편집되고, ‘인물형’은 원하는 인물의 시점에서 서사가 전개되도록 편집된다. KT는 숏폼 제작에 KT만의 차별화된 AI 기술을 적용했다.
https://www.joongang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14863
김류미(41), 황대산(46) 공동대표는 지도 기반 맛집 정보 공유 플랫폼 ‘뽈레’를 창업했다. 이용자들의 맛집 리뷰 데이터를 모아 축적하고,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진짜 맛집을 추천하는 플랫폼을 만들겠다는 취지다. (중략) 뽈레는 스쳐 지나가는 일명 ‘눈팅족’에 그다지 친절하지 않은 서비스다. 특정 인플루언서의 리뷰를 크게 부각하지 않는 데다, ‘서울 TOP20 냉면’과 같은 소개 콘텐츠도 제작하지 않는다. 이용자를 늘리는 데는 유리하지만, 데이터를 축적하는 데는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김 대표는 “광고나 맛집 소개 콘텐츠에 혹해서 들어온 이용자들은 결국 정보만 취하고 앱을 떠나는 경우가 많다”며 “정보를 제공하는 이용자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구성해 데이터의 힘을 키울 생각이었다”고 말했다. 뽈레는 맛집 리뷰를 기반으로 한 SNS 서비스에 가깝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448895
KT가 마이크로소프트(MS)의 클라우드 서비스 ‘애저(Azure)’를 소버린클라우드화해 국내 공공·금융 시장에 제공한다. 보안 규제를 준수하고 데이터 역외 반출 위험을 차단한 애저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를 공급함으로써, 그동안 퍼블릭 클라우드 도입을 꺼렸던 공공·금융 시장의 틈새를 벌리겠다는 구상이다.(중략) KT SPC는 4가지 특징을 가진다. ▲해당 국가 내 데이터 상주 ▲국내 법과 규제 준수 ▲데이터 전 생애주기 보호 ▲고객의 자원 소유권 강화 등이 그것이다. 먼저, KT SPC는 데이터 해외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MS 애저 국내 리전 두 곳만 사용하도록 강제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38/0002193571
KT가 공개한 금융권 특화 AI 에이전트는 AI가 직접 버팀목 대출 심사 업무를 진행한다. 금융권 대출 심사에서는 단계에 따라 각 AI 에이전트 역할을 구분하는데 먼저 대출을 접수하는 에이전트다. 고객이 대출을 신청하면 신용 평가 정보를 수집하고 개인의 상황을 반영해 대출 조건을 검토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48/0000034792
스웨덴의 음원 플랫폼 '스포티파이'가 업계 3위에 뛰어올랐다. 앱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스포티파이의 월간활성화사용자(MAU)는 지난해 6월 161만명에서 올해 2월 320만명으로 2배로 늘어났다. 지니뮤직(261만명), 플로(183만명)를 앞지르고 유튜브 뮤직(902만명)과 멜론(662만명)을 빠른 속도로 추격하고 있다. (중략) 흥미로운 건 스포티파이가 급성장할 동안 국내 음원 플랫폼들의 이용자는 그대로였다는 점이다.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2월까지 멜론(668만→662만명)은 물론이고 지니뮤직(258만→261만명)과 플로(188만→183만명)의 MAU가 거의 변하지 않았다. 유일하게 유튜브 뮤직만 1045만명에서 902만명으로 143만명이 줄었다. 같은 기간 스포티파이 MAU 증가분이 159만명인 걸 생각하면, 스포티파이가 유튜브 뮤직 이용자를 빼앗았다고 해도 과한 해석은 아니다.(중략) 현재 소비자들은 스포티파이를 무료로 써보면서 다른 음원 서비스와 저울질해보고 있다는 얘기가 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65/0000004740
2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지난해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스마트폰 이용자 중 과의존 위험군(고위험군, 잠재적위험군 포함) 비율은 22.9%로 전년 대비 0.2%포인트 감소했다. 하지만 연령대별 과의존 위험군 비율을 살펴보면 만 10~19세 청소년의 경우 42.6%로 2.5%포인트 증가했고, 만 3~9세 유아동도 25.9%로 0.9%포인트 늘어났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146300
문제는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이 심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는 이를 제재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전무하다는 사실이다. 이 때문에 틱톡라이트는 현금 보상 이벤트에 더욱 적극적이다. 예를 들어 북치기 최상위 1등 팀(레벨 67 도달 시) 최대 60만원 보상, 레벨 56 달성 시 20만 포인트(20만원 상당)이 주어지는 식이다. 업계에서는 해당 이벤트가 틱톡라이트 흥행에 기여했다고 평가한다. 실제로 지난해 3월 98만6336명에 불과했던 틱톡라이트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지난달 470만6660명으로 집계됐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448916
오픈AI의 올해 연매출이 전년 대비 3배 이상 급증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인공지능(AI) 유료 구독 모델의 폭발적인 성장세 덕분이다. 다만 막대한 AI 개발 비용으로 인해 흑자전환은 2029년 이후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2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오픈AI의 올해 매출이 127억달러(약 18조7000억원)로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연매출(37억달러)의 3배가 넘는 수치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오픈AI의 빠른 매출 성장세는 계속 이어져 내년엔 294억달러(약 43조2000억원)로 올해 예상 매출의 두 배를 넘길 전망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11378
오픈AI가 25일(현지시간) ‘챗GPT-4o 이미지 생성’ 기능을 업데이트한 가운데 한국어 기반 이미지 생성도 가능해지면서, SNS에서는 4컷 만화 등 다양한 콘텐츠를 직접 만들어 공유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새 모델은 텍스트와 이미지 기능이 통합된 첫 GPT 모델로, 이전보다 훨씬 더 정교하고 간편하게 이미지를 제작할 수 있다. 한국어로 말풍선을 넣은 만화 제작도 가능해져, 그림뿐 아니라 컷을 나눈 만화 제작까지 누구나 쉽게 할 수 있게 됐다. 기자가 직접 사용해본 결과, 챗GPT에 프롬프트를 입력한 뒤 약 1~2분 만에 2컷 만화 이미지가 생성됐다.
https://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5198
오픈AI가 경쟁사인 앤트로픽(Anthropic)이 개발한 '모델컨텍스트프로토콜'(MCP)을 자사 제품 전반에 채택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인공지능(AI) 선두 기업으로 자체 모델을 고집한 오픈AI가 '성공적인 오픈소스 모델은 가져다쓰겠다'고 결정한 것이어서 앞으로 전략적 변화에 관심이 모아진다. (중략) 앤트로픽이 지난해 11월 오픈소스로 공개한 MCP는 AI 모델이 외부 소프트웨어·파일·웹 데이터·타사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로 작업할 수 있도록 연결해 주는 프로토콜이다. 개발자들은 외부와 양방향 연결을 지원하는 MCP를 '범용 번역기'라고 부르며 높이 평가하고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157672
27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콘텐츠웨이브가 26일 주주총회를 열고 이헌 SK스퀘어 매니징 디렉터(MD)를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SK스퀘어의 임원인 이 신임 대표는 SK텔레콤의 전략투자 담당 등을 거친 투자 전략가로 꼽힌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66822
한명진 SK스퀘어 사장이 27일 “티빙, 웨이브 합병 관련 공정거래위원회 '임원 겸임 기업결합 심사'가 진행 중”이라며 “절차상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한 사장은 이날 SK스퀘어 본사 T타워 수펙스홀에서 열린 제4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합병에 관한 부분은 양사 모든 주주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며 “원만한 주주 간 논의를 통해 승인 절차 완료와 함께 빨리 (합병이)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0/0003297636
카카오모빌리티가 외국인 전용 택시앱 호출서비스 대상국을 미국과 일본 등 세계 주요 12개국으로 늘리며 글로벌 확장에 나섰다. 모빌리티 서비스 가능 국가를 해외로 확대하면서 추가적인 외국인 이용자 확보에도 나선다는 목표다. 그동안 국내로만 한정됐던 사업 한계를 벗어나 ‘제2의 우버’가 되겠다는 출사표를 던진 것으로 풀이된다. 27일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해 6월 출시 이후 방한 외국인이 국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던 ‘케이라이드(k.ride)’ 서비스 국가를 미국, 캐나다, 일본, 대만, 싱가포르,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캄보디아, 사우디아라비아로 확대했다고 밝혔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66127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하지만 그동안 변화를 돌이켜 보면 경영 환경 변화는 예상보다 훨씬 빠르게 일어났지만, 우리(LG그룹)의 사업 구조 변화는 제대로 실행되지 못한 부분이 있다”고 반성했다. 이어 그는 선택과 집중을 거듭 강조했다. 구 회장은 “모든 사업을 다 잘할 수는 없는 것이 현실”이라면 “그러기에 더더욱 선택과 집중을 해야한다”고 힘줘 말했다.(중략) “일부 사업의 경우, 양적 성장과 조직 생존 논리에 치중해 경쟁력이 하락해 기대했던 포트폴리오 고도화의 모습을 만들어 내지 못했다”면서 “이런 모습이 그동안의 관성이었다. 절박감을 갖고 과거의 관성, 전략과 실행의 불일치를 떨쳐내자”고 힘줘 말했다. 끝으로 구 회장은 “변화는 더 이상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을 위해 반드시 해야 하는 일”이라며 “골든 타임은 얼마 남지 않았다”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66303
신동호 EBS 사장이 출근저지 투쟁을 채증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 사장은 출근 저지 투쟁에 나선 구성원들에게 “대화 좀 하자”는 말을 반복했다. 2인 체제 방송통신위원회의 사장 임명 강행에 반발해 ‘보직 사퇴’를 선언한 부서장 등 간부 52인은 ‘신임 사장’에게 대면보고를 하지 않기로 결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https://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2368
국가인권위원회 안창호 위원장이 한겨레·경향신문·MBC를 보지 말라고 발언한 게 확인됐다. 안창호 위원장, 김용원 상임위원은 왜곡된 인식을 숨기지 않고 언론을 폄훼·비난해왔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27일 한겨레는 안 위원장이 26일 인권위 대전사무소를 방문한 뒤 직원들과 식사 자리에서 “한겨레·경향신문·MBC가 ‘윤석열 대통령 방어권 보장’ 안건의 추진 배경을 이해하지 못하고 왜곡보도를 하고 있다. 이런 매체는 보지 말라”고 발언했다고 보도했다.
https://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2369
27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2025년 정기 재산변동사항’을 보면 이진숙 위원장과 배우자, 장녀, 차녀의 재산은 총 49억9371만5000원으로 5개월 전(44억7966만2000원)보다 약 4억1405만 원 늘었다.
https://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5202
검찰이 윤석열 대통령의 ‘가짜 출근’ 의혹을 보도한 한겨레 기자에 대해 기소유예 결정을 내렸다. 25일 서울서부지방검찰청은 건조물침입 혐의를 받는 김채운 한겨레 기자에 대해 기소유예 처분을 내렸다. 기소유예란 피의자에게 해당 행위가 범죄행위라는 사실만 주지시키고, 피의자를 재판에 넘기지 않는 처분을 의미한다.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미디어언론위원회 소속 김성순 변호사는 27일 미디어오늘에 “검찰 단계에서는 유죄로 본 것이다. 공판단계로 회부하는 것만 안 한 것일 뿐”이라고 말했다.
https://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5205
성폭력처벌법 위반 혐의로 고발당한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나는 신이다>의 담당 프로듀서(PD)가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서울서부지검 여성아동범죄조사부(부장검사 이정민)는 성폭력처벌법 위반 혐의로 고발당한 <나는 신이다> PD 조성현씨에 대해 불기소 처분을 내렸다고 27일 밝혔다. (중략) 검찰은 조씨의 행위가 형법 20조에 따라 ‘위법성이 조각된다’(불법·범법행위지만 법질서 전체 입장에서 위법하지 않다는 판단)고 봤다. 형법 20조는 ‘사회 상규에 반하지 않는 정당행위’에 대해서는 벌하지 않는다고 규정한다.
https://www.khan.co.kr/article/202503271310001
'디지털 공론장' 작동 방식을 설명하는 데엔 크게 세 가지 이론이 있다. △필터버블 △에코챔버(반향실 효과) △일반화 단계 생략 등이다. 장여경 정보인권연구소 이사는 "필터버블은 개인화된 알고리즘에 따라 콘텐츠를 필터링해서 자신의 신념에 부합하는 콘텐츠만 보게 된다는 이론"이라며 "에코챔버도 자신의 견해와 같은 동질적 집단을 통해 메아리처럼 같은 메시지를 듣게 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에코챔버 효과의 경우 비알고리즘 환경에서도 이용자들이 같은 선택을 한다는 특징이 있다. 마지막 세 번째 이론을 "소셜미디어가 작동하는 방식이 개인의 사회 정체성을 형성한다"고 설명한 장 이사는 "나치즘이 횡행했던 시절을 보면 일반화 단계(자신의 판단이 정당한지 비판적으로 검증하는 단계)가 생략됐을 때 극단주의 이론이 기승을 부린다. 자신의 정치적 판단이 특정 집단에서 사회적 지위를 얻는 데 중요하다고 했을 때 사람이 극단적으로 가는 경향이 있다. 이것이 소셜미디어가 사람을 사회화하는 방식"이라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6/0000129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