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권예인 Apr 17. 2023

독서기록/하루 30개, 한달PLAN 하루상식/SD에듀

하루상식

행북해 독서 모임의 시작

얼마 전, 새벽기상을 위한 방법을 찾다가 7시~9시 줌으로 하는 새벽기상 독서모임이 있어 함께 참여하기 시작했다.

오늘이 2번째 참여이자 온전히 참여한 첫날이다.


무엇보다 가장 큰 베네핏은 평일아침을 깨워 책상에 앉아 '독서'로 하루를 시작할 수 있다는 점.

둘째 베네핏은, 9시까지 필참 하지 않아도 나의 출근시간에 맞춰 독서모임을 운영해 준다는 점.

셋째는, 안정적인 책모임 리더와 안정된 책모임 분위기&구성원들이 있어 지속가능한 모임이라는 신뢰감이 든다. 그리고 화면을 켜고 함께하는 독서, 책 리뷰 나눔 시간이 마음에 든다.


<행북해>를 통해 나의 아침기상의 성공과, 매일아침 독서로 성취감 있는 하루를 살아내길 기대한다. 그 하루들이 쌓여 자부심과 자신감 있는 내가 되길 기대하여 본다.


독서 기록


*제목 : 하루 30개, 한 달 PLAN 하루상식

*작가/출판사 : 시사상식연구소 편저 / SD에듀(주)시대고시기획

*독서 범위 : step 03. 경제&경영 - step 04. 사회, 노동, 환경


*독서 계기 : 얼마 전, 신랑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 대화를 나눈 적이 있다. 종교와 철학에 대한 얘기들과 서양 역사에 대한 이야기들을 오고 가며 얘기했는데 그 대화가 참 재미있게 느껴졌다. 학생 때 배운 역사와 세계사 그리고 철학의 지식들로 대화를 하고 나니 조금은 더 잘 기억나지 않아 아쉬운 부분도 있었고, 이런 대화를 더 재밌게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상식에 대한 지식을 조금씩 쌓아가면 그런 대화를 할 기회들도 늘어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에 '공부'가 아니라 '독서'라는 접근으로 <하루상식> 책을 읽기 시작했다.

4년 전 직장을 다니면서 '상식을 공부'하기 위해 취준생들이 보는 상식책을 사서 암기한 적이 있었는데, 결국 책의 1/4 범위에서 멈춰 섰다. 목표 없는 직장인이 '공부'로 상식을 접하려 하니 깝깝하고 얼마나 하기 싫었는지. 머릿속 이상에 맞춰 내 몸과 머리는 움직여 주지 않았다. 그 경험을 하고 나니 딱딱한 '공부'가 아니라 편하게 볼 수 있는 '독서'로 상식을 접하는 것이 진짜 상식을 만들 수 있는 길임을 깨닫고 이번에는 '독서'의 방식으로 상식 정보들을 편하게 읽어 나가기로 했다.  


*독서 후기 :

다양한 환경 관련 정책을 보면서 의구심이 들었다.

'탄소중립기본법' ,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P4G' 등의 환경 정책과 법률들을 보면서

선진국이 참여한 정책도 있지만 결과적으로 '개발도상국'에게 불리한 정책인 것 인 아닌가?라는 의구심이 들었다. 선진국의 경우 이미 환경을 사용하여 자신들의 개발은 온전히 이룬 상태인데, 이제 와서  '개발도상국'들에게 자연 사용을 제한한다고 보이기 때문이다. 선진국들이 개발하며 더럽혀진 현재의 환경문제의 책임을 개발도상국에게 떠넘기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오늘 '녹색기후기금(GCF)' 정책을 보며 조금이나마 그러한 생각이 풀렸다. 녹색기후기금은 선진국을 중심으로 2012년-2020년까지 매년 1000억 달러씩, 총 8000억 달러의 기금을 조성하여 개발 도상국을 지원하기로 한 정책인데, 사실상 목표달성에는 실패했다고 하지만 '개발도상국'의 상황을 고려하여 선진국에서도 자신들의 책임을 인지하고 있고 이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다음에는 이러한 '논의'만 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개발도상국에게만 책임을 떠넘기지 않는 정책이 나오길 바라며, 시도뿐 아니라 '목표 달성'까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발췌

 step 03. 경제&경영

1. RE 100 (Renewable Energy 100%)

필요한 전력을 재생에너지로만 충당하겠다는 기업들의 자발적인 약속

2. 페그제

자국 통화 가치를 달러 가치에 고정하는 제도

3.NFT (Non-Fungible Token:대체물가토큰)

다른 토큰과 대체/교환될 수 없는 가상화폐

4. ESG

환경(Environment), 사회(Society), 지배구조(Governance)

5. 피지털(Phygital) 경제

물리적 매장을 디지털화하는 소비 형태

6. 사모펀드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투자금을 모아 비공개로 운영되는 펀드

7. 클라우드 소비

물건, 공간, 정보 등을 여러 사람과 공유하는 소비 형태

8. 유턴기업

인건비가 저렴한 해외국가로 생산시설을 이전했다가 다시 자국에 복귀하는 기업

9. 기후 금융

국제적으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10. 그린오션(Green Ocean)

친환경 정책을 바탕으로 새로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시장

11. 긱 이코노미(Gig Economy)

산업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임시직을 고용해 단기계약직이 확산하는 현상

12. 일반특혜관세제도(GSP)

13. 캐리 트레이드

14. 보호무역주의

15. 한국판 뉴딜

16. 빅스텝

17. 인앱결제

18. 리셀테크

19. 왝플레이션

20. KT자형 회복

21. 킹 달러

22.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step 04. 사회, 노동, 환경

MZ세대, 포모증후군(Fear of missing out), 고교학점제, 특수형태근로종사자, 윤리적 소비, 이 퓨얼, 인구절벽, 녹색기후기금, 뉴노멀, 논바이너리, A세대,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파이어족, 밀프렙족, 로맨스스캠, 식테크, CF100(Carbon Free 100%), 소비기한, 조용한 사직(Quiet Quitting), 인구 데드크로스



#독서 #책리뷰 #독서기록 #행북해 #독서모임 #상식 #하루상식

매거진의 이전글 #발췌 <달과6펜스>/서머싯몸/송무옮김/민음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