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권예인 Apr 21. 2023

하루 상식, 과학/IT 최신트렌트 상식용어 16개

독서기록/하루 30개, 한달PLAN 하루상식/SD에듀

INTRO

얼마 전, 남편과 저녁식사를 하다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 즐겁게 대화한 경험이 있어요.

지금의 기독교와 포스트모더니즘이 왜 반대점에 서있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며 시작된 얘기였는데, 대화하다 보니 서양철학사와 서양 중세의 종교, 모던시대, 현재의 포스트모더니즘까지 얘기를 나누게 됐어요. 그 대화를 나누며 더 깊이 들어가지 못해서 아쉬운 부분도 있었고, 인문학 공부를 했던 저로서는 어릴 적 배웠던 얘기들을 꺼내볼 수 있어 즐겁기도 했답니다. 그 순간을 계기로 '아 이런 대화를 사람들과 더 많이 하고 싶다! 이런 기쁨을 또 느끼고 싶다!'라는 생각이 들어 욕심내지 않고 매일 조금씩 상식을 읽고 익히고 있어요. 


<하루 상식>이라는 책을 하루에 한 챕터씩 보고 있는데, 독서기록을 하던 중 가볍게 상식 공부를 하고 싶은 분들께 매일 부담 없는 분량을 소개해드리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몇몇 상식을 소개해 드리려고 해요. 쓱 읽어 보시며 최신 핫이슈 상식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추가로 관심 있는 부분들을 좀 더 찾아보시면 이 글을 읽는 분께도 도움이 될 거예요 


오늘의 하루상식 - step 06. 과학/IT part 


1. 메타버스(Metaverse) : 가상과 현실이 융합된 초현실세계

2. 하이퍼튜브(Hyper Tube) : 공기저항이 거의 없는 튜브 속에서 자기력으로 주행하는 미래형 교통수단

3. 딥페이크(Deep Fake) :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인간 이미지 합성 기술

4. 총유기탄소(Total Organic Carbon) : 유기물에 의한 수질오염도를 측정하는 가장 좋은 방식

5. 프롭테크(Proptech) : 빅데이터 분석, VR 등 하이테크 기술을 결합한 서비스 

6. e심(eSIM) : 내장형 가입자 식별 모듈

7. 멀티모달 인터페이스(Multi-Modal Interface) : 다양한 입력방식을 통해 인간과 컴퓨터가 의사소통하는 기술

8. 크리덴셜 스터핑(Credential Stuffing) :사용자의 계정을 탈취해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수법

9. 초거대 AI : 인간처럼 종합적인 추론이 가능한 차세대 인공지능(AI)

10. 디지털 서비스법(DSA) :거대 IT기업에 유해콘텐츠 검열의무를 규정한 법

11. 어드레서블TV : 사용자의 알고리즘에 맞춘 TV광고

12. 그로스 해킹(Growth Hacking) :상품 및 서비스의 개선사항을 계속 점검하고 반영해 성장하는 온라인 마케팅 기법

13. 뉴로모픽 반도체 : 인간의 두뇌 구조와 활동 방법을 모방한 반도체 칩

14. 도요샛(SNIPE) : 세계 최초의 편대비행 나노위성

15.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JWST ; James E. Webb Space Telescope) : 허블우주망원경을 대체할 우주 관측용 망원경

16. 누리호(KSLV-II) :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된 한국형 발사체


독서기록

*제목 : 하루 30개, 한 달 PLAN 하루상식

*작가/출판사 : 시사상식연구소 편저 / SD에듀(주)시대고시기획

*독서 범위 : step 07. 과학 / IT 

*독서 날짜 : 2023-04-21


*독서 감상 : 문화/미디어 상식용어에 비해 과학/IT 부분에서는 생소한 용어와 내용들이 많았다. 실생활에 도움이 될 것 2가지가 와닿았다. 하나는 'e심(eSIM)' 이다. eSIM은 '내장형 가입자 식별 모듈'로 기존의 USIM은 휴대폰 슬롯에 꽂아 사용했었지만, eSIM은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등록하는 것으로 가입자 식별 정보를 단말기에 저장한다. 지금도 최근 기종의 휴대폰에서는 USIM/eSIM 을 선택하여 휴대폰 등록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지금껏 USIM만을 사용했었는데 eSIM이 상당히 간편하다는 의견이 있어 다음 해외여행이나 휴대폰 변경 시에 eSIM사용도 고려해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두 번째는, '어드레서블 TV'이다. 어드레서블 TV는 사용자의 알고리즘에 맞춘 TV광고를 말한다. 이전에는 모든 가정마다 똑같은 시간대에 똑같은 광고가 송출되었다면, 어드레서블 TV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시청자에게 맞춤 광고를 선보인다. 광고회사나 판매를 해야 하는 판매자 입장에서는 어드레서블 TV가 효율적인 매체이겠지만, 소비자인 나로서는 어드레서블 TV가 상용화되는 것이 아쉽기도 하다. 나는 케이블 TV(유선 TV) 가입을 해지하고 OTT를 구독하는 '코드 커팅'족이 아니라, 케이블 TV에 가입해 있으면서 OTT도 추가구독하는 '코드 스태킹'족이다. 케이블 TV의 이점이 마음에 들기 때문이다. 알고리즘으로 나를 이끌어 가다 보면 계속해서 한쪽의 정보만을 받게 되어 균형적 사고가 더욱 무너질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나 개인의 알고리즘에 맞추기보다는 공영으로 방송되는 케이블 TV를 선호하는 부분도 있다. 그런데 유튜브 등에서 사용하던 어드레서블 TV 광고를 공영 TV, 케이블 TV에서도 사용하게 된다면 균형적 사고를 원해 케이블 TV의 이점이 있다고 생각하던 나로서는 아쉬운 소식인 것 같다. 

<하루상식> 책을 읽기 시작하며, 새롭게 독서모임과 독서습관 익히기를 실천하고 있다. 이전에는 '민음사 세계전집 독서모임'을 운영하면서 세계문학을 2주에 1권 읽기라는 도전적인 독서를 하기도 했었는데 이제는 '매일 조금씩'을 실천하다 보니 '가볍게 읽기'의 힘으로 매일 독서를 지속하며 생기는 성취감과 기쁨들이 있다. 오래 지속하는 독서습관을 만들기 위해 '가볍게 매일 읽기'를 시작으로 '매일 독서'가 습관을 자리매김하길 바란다.


#하루상식 #SD에듀 #시대고시 #상식 #상식공부 #과학상식 #IT상식 #최근상식용어 #상식용어 #상식공부 #상식책 #에드레서블TV #딥페이크 #코드커팅 #코드스태킹 #esim #이심 #최근상식 

매거진의 이전글 하루 상식, 문화미디어 최신트렌트 상식용어 17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