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동경 Aug 07. 2021

다만, 하나의 단어로 된 사전

진은영 - 일곱 개의 단어로 된 사전


  봄, 놀라서 뒷걸음질치다

  맨발로 푸른 뱀의 머리를 밟다


  슬픔

  물에 불은 나무토막, 그 위로 또 비가 내린다


  (중략)


  시, 일부러 뜯어본 주소 불명의 아름다운 편지

  너는 그곳에 살지 않는다


진은영, 일곱 개의 단어로 된 사전 (部分)



  이런 이야기가 있다. 플라톤이 인간이란 "털이 없고 두 발로 걷는 짐승"이라고 말하자, 디오게네스가 닭을 잡아다 털을 다 뽑고는 "그럼 이것도 인간이냐"고 비꼬았다는. 그러자 플라톤은 이렇게 중얼거렸다고 한다. "손발톱이 넓으며."

  물론 인간에 대한 이 새로운 정의도 얼마 가지 않아 반론에 부딪혔을 것이고, 그 덕분에 조금씩은 더 세련되게 다듬어져 왔을 것이다. 사전은 그렇게 나날이 두께를 더해왔을 터고. 여기까지는 누구나 다 아는 얘기다.

  그러나 내가 주목하는 건 플라톤이 중얼거렸다는 점이다. 왜 자신 있게 외치지 않았을까? 아무리 다듬어도 결국은 무너질 수밖에 없을 거라고 느꼈던 걸까? 모를 일이다. 다만 분명한 건 우리가 그 정의를 따져가면서 인간을 알아가진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가 인간을 이해하는 건 (혹은 적어도 인간을 어느 정도는 이해한다고 말할 수 있는 건) 인간과 말을 섞기 때문이고, 인간과 눈을 맞추기 때문이고, 인간과 살냄새를 나누기 때문이다.

  시인의 생각도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사전은 늘 우리에게 이것은 무엇이고, 저것은 또 무엇이라고 말해준다. 그래서 사전은 명사는 반드시 명사형으로만 정의한다. 그러나 인간을 이해하고 싶어 하는 이에게 인간이 무어라고 말해주는 건 도움이 되지 않는다. 당신이란 인간은,

  말 같지도 않은 말, 이가 시리다

  이제 새벽은 흘러 가로등이 꺼지는데 나를 향한 시선엔 그늘이 지는 것이고

  목덜미에서는 달콤한 우유 냄새가 난다

매거진의 이전글 비밀은 아닌 번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