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강서희 Sep 01. 2022

빛바랜 어느 라디오 프로의 향수

1986, 김희애의 테마 에세이 "눈 오는 날의 추억"


1986년 12월, FM 라디오 프로 <김희애의 테마에세이>에서 '눈 오는 날의 추억'이란 주제로 글을 공모했었다. 당시 대학 2학년이었던 나는, 재수가 끝날 무렵이었던 어느 눈 오는 날의 추억을 회상하며 글을 써서 보냈었다. 오프닝 음악을 미리 녹음해 두고 며칠을 라디오 앞에 대기하며 녹음을 준비했지만,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 갑자기 내 글이 흘러나오는 바람에 결국 시작 부분 녹음을 놓치고 말았다. 서랍장 안 묶은 테이프들 사이에서 운 좋게도 그때의 녹음테이프를 찾아냈다. 무려 37년 전의 녹음테이프이다. 우연이도 그 상대 당사자가 당시 이 방송을 들었고 친구들 있는데서 내게 미묘한 뉘앙스로 그 사실을 말했었다. 난 살짝 당황했지만 대충 웃음으로 얼버부리며 그 상황을 아무렇지도 않은 듯 넘겼다. 어린 시절의 이야기라 유치하고, 상대도 의식되고 해서 발행을 놓고 오랜 시간 망설였다. 그러나  어린 날 추억의 한 자락으로서, 자서전 같은 내 브런치에 이 글을 올리기로 맘먹었다. 녹음 파일도 같이 올리고 싶었지만 실행이 되지 않아 아쉽게 원고만 올린다.


' 오는 날의 추억'

....

(녹음을 놓쳐 시작 부분은 소실)


입시를 앞두고  남들은 촌각을 다투며 마지막 피치를 올리고 있을 즈음 난 왜 그 애를 그토록 좋아하게 되었던가.


얼마 안 남은 시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한다는 핑계로 그 애와 난 학원 강의도 빼먹고 자주 남산 도서관에 가곤 했다. 공부 중에 간혹 날 불러내는 그 애에게 괜한 짜증도 내고 그만 가자는 제안에 기어이 폐관 시간까지 남을 것을 고집하곤 했던 나였지만 정작 그런 나의 연습장은 공부의 흔적보다는 서투른 솜씨로 그려본 그 애의 모습과 이름 등으로  메꿔지기가 일쑤였다.


시험이 끝나고 결과를 기다리는 초조함을 달래기 위해 미술학원을 다녔다. 어쩌면 고통을 덜어보기 위함이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난 흰 켄트지 위에 아그리파를 옮기면서도 마음으론 항상 그 애를 그리고 있었고 때론 그리움에 못 이겨 절로 핑 도는 눈물을 입 꼭 깨물어 감추곤 했었다.


그 애가 잠시 시골에 내려가 있을 무렵 어느 날, 그 날밤 하늘은 얄미우리만치 많은 눈을 퍼부어 주었다. 저녁 늦게 내리기 시작한 눈은 금세 소복이 쌓여 학원 친구들은 제각기 밖으로 쏟아져 나가 눈싸움을 하며 소란을 피웠다. 그날따라 더 애타게 스미어오는 그리움을 애써 삼키면서 묵묵히 붓질을 하고 있는데, 누군가 옆으로 조용히 다가와 앉았다. 난 하마터면 눈물이 왈칵 쏟아질 뻔하였다. 심술궂게도 미소만 머금고는 내가 바라볼 때까지 말없이 기다리던 사람은 바로 그 애가 아닌가! 까마득한 하늘 가득 쏟아지는 흰 눈이 모두 내 것인 듯싶었다.


우린 웃고 떠들고 노래하며 그렇게 장난스레 몇 정거장을 지나쳐 걸었다. 그때 그 애가 살며시 내게 물어왔다.


"너 누군가 좋아하고 있지?"

"어! 어떻게 알았어.. 그래  생텍쥐페리의 어린 왕자를 무척 좋아하고 있다"


난 눈이 쏟아지는 하늘을 향해 마음속으로 고집스럽게 외쳐 보았다.


'그래, 어린 왕자 널 무지무지 좋아한다! 어쩔래?'





(녹음에는 방송국에 임의로 끝에 한 소절을 더 첨부하여 방송되었으나 어색해서 .)


DJ 김희애는 러브스토리의 눈 오는 날의 한 장면이 기억된다며 마무리 멘트를 남겼다. 에세이 낭독 끝에 윤수일의 '우리의 만남'이란 곡이 흘러나왔다. 처음 듣는 곡이었는데 내 스토리와 분위기가 잘 맞아 듣기 좋았다.


https://youtu.be/JtT9gncAHtQ

'우리의 만남은' -윤수일


작가의 이전글 또다시 먹구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