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흡수인간 May 03. 2019

도대체 어디까지 해야 성실했다고 말할 수 있을까?

어쩌면 성실함이란 비범함의 다른말이 아닐까?


지금 어떤 일을 하고 있든지 간에 직장인들에겐 부정할 수 없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바로 그 일을 잘 해내고 싶고,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있다는 점이다. 일이란 생계유지 수단이긴 하지만, 단지 그 의미만 갖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래서 괴로움이 생기는 것도 사실이다. 그냥 돈벌이라고만 생각하면 문제는 그렇게 복잡해지지 않는다. 하지만, ‘조금만 더, 조금만 더’ 잘 해내고 싶고, 그에 대해 인정을 받음으로써 가치를 인정받고자 하게 되면서부터 고민이 커지기 시작하는 것이다. 그러다가 그게 잘 안되면 이런 생각이 들기 마련이다.


도대체, 어디까지 해야 잘 한단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거야?


일을 하다 보면 인정을 못 받아서 서운할 때도 있다. 때로는 토라져서 일할 의욕을 잃어서 방황할 때고 있고, 직장을 관둘 때도 있다. ‘자기는 도대체 얼마나 잘했길래 이런 식으로 나를 대하는 거야?’라고 푸념을 늘어놓게 되기도 한다. 과연, 도대체 어디까지 해야만 잘했단 말을 들을만 한건지, 누가 설명 좀 시원하게 해줬으면 할 때가 있는 것이다.


나는 바로 그 ‘어디까지 해야만?’ 이란 의문에 대한 실마리를 PUBLY 박소영 대표의 말에서 얻었다. 다음은 PUBLY에서 펴낸 책 ‘도쿄의 디테일’ 서문에 나온 박소령 대표의 말이다. (*PUBLY는 정제된 콘텐츠, 특별한 경험을 가진 저자들의 콘텐츠만을 제공한다는 온라인 콘텐츠 구독 서비스입니다. 박소령 대표님은 스타트업 PUBLY의 CEO입니다. PUBLY에 대해 더 궁금하신 분들은 사이트를 직접 방문해서 확인해 보셔도 좋겠습니다. https://publy.co​ )


<<어떻게 일할 것인가>>의 저자이자 의사인 아툴 가완디 Atul Gawande는 성실함에 대해 “일과 인간 행동에 대해 높은, 어쩌면 불가능해 보이는 기대치를 설정”하는 것이라고 정의합니다. 언뜻 지루하고 하찮게 보일지언정 한계를 극복하고 상황을 개선하려는 어마어마한 노력이 성실함을 만들고, 디테일로 연결됩니다.  


내 이야기를 좀 더 해보자면, 뭔가 대단한 것, 새로운 것, 남들이 알지 못하는 것을 보여줘야만 인정받을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어느 책에서 본 멋있는 말, 어떤 강의에서 들었던 멋있는 말, 유명한 학자의 말을 보고서에 인용하는 것과 같이 말이다. 하지만, 그건 반은 맞기도 하지만, 반은 틀리다는 것을 요즘 깨닫게 되었다.


자신이 모르는 용어가 보고서에 나오면 보고받는 사람은 기분이 어떨까? ‘와, 이런 것까지 알고 있네’라는 느낌보단, ‘근데, 도대체 이런 이야긴 왜 쓰여 있는 거야?’라는 느낌을 더 받을 것이다. 보고서란 결국 보고받는 사람이 알고 싶은 것을 담아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나만 알고 있던 것을 남에게 알려주는 것보다 모두가 알고 있는 것을 남들보다 더 디테일하게 처리하는 것이 바로 인정받는 방법인 것이다.


TV에 나온 어느 변두리의 맛집을 직접 발품 팔아 다녀온 블로거에 우리는 왜 관심을 보일까? 어디서나 쉽게 구할 수 있는 전자제품의 사용후기를 꼼꼼하게 정리해 놓은 포스팅을 우리는 왜 그렇게 찾아볼까? 누구나 쉽게 구할 수 있는 홈쇼핑 판매 의류를 직접 입어본 후, 사이즈는 어떠한지, 옷감 재질은 어떠하며, 착용감은 어떠한지 상세히 적어놓은 블로거에게 우리는 왜 ‘좋아요’를 선물하는 것일까?


아무리 단순한 것이어도 그것을 꾸준히 반복하거나, 남들보다 더 자세히 들여다보거나, 수치화할 수 없어 보이던 것을 수치화할 때 그것은 전문지식이 된다고 한다. 지금 하고 있는 일에 대해서 ‘와, 이걸 이렇게까지 뜯어서 자세히 보다니 대단한 걸’ 이란 느낌을 스스로도, 타인도 느끼도록 할 수 있다면 그 사람은 그 누군가의 인정이라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그래서, 박소령 대표가 말한 것처럼 ‘언뜻 지루하고 하찮게 보이는 일’에서 시작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그리고, 그 일에 대해 ‘한계를 극복하고 상황을 개선하려는 어마어마한 노력’을 기울여야만 비로소 ‘성실함’ 이란 메달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아마 이런 이유 때문에 사람들이 다음과 같이 말하는 게 아닌가 싶다. “요즘엔 성실함이 기본이라고 하지만, 실제로 성실한 사람을 찾기는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라고 말이다.


‘내가 왜 굳이 그렇게 까지 해야 하나?’라는 생각에 사로잡혀 나 자신의 성장기회를 놓쳐왔던 것이 아닐까 스스로 반성해 보게 된다. 그래서, 직장생활 15년 차에 접어든 요즘, 스스로에게 ‘굳이 이렇게까지 할 필요가 있을까?’ 싶은 느낌을 줄 정도로 주어진 일들을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물론, 그러다 보면 힘이 더 들고, 일도 더 오래 해야만 한다. 하지만, 한 번에 하나씩만 집중하기, 업무시간엔 핸드폰 안 들여다보기, 동료들과 커피 마시며 수다 떠는 시간 줄이기라는 몇 가지 간단한 원칙을 실천하는 것만으로도 그게 그렇게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는걸 깨달아 가고 있는 요즘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