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하하연 Jan 15. 2024

겨울이 밉다

한여름에도 땀 한 방울 흘리지 않는다. 아무리 더워도 평정심을 찾는 건 쉬운 일이다. 하지만 겨울은 다르다. 조금만 찬 바람이 불어도 온몸에 닭살이 돋고, 몸으로 공으로 만들 듯 움츠린다. 봄, 여름, 가을 내내 밖에 살다시피 하지만 겨울이 되면 집 밖을 한 발자국도 나가기 어려웠다. 이불만큼 안전한 패딩은 없었다. 약속이 있는 날은 주차장으로 연결되는 쇼핑몰에서 만났다.      

또한 겨울은 패션 빈곤의 계절이다. 옷을 즐겨 입는 내게 알맞은 옷을 찾기 어려웠다. 멋을 내려고 겨울마다 노력했지만, 그 결과는 늘 추위의 승리. 패션이고 뭐고 간에 그냥 따뜻하게 입자. 라는 생각으로 끝이 났다.      

가족은 다 견딜 만하다는데, 나만 집에서도 ‘추워추워’를 입에 달고 산다. 이쯤 되니, 겨울이 미웠다. 겨울은 죄가 없었는데, 내 몸의 체질로 인해 겨울을 잘 지내기가 어려웠다. 겨울내내 봄을 기다리며, 겨울을 외면하며 살았다.      

올해, 마음의 변화가 찾아왔다. 겨울은 그대로인데, 바라보는 시선이 달라졌다.

아이의 세 달 방학이 길다고 여기기보다는 학기 중에 못 나눈 대화를 나누자. 친밀함을 나눌 수 있겠다.

겨울의 의상은 평소 즐기지 않는 블랙, 그레이톤으로 정하고 목도리, 스카프, 장갑 등으로 알록달록 포인트를 주는 것도 재밌겠다.


추워서 오랜 시간 집에 있어야 한다면, 주제를 정해 하나의 공부를 해서 작은 성취를 이뤄보자. 마감 기한이 있는 공부는 생산성을 높여준다.

가끔은 산책하러 나가서 정신이 번쩍 드는 기온 차를 즐겨보자. 차가운 공기는 다른 계절에 느끼지 못하는 맑은 에너지를 선사한다. 겨울에만 할 수 있는 특권이다.     


이렇게 마음을 바꾸고 보니 30년 넘게 미워한 겨울과 친해진 기분이었다. 진작 이런 마음이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그동안 왜 그렇게 겨울을 미워했는지, 겨울을 붙잡고 사과하고 싶었다. 이런 극적인 생각의 변화가 저절로 찾아온 건 아니었다. 어떤 계기가 있었다. 올해 초, 탐조를 시작했다. 그 과정에서 00은 쌍안경도 빌려주고, 다양한 새의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모르는 걸 알려주니 내겐 새 선생님이었다. 겨울이 되어, 탐조도 쉬어 가는 건 줄 알았다. 아니었다.




나무 위에 앉아 있는 백로




“겨울은 탐조의 계절이에요.”

“네?”

“철새들이 한국에 와서 새롭게 볼 수 있는 새들이 많아요.”

“이렇게 추운데 오는 거예요?”

“더 추운 지방에 있던 새들은 한국이 따뜻하다고 생각하죠.”

“몰랐어요.”

“그리고 겨울에는 나뭇잎이 다 떨어지고 가지만 있어서, 새를 관찰하기 쉬워요.”     

그 이야기를 듣고 나가니, 동네의 새들도 더 잘 보였다. 새가 잎에 가리지 않아서였다. 또한 눈이 내린다고 좋아했는데, 새들에게는 땅속에 있는 먹이인 벌레를 찾기 어렵다는 걸 <새들의 밥상> 책을 보고 알게 되었다. 겨울이 이토록 다양했다니! 새를 통해 겨울을 다시 만나게 되었다. 앙상한 나뭇가지를 보며 쓸쓸했는데, 새를 보기에는 좋은 상태였다.     

인간은 어떤 계기가 있지 않으면 자각하기 어렵다. 늘 살던대로 산다. 자각이 중요한건, 자각해야 변화할 수 있다. 그날, 새 선생님과의 대화가 계기가 되어, 겨울을 다시 바라보게 되었다. 겨울에게도, 나에게도 좋은 일이었다.      

이제 겨울은 더 이상 추워서 꼼짝 못 하는 계절. 긴 시간을 견뎌야 하는 계절이 아니다.

아이와 가까워지기 좋은 계절이고, 탐조의 즐거움을 만끽하는 계절이며, 작은 성취를 이룰 수 있는 계절이다. 이토록 좋은 겨울. 겨울을 사랑하게 되었다.      

매거진의 이전글 2. 졸업식에 들고 갈 꽃다발을 살까? 말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