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조혜인 Sep 14. 2021

내러티브의 종말, 그리고 컨템퍼러리

아서 단토 『예술의 종말 이후』(2004)를 중심으로

내러티브의 종말, 그리고 컨템퍼러리

아서 단토 『예술의 종말 이후』(2004)를 중심으로


   본고는 2021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연기예술학과 현대공연예술미학(교수자: 남지수) 수업에서 필자가 작성한 학술리뷰를 바탕으로 함을 밝힌다.


아서 단토(Arthur Danto)


    아서 단토(Arthur Danto)는 컨템퍼러리(contemporary)에 대한 유연하고도 적합한 정의를 내린 인물이다. 모더니즘의 선언문 예술이 과거에 저항하는 특징을 보인점에 비해, 컨템퍼러리 예술은 그러한 미적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려는 지향을 가지며 방향성이 존재하지 않는 개방적 특징을 갖는다. 단토는 이러한 컨템퍼러리에 대해 시기적 접근보다 본질적 차원으로 접근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컨템퍼러리 미술에는 과거의 미술에 반대하는 지침 같은 것이 없으며, 과거라는 것이 그에 대항해서 해방을 쟁취하는 것이라는 생각도 없고, 심지어는 자신이 미술로서 일반적으로 모던 미술하고도 전혀 다르다는 의식도 없다. 컨템퍼러리 미술을 정의하는 부분적인 특징은 컨템퍼러리 예술가들이 과거의 미술을 마음껏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컨템퍼러리 예술가들에게 이용될 수 없는 것은 과거의 미술이 제작되었던 바로 그 정신이다.”(Danto, 44)


    그러나 컨템퍼러리의 개념은 완전히 정의되기 어려움을 주지한다. 컨템퍼러리는 현재까지도 일어나고 있는 예술현상으로, ‘지금’ 수행되고 있는 다양한 방법론을 수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컨템퍼러리가 주는 예술의 개방적 상태를 살펴보기 위해 단토는 모더니즘부터 포스트모던까지의 흐름을 추적한다. 예술의 종말 이후는 선언문의 종말 이후다. ‘‘어떤 예술’이 ‘어떤 이름’으로 명명 될 것인가?’는 모더니즘 예술의 중요한 화두였다. 이를 연극의 담론으로 초점을 돌리자면, 20세기 ‘연극의 재연극화(The retheatricalization of theatre)’ 현상을 예로 들 수 있다. 언어와 재현(representation) 중심의 드라마 연극에서 벗어나 연극만이 사용할 수 있는 특성들을 활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단토는 이러한 선언문의 종말 시대가 도래하고, 예술의 ‘종말’에서 진정한 종말을 맞이한 것은 바로 ‘내러티브’라고 일컫는다. 드라마, 즉 단토는 개연적이고 논리적 내러티브가 종말된 시대 이후의 예술을 말한다. 이는 언어 중심의 연극에서 포스트드라마 연극(Postdrama theatre)으로의 이행을 암시한다. 생산(작가, 연출가 등)에서 수용(독자, 관객 등)으로 예술의 생산 주체의 이동이 포착되며 관객의 수행성(Performativity)을 작동 시키는 연극이 태동하기 시작한 것이다. 그 이후, 이러한 포스트드라마 연극이 지닌 한계—자기시지성(Self-referentiality)에 몰두 되어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 할 수 없음—를 뛰어넘고자 ‘텍스트로의 회귀(Return to the text) 현상을 수반하는 포스트-포스트드라마 연극(Post-postdrama theatre) 담론으로 까지 예술의 영역은 끊임없이 그 영역을 확장하고있다.


    본고의 필자는 미래에 ‘컨템퍼러리’ 또한 종말을 맞이하는 날이 오지 않을까 사유한다. 이도 지난 종말들과 마찬가지로, 완전한 죽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닐 것이다. 새로운 기술의 도입 그리고 그것을 반드시 활용하고자 하는 예술가가 존재하는 한, 현재를 뛰어넘는 무한한 예술의 범위로 그 경계가 확장될 것이다. 그 때에, ‘컨템퍼러리’는 ‘컨템퍼러리’로 생존하고 있을까 혹은 ‘네오-컨템퍼러리’로 탈바꿈하고 있을까? 그 까마득한 앞날은 아무도 모른다. 심지어 보이지않는 예술 그 자신 마저도.


참고문헌

Danto, Arthur. 김광우, 이성훈 옮김. 예술의 종말 이후: 컨템퍼러리 미술과 역사의 울타리. 미술문화. 2004. 1-448


사진 출처

1. The Moment has a Q&A with Mike Bidlo, whose work, Not Warhol (Brillo Boxes, 1964), 2005 is currently on view in the Lever House lobby:. Allen, Greg. 2010 재인용. https://greg.org/archive/2010/07/05/the-international-symposium-for-andy-warhols-brillo-boxes.html


2. 알라딘. 아서 단토 읽기. 알라딘서재. 2013-11-18. https://blog.aladin.co.kr/mramor/popup/6699345


이전 03화 [특집] 2020 SPAF 리뷰 - '경계'에 대하여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