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lfie Feb 04. 2022

Survivor

생존자, 트라우마, 남겨진 자리, 자살생존자

Survivor 라는 말이 주는 느낌은 어떤 것일까. 그동안 공부해왔던 상담과 영성 전공에서는 아마도 가장 숭고하고 아름다운 단어로 배웠던 것 같다. 수년간 읽고 배우고 믿어온 책 속의 survivor는 그런 것이었다. 그런데 막상 실제 삶의 현장, 특히 가장 치열한 생존의 현장인 대형병원에서 마주한 그 민낯은 생각보다 아주 거칠고 뭐라 표현하기 불편한 그런 것이었다.


어느 당직중에 만났던 이 환자는 대형교통사고에서 살아남은 생존자였다. 한번의 대수술을 거치고 나서 회복중에 있었지만 이게 과연 회복이라 할 수 있을지 앞으로 얼마나 더 병원에서 이 지겨운 과정을 반복하며 갇혀있어야 할지 알 수 없는 그런 사람중의 하나였다. 처음 만나서 내 소개가 끝나기 무섭게 그는 봇물터지듯 자기이야기를 쏟아냈다. 막혀있던 감정의 둑이 터지며 그 안에 가득차 있던 피비릿내가 섞인 흙탕물이 홍수처럼 쏟아지듯 그의 이야기는 도저히 따라잡을 수가 없는 그 자체로서 재난이었다. 


이 50대 백인남성은 옆에서 운전하고 있던 여자친구가 동반자살을 기도해 큰 교통사고를 낸 탓에 운전자였던 여자친구는 현장에서 즉사했고 본인은 거의 반신불구에 가까운 심각한 중상을 입었으나 겨우 목숨을 구하고 살아남았다. 이 사연조차도 처음에는 제대로 파악하기가 힘들었다. 다른 의료진들이 기록해둔 내용을 보고나서야 그의 상황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었다. 그 끔찍한 상황 속에서 살아남았다는 것은 어떤 의미가 될까. 그 분노와 슬픔과 고통과 답답함과 안타까움을 어떻게 다 처리할 수 있을까. 


 트라우마를 품고도 멀쩡게 살아간다는 것은 참으로 버거워보이는 일이기도 하지만, 생각보다 흔하게 당연한듯 자연스럽게 여기저기서 발생하는 일이었다. 자기사연을 봇물처럼 쏟아냈던 그 환자처럼, 끝없이 둑을 쌓고 쌓아서 안에서 소용돌이처럼 들끓는 감정을 결국은 한번씩 터뜨릴, 그런 기회가 필요할 따름이다. 그의 재난은 이제 막 시작했고, 그는 그 감정의 홍수에서 이제 막 헤험쳐 나왔다. 혹은 아직도 헤엄치고 있는 와중일지도 모른다. 생존자로서의 삶이 막 시작되는 순간의 그를 만났고 아직도 그의 상기된 얼굴빛이 잊혀지지 않는다. 트라우마 속에 남겨진 자리라는 것은 참 잔혹하다. 병실에서 홀로 누군가를 기다리는 만신창이의 몸으로는 더더욱이 고통스러운 자리다. 


그래도 그가 혹시라도 가능하다면, 알고 있었으면 좋겠다. 누군가가 그의 이야기를 기억하고 있다는 점을. 그의 고통의 자리 그 곁에 잠깐이지만 같이 있었다는 것을. 생존자의 이름이 숭고하게 되는 것은 결국 그의 발버둥 친 이야기를 들은 사람이 있고 기억하는 사람이 있고 그 의미를 되새기는 사람이 있기 때문이다. 모든 사람이 어느 순간에는 자기 트라우마의 버거움에 마주하게 된다. 그리고 그 트라우마로부터의 생존자가 된다는 것의 무게에 지치기도 한다. 그럴 때에 그 터질 것 같은 둑을 허물어도 좋다는 것을, 그런 선택지가 있다는 것을 생각해 낼 수 있었으면 한다. 이야기를 쏟아내는 것도 듣는 것도 반응하는 것도 기억하는 것도 모두 엉망진창의 재난일 지도 모르지만, 그 순간을 기억하는 것에는 힘이 있다. 거기에 작은 한 귀퉁이의 마음을 쓰고 새로운 의미로 담아내는 것은 생존이 새로운 삶의 한 방식으로, 살아낼 만한 양식으로 한 글자씩 새로 쓰여지게 하는 기회가 된다. 


Passion and faith, 2019


작가의 이전글 Narcissist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