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Hugo Jun 21. 2016

독일, 프라이부르크 보봉 마을

환경을 생각하는 그들에게서 내가 얻은 것은 지난 유년의 한 자락 기억


하루를 지나며 쏟아지는 수많은 인간관계 속에서도 알게 모르게 상처받으며 극복하는 과정에서 세상을 좀 살아봤다는, 사회에서 주어지는 권력의 힘이나 어떤 가부장적 힘 아래서 매 순간 옳은 판단을 하고 있지 않는 날들이 제법 있다고 생각해 본다. 그러니까 사랑하든 가까이에 있든 학연과 지연이 없더라도 한 잔의 술 나누며 서로에게 기운을 북돋아 줄 수 있고 나와 당신의 이야기를 경청할 수 있음으로 오늘도 내일도 그렇게 조금씩 나아지는 사람이 되는 것이 아닌가, 그런 생각을 해 보았다. 

+ 사진은 2015년 어쩌면 맥없이 보냈을 시간에 독일을 다녀올 수 있었는데, 프라이부르크의 보본 빌리지의 어느 놀이터다. 아이들의 사진을 보며 회상한다. 우리도 저렇게 서로 이름을 모르고서도 머리카락의 색깔이 달라도 히히덕거리던 때가 있던 사람들이었다. 그때는 때 묻지 않았다. 어떤 관계든 그 감정의 맥이 틀어지면 나는 놀이터의 사진을 쳐다본다. 그러면 답은 쉽게 나온다. "내가 때가 묻었구나. 내가 실수했구나..."하고 오늘도 다시 사진을 꺼내어 본다.

+ 2015년 가장 맘에 드는 사진 중에 하나. 프라이부르크의 보본 빌리지에서 한가로이 노는 아이들을 담다.


2015.10월 어느날, 보봉 마을의 공원이다.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친환경 도시, 프라이부르크. 아주 오래된 대학과 환경에 대해서 뜨거운 애정을 가진 시민들이 하나가 된 작은 도시. 보봉 마을은 이 지역민들만이 편리하게 지낼 수 있도록 조성된 곳이다. 그곳에 당도했을 때, 외곽에서 이곳에서 살고 싶어서 대기자가 있을 정도라니 그 인기는 미루어 짐작할 만했다. 다시 드는 생각 하나, 왜 그런 것일까. 사람들은 어느 지역을 가든지 자신을 비롯한 가정의 구성원이 쾌적한 환경에서 살기를 바라는 것이 그 이유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특정 공간이 엄격한 규칙이 존재한다는 것은 어느 정도의 삶에 대한 배려와 존중이 몸에 깃들어야만 보봉이라는 마을에서의 생활도 즐거울 것임을 생각한다면, 생각할 것들이 많아지긴 한다. 



작가의 이전글 makina 67 카메라, 아라키 노부요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