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솔지 Oct 21. 2024

미지의 영역

정우 - 2



수희와 민아를 떠올리자, 갑작스레 빗소리가 들리기 시작한다. 그의 귓속에서 들려오는 소리. 오직 그의 귓속에서만 울려 퍼지는 소리.


아까의 흙냄새라든지, 안개처럼 바깥에서 들어오는 감각이 아니다.

이 빗소리는, 정우의 내면에서 솟구치는 소리다. 귓속을 가득 채워 오는 소리 탓에 조금 어지럽다. 이따금 너무 견디지 못해 병원에 찾아가면, 의사는 충분히 자면 나아질 거라고 말하곤 했다. 그러나 잠을 충분히 자도 이 증상은 깨끗이 사라지지 않았다. 그 이야기를 하면, 의사는 수면의 시작과 끝을 문제삼았다. 흔히 말하는 ‘정상적’인 시간에 자고 깨려고 노력해 보라고.


밤 열 시부터 여섯 시.

열한 시부터 일곱 시.

한 시부터 아홉 시.


그래서 정우는, 적어도 더 이상 해가 뜰 무렵에는 자지 않으려고 해 봤다. 그리고 실제로 그렇게 했다. 하지만 빗소리는 어김없이, 또 어느 날엔가 그의 귓속을 울리곤 했다.

이제 의사는 수면의 질이 문제라고 했다.

의사 앞에서 정우는 조용히 고개를 끄덕이며, ‘네, 그렇군요.’라고 답했을 것이다. 그렇게 수긍했지만 사실 정우는 잘 자고 있었다.


다만 잠들기 전까지도, 잠에서 깬 뒤에도 계속 무언가에 짓눌리는 느낌이 들 뿐이었다. 자는 시간 만큼은 유일한 해방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그는 충분히 자신이 잘 자고 있다고 느꼈다.


그는 잠시 멈추어 서서, 귓속의 빗소리가 잦아들 때까지 기다린다. 알고 있다. 잠시 호흡을 고르면 조금씩 나아지기는 한다는 걸. 주의를 돌려 본다. 자신의 몸을 감싸고 있는 공기로, 찬 바람으로, 콧속을 파고드는 흙냄새로.


어느덧 그 소리가 멈춘다. 발끝만 내려다보던 시선을 다시 정면으로 돌린다.

그의 앞쪽으로 야트막한 언덕 길이 펼쳐져 있다. 길은 살짝 오른쪽으로 휘어진다. 그 오른쪽 부근에 노란 천으로 막힌 공사장이 보인다. 허술하고 위태로운 가림막, 혹은 칸막이.


아까부터 안개에 섞여 나던 흙냄새는 그 공사장에서 불어온 냄새일지도 모르겠다, 고 그는 생각한다.

정우는 공사장 안쪽을 전혀 짐작할 수 없다. 그 자신도, 그의 부모도, 그의 조부모나 외조부모도 공사장 안쪽과는 거리가 먼 삶을 살아왔기 때문이다. 그의 협소한 인간관계를 뒤져 보아도 마찬가지다. 지금까지 연락하고 지내는 고등학교 친구들이나 대학 친구들 모두, 저 안쪽과는 관계 없는 삶을 살고 있다. 적어도 ‘직접적으로는’ 말이다.


그래서 공사장 안쪽이란, 늘상 그 옆을 지나곤 하는데도 미지의 영역이다.

안쪽에 있을 사람들의 목소리, 표정, 옷차림, 은어와 전문어를, 그는 알지 못한다. 어느 정도의 연령대가 많은지, 어느 국가의 사람이 많은지도 모른다. 이 겨울에도 땀이 흐르는지조차 알 수 없다. 본 적이 없고, 경험한 적이 없기에.


그렇다.

마치 그때와 같다.

그때로부터 그는 한 걸음도 더 나아가지 못했고, 나아지지 못했다. 수희가 공장에 취업해서 일을 시작하고, 그러다 병에 걸리고, 앓다가, 끝내는 죽었던 그때로부터.

매거진의 이전글 꼼지락거리는 양손은 허무만 다시 헤집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