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여PD Jan 19. 2020

83. 그때 나에게 이런 말 한마디 해줬더라면.  

고등학교 때의 일이다. 

여느 때와 다름없이 야자를 하고 있을 때였다. 

나는 그날따라 공부가 안되어서 책을 읽고 뭔가를 끄적였다. 

그때도 뭔가 쓰는 걸 즐겼었는데. 야자를 감독하던 선생님이 

"왜 책을 꺼내놓지 않고 지금 딴 걸 꺼내놓냐?"라고 말했다. 


다른 날도 역시 공부가 안되어 책을 보았는데 무작정 선생님께서

"이거 보지 말고 공부나 해"라고 말했다.


그 후 대학교에 들어갔고 그때에도 취미 중 하나가 사색을 하고 글을 쓰는 것이었다. 

한 번은 작가에 대해 친구들이나 지인들에게 말해본 적이 있다. 그러자 

"작가하면 밥 굶기 딱 좋아." 

"이런 글 SNS에 올리지 마." 등등의 말을 받았다.     

맞다. 사실이다. 글로 밥을 벌어먹고 산다는 것은 정말 정말 힘든 일이다. 

그런데 그런 말에 앞서 글에 대한 평가를 먼저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그 이후 난 작가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단 한 번도 하지 않았다.

시작조차 해보지 않은 채 남들이 하는 말에 먼저 현실을 직시해버렸다.     

‘밥을 굶기 딱 좋다.’라고 남들처럼 그렇게 생각해 버렸다.     

그러다가 자유롭게 내 글을 올릴 수 있는 곳이 생겼고 많지는 않지만 호응을 조금 얻으면서 그동안 잊고 있었던 글에 대한 생각, 작가에 대한 생각이 나를 자극해왔다.


그저 진로=직업=돈벌이인 것일까?

그걸 중고등학교 때부터 그것도 선생님이 먼저 학생들에게 가르쳐준다면 그 학생들은 나중에 뭐가 되는가? 

개개인의 장점을 살려주고 그에 맞는 교육을 실현하여 지성인을 만들어 주는 게 원래 학교의 목적이 아니었을까?

중고등학교에서 성적 결과주의에 찌든 교육을 우선시하니 대학교는 더 말할 것도 없다. 대학교는 이미 취업을 위한 입시학원으로 전락 해버린지 오래다. 


만약 내가 고등학교 때 선생님에게 "이건 무슨 글이니?"라고 관심을 가져주는 말 한마디라도 들었더라면 내가 앞으로 방향을 설정하는 데 있어서 더 헤매지 않았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본다. 


이런 점에서 미루어 볼 때 학교에서는 더더욱 학생 개개인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고등학교는 대학교를 보내기 위해 거쳐가는 곳이 아니고 대학교는 예비 회사원을 양성하는 곳이 아니기 때문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82. 수동적인 삶에서의 탈출을 위하여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