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5는 인공지능(AI), 로보틱스, 디지털 헬스케어, 모빌리티 등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혁신적인 발전을 선보이며, 기술적 비전이 실제 제품과 서비스로 구현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습니다. 이 글에서는 CES 2025의 주요 내용을 키워드별로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각 분야별 주요 트렌드를 상세히 분석하겠습니다.
주요 키워드 및 분야별 분석
1. AI 혁신: 시나리오에서 현실로
키워드: 온디바이스 AI, LLM(대규모 언어모델), 개인화된 AI 서비스
주요 트렌드
AI 기술이 가전제품과 통합되어 사용자 맞춤형 경험을 제공.
삼성, LG를 비롯한 글로벌 기업들이 스마트홈 환경에서 AI 활용성을 강조.
AI가 단순히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넘어 사용자의 맥락과 필요를 이해하는 단계로 진화.
대표 사례
삼성 'Home AI': 스마트싱스를 통해 가전기기를 통합 제어하며, 사용자 중심의 경험을 제공.
LG '공감지능': 인간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AI 기술로 사용자 경험 강화.
엔비디아의 VLM(Video Language Model): 시각적 데이터와 언어를 결합한 AI 기술로, 로봇 및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 적용.
2. 로보틱스와 자율기기: 미래의 실현
키워드: 자율농업, 인간형 로봇, 감정 상호작용
주요 트렌드
자율 농업과 가정용 로봇이 상용화 단계에 진입.
감정 인식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로봇 등장.
로봇 기술이 산업 분야를 넘어 개인의 일상으로 확대.
대표 사례
존디어의 자율 농업 기기: 무인 트랙터와 자율 농기구를 통해 농업 효율성 극대화.
Tombot의 강아지 로봇: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며 노인 돌봄에 특화.
현대모비스: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와 자율 주행 기술을 접목한 차세대 자동차 기술.
3. 디지털 헬스케어: 건강 관리의 혁신
키워드: 스마트헬스케어, AI 기반 의료기기, 원격진료
주요 트렌드
AI가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에 접목되며 개인화된 건강 관리가 가능해짐.
원격 의료와 웨어러블 기기가 헬스케어 분야의 핵심으로 부상.
대표 사례
Withings 'Omnia' 스마트 미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헬스케어 기기.
Ozlo Sleepbuds: 외부 소음을 차단하고 수면의 질을 향상하는 AI 기반 이어 버드.
마음 AI: 퀄컴의 QCS6490 프로세스를 활용한 헬스케어 AI 기술로 주목받음.
4. 모빌리티와 스마트시티
키워드: 자율주행, UAM, 스마트 인프라
주요 트렌드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가 미래 교통의 중심으로 자리 잡음.
자율주행 기술과 스마트시티 통합이 강화되며 지속 가능한 도시 모델 구현.
대표 사례
도요타 '우븐시티': 스마트시티와 UAM을 결합한 미래 도시 플랫폼.
현대차그룹: 자율주행 기술과 전기차 플랫폼을 융합하여 도심 교통 문제 해결.
델타항공의 스피어 키노트: 감각적이고 정서적인 경험을 통해 브랜드 충성도 강화.
5. 소비자 전자제품과 엔터테인먼트
키워드: 초대형 디스플레이, 가성비 전략, 사용자 경험
주요 트렌드
대형 스크린과 합리적인 가격을 내세운 중국 가전 기업들의 부상.
몰입형 경험과 연결성을 강조한 디스플레이 제품의 다각화.
대표 사례
Sylvox 'Cinema Pro Outdoor TV': 방수 기능과 대형 화면을 갖춘 야외용 디스플레이.
TCL: 대형 화면과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미국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음.
Dell의 게이밍 모니터: 헤드 트래킹 오디오 기술로 몰입형 엔터테인먼트 제공.
6. 구글의 퇴장, 엔비디아의 부상
키워드: 생성형 AI, GPU, 파트너십
주요 트렌드
구글이 CES 주요 부스에서 사라지며 생성형 AI와 자체 행사를 중심으로 전환.
엔비디아가 산업용 AI와 GPU 성능을 강조하며 기존 가전 기술을 대체.
대표 사례
엔비디아의 GPU 기반 산업 로봇: 효율적인 제조 공정과 AI 통합 솔루션 제공.
VLM(Video Language Model): 가전 기기와 로봇에서 시각적 AI의 새로운 가능성 제시.
---
7. 생성형 AI 기반 서비스와 디바이스
키워드: 온디바이스 AI, 스마트 글라스, 통역 기술
주요 트렌드
언어모델을 활용한 실시간 통역 기술이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
스마트 글라스와 AI 기반 통역기가 글로벌 소통의 중심으로 부상.
대표 사례
Captify 스마트 글라스: 청각 장애인을 위한 실시간 자막 기능 제공.
챗GPT 통화 서비스: 실시간 통역과 대화 가능성을 AI로 구현.
8. 임베디드 AI와 제조 생태계
키워드: 임베디드 AI, 로봇 기술, 제조 혁신
주요 트렌드
AI 기술을 기기 내장형으로 구현하여 빠른 프로토타입 개발 가능.
중국 기업들이 부품 생태계와 제조 속도를 기반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
대표 사례
로보락의 청소 로봇: 팔을 장착하여 집안 정리를 자동화.
DJI: 드론 제조를 넘어 임베디드 AI 기술로 확장.
결론: 기술 진화 속의 도전과 기회
CES 2025는 기술 혁신이 구체화되고, 미래 기술이 실질적인 제품과 서비스로 변모하는 현장을 보여주었습니다. AI와 로보틱스, 헬스케어, 모빌리티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한국 기업들에게는 빠른 실행력과 창의적인 협력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기술 발전과 사용자 경험이 결합된 새로운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 한국 기업들의 주요 과제가 될 것입니다. CES 2026에서는 더 많은 혁신과 도전이 이어질 것을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