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가브리엘의오보에 May 15. 2024

해적, 무법의 자유

교보문고
교보문고

해적을 무법자라 이야기하지만, 이는 틀린 이야기다

그들은 해적 사회의 법과 관습, 때로는 미신에 순응한다

일반 사회의 법이 절대적이라거나,

해적이 딛고 선 땅의 법이 절대적이라거나

이런 시각이라면 무법자가 맞다

그러나 이 얼마나 편협한 시각인가


이 세계를 내 시각으로 재단하는 것은

내 세계를 넓히지 못하는 단초가 된다

내가 경험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기 세계의 법에도 허덕이며

이 세계를 무시하거나 재단하며

안정감을 느낀다

이도 사는 방법이니 부정하지 않는다

정 싫다면, 내가 내 세계로 더 들어가면 되니까

물리적 사회에서 굳이 섞여야 한다는 법칙은 없다

타인에게 폐가 되지 않고, 일반 세상의 법을 넘지 않으면

난 내 세계에서 살 수 있다


해적은 모험한다

약탈과 침략, 파괴와 강권의 지배가 해적의 모든 모습은 아니다

이는 그들의 생산 활동이다

타인의 재산과 식량을 빼앗을지

그들을 돕고 대가로 받을지는 해적의 선택이다

이 순간 해적은 모험자가 될 수 있다


그들은

일반 사회의 법과 관습이 자신들에게 맞지 않아

누구도 딛지 않는 바다로 나온 것이다

일반 사회에서 태어났다고 그 법이 맞을 리 있나?

억지로 사는 사람이 한 둘인가?


바다는 그들의 세상이자 삶의 터전이다

바다 위에 일반 사회의 법이 통용될 수 있나?

일반 사회의 법이 바다에 맞나?

대신, 바다는 모든 방식을 수용한다

주위에 보이는 것이라곤

바다와, 함께 같은 배에 탄 사람들뿐이니

포용적이지 않을 수 없다


해적이 되는 것은

창의로의 첫 발이다

일반 사회의 규칙과 관습에 얽매여 있다가는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낼 수 없다

과감히 해적이 되는 것이다

이전 25화 탓하지 마라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